정보테크/용어사전

[스크랩] 조선시대 관청해설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8. 10. 23:05

강화부(江華府)  조선 때 특수 지방관청

관상대(觀象臺) 조선 때 천문,책력,기후,누각(시간 재는일)등을  맡아보던 관청. 누각서,태복서, 태사국,사천대,. 관후서,서운감 이라고도 했다.

광흥창(廣興倉) 조선 때 백관의 녹봉을 맡은 관청. 사록관,천록 관,태창서라고도 했다.

개성부(開城府) 고려 때 고려의 수도를 맡아 관리하는 관청. 조 선 때 특수 지방관청

경시서(京市署) 고려와 조선 때 중앙에 있는 시장과 도량형(度 量衡), 물가조절등 상업에 관한 일을 맡은관청.

경연청(經筵廳) 조선때유교경전(儒敎經典)의 강론(講論)을 맡고 임금과 함께 사상(思想)을 토론하는 일을 맡은관청. 분사,하 전이라고도 불리웠다.

공부(工部)고려때 상서성(尙書省)소속의 6부중 하나로 공업과 농업을 맡아 관장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상공부,농림부격이다.

공조(工曹) 조선 때 6조의 하나로 공업 또는공사(工事)영선(營 繕:건축물을 신축하고 수리하는일)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 하는 지금의 건설교통부.

관상대(觀象臺) 조선 때 천문(天文), 책력, 기후, 누각(漏刻:시 간 측정) 등을 맡아보는 관청 지금의 기상대.

교서관(校書館)조선 때 경적(經籍) 등을 간행하고 반포 및 향축( 제사 때 쓰는 향과 축문), 인각(도장)등을 맡은 관청.

국자감(國子監) 고려 때 국립대학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지금의 서울대학교와 같다.

군기감(軍器監) 또는군기시(軍器寺) 고려 때와 조선 때 모든 군사에 필요한 병기를 제조하고 무기를 조달하던   관청.

군자감(軍資監) 조선 때 군수(軍需)물자의 저장과 출납에 관한 일을 맡아 보는 관청.

규장각(奎章閣) 조선 때 임금의 어제(御製)에 대한 글과 서화, 선보(왕실의 족보) 등을 관리하며  내각의 서적을 . 맡아 .보관하는 기관.

금위영(禁衛營) 조선 때 수도서울을 호위하고 지키는 영군.

내섬시(內贍寺) 조선 때 각 전(殿)과 궁(宮)에 제공할 음식물과 제물 등을 맡아보고 2품이상의  관원에게 음식 을. 제공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청.

내수사(內需司) 조선 때 대궐에서 쓰는 물자를 공급하는 관청.

내시부(內侍府)조선 때 대전(大殿)의 수라(임금의 식사)상을 감독하고 임금의 분부를 전달하고 청소를 담당하는  관청

내의원(內醫院) 조선 때 대궐의 약과 화제(和劑:약의 처방전)을 다루는 기관.

내자시(內資寺) 조선 때 궁내의 술,간장,기름,채소 등의 물자를 공급하며 연회 등을 주관하는 관청.

도화서(圖畵署) 조선 때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서 관장하는 관청.

돈령부(敦寧府) 조선 때 왕실의 가까운 종친(宗親)간에 관계된 사무를 처리하는 관청. 돈녕사, 돈녕원이라고도  했다.

대농시(大農寺) 고려 때 미곡(쌀)을 맞아 관리하는 기관.

밀직사(密直司) 고려 때 왕의 명령을 전달하고 궁중의 숙위(궁중을 지키고 왕을 호위함),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관청.

병부(兵部) 고려 때 상서성 소속의 6부중 하나로, 국방문제와 육,해군을 감독하고 무관(武官)의  인사 등을 맡아.관장하는 지금의 국방부 격이다.

병조(兵曹)조선 때6조의 하나로 무관에 대한 인사문제, 군사, 우편, 역, 병기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지금의 국방부.

보문각(寶文閣) 고려 때 경연(經筵)과 장서(藏書) 등을 관리하면서 왕을 모시고 경서를 강론하던   관청으로  후 에 . 경연청(經筵廳)으로 고침.

봉상시(奉常寺) 조선 때 국가의 제사(祭祀)와 시호(諡號)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비변사(備邊司) 조선 명종 10년에 창설하여 나라의 기밀과 그 계획 및 작전에 관한 군무(軍務)를 총괄하는 관청.

비서성(秘書省)고려때 왕의 측근에서 문서를 다루고 임금의 명령을 행하는 기관인데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과.같은관청.

빙고(氷庫) 궁중에서 쓰이는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던 관청.

사간원(司諫院) 조선 때 임금의 잘못된 점을 올바르게 간(諫)하고 백관을 탄핵하는 관청.

사도시(司導寺) 조선 때 궁내의 쌀등 곡식과 계자 등을 관리하던 관청.

사복시(司僕寺) 고려와 조선 때 궁중의 가마와 마필, 목장 등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1308년에 태복시(太僕寺)를 사복시로 바꾸었다.

사섬시(司贍寺) 조선 태종 원년에 설치하여 숙종때 폐지하였는데 저화(楮貨:종이돈), 지전(紙錢 :닦나무껍질로 만든 종이돈)을 만들고 지방에 있는 노비의 공포  (貢布:세금으로 내는 베) 등을 관리하던 관청.

사역원(司譯院) 고려와 조선 때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을 맡아 보던 관청.

사온서(司온署) 조선 때 궁중에 술을 만들어 공급하는 기관.

사옹원(司饔院) 조선 때 임금의 식사와 대궐안의 음식을 만드는 기관.

사재감(司宰監) 조선 때 궁중의 생선,고기,소금,땔감 등 물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직서(社稷署) 조선 때 나라의 근본을 지키는 신을 모시던 기관.

사축서(司畜署) 조선 때 여러 짐승을 기르는 기관.

사포서(司圃署) 조선 때 궁중의 채소를 맡아 가꾸며 관리하던 기관.

사헌부(司憲府) 고려와 조선 때 정사를 논하고 백관을 감찰하며 기강과 풍속을 바로잡고 백성의  억울한.일을 살피는 관청.

삼사(三司) 고려 때 국가의 화폐와 곡식을 관장하던 기관. 조선 때 사헌부,사간원,홍문관을 해서 부르던 말.

상서성(常書省) 고려 때 행정기관의 최고기관으로 6부를 감독하고 모든 관리들을 통솔하는  관청.관청의 장은. 상서령이다.

상서원(常瑞院) 조선 때 임금의 옥새(玉璽:도장)와 부패, 절부 등을 관장하는 관청.

상의원(常衣院) 조선 때 어의와 궁내 옷감 등을 관장하는 기관

선전관청(宣傳官廳) 조선 때 왕의 측근에서 왕을 호위하고 명령을 전단하는 기관으로 여기에  종사하는  사람을 선전관(宣傳官)이라 한다.

선공감(繕工監) 조선 때 토목과 영선에 관한 행정을 맡아보는 곳

선혜청(宣蕙廳) 조선 선조 4년에 창설되어 대동미(大同米)와 대동목(大同木) 등을 출납하는곳.

선혜청(宣蕙廳) 조선 선조 4년에 창설되어 대동미(大同米)와 대동목(大同木) 등을 출납하는곳.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조선 때 왕세손(王世孫:임금의 손자)에게 교육을 시키며 강의를 하는 일을  맡아보는 관 청..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조선 때 왕세손(王世孫:임금의 손자)을 보호하고 호위하는 일을 맡은 관청.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조선 때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와 사적을 강의하며 도의를 가르치는 담당한 관청.

세자익위사(世自翊衛司) 조선 때 세자를 호위하는 관청.

소격서(昭格署) 조선 때 도교(道敎)의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나타내며 하늘과 땅,별등에  제사하는 기관.

소부감(小府監) 고려 때 나라의 모든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으로 소부시(小府寺)라고도 한다.

수문장청(守門將廳) 조선 때 궁궐문의 출입을 총괄하던 관청.

수어청(守御廳) 조선 때 군영(軍營)으로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축하고 그부근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진을 지키 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

순군(巡軍)   고려 때 국내치안을 담당한 경찰의 직분을 맡았으며 지금의 경찰청과 같다.

숭문관(崇文館) 고려때 문신중에서 학문이뛰어난자를 뽑아 학사(學士)로 임명하여 임금을  측근에서 모시도록.설치한 관청.

승문원(承文院) 조선 때 다른 나라와의 외교문서를 관리하던 관청.

액정서(液庭署) 조선 때 왕명의 전달과 임금이 쓰는 붓, 벼루의 공급, 대궐의 열쇠의 보관 등을  맡은 잡직.

양현고(養賢庫) 조선 때 성균관 유생(儒生)들의 식량을 공급하는 기관.

어사대(御史臺) 고려때 관청으로 왕의잘못을 간(諫)하고 백관의 과오와 비행을 규탄하는 기관. 그장은 어사대부 이다.

어영청(御營廳) 조선 때 왕실(王室)을 호위하고 대궐을 지키는 일을 맡은 관청.

예문관(藝文館) 고려와 조선 때 임금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을 기록하고 왕명을 받들어 글을 짖고 문학을 .관장하는 관청. 원봉성,사림원,문한서,한림원이라고도 했다.

예부(禮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중 하나로 외교관계와 백성의 교육을 관장하는데 지금의 외무부와   교육부를 합친 격이다.

예빈시(禮賓寺) 또는 예빈성 고려와 조선 때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고 연회를 베풀며 종실 및 재상을  접대하는  관청.

예조(禮曹) 조선 때 6조의 하나로 춘관이라고도 했다. 예악(禮樂),제사.향연,조례(朝禮),학교, 과거 등에관한 .사무를 맡은, 지금의 외교부,문교부와 같은 관청.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조선 때 5위(五衛:군대의 조직)의 군무(軍務)를 총괄하던 관청으로 병도에서 독립한 기관. 5 위: 의흥유(義興衛:중위),용양위(龍양衛:좌위) ,호분위(虎賁衛:우위),충좌위(忠佐衛:전위), 충무위(忠武衛:후위

용호영(龍虎營) 조선 때 궁중의 숙직과 왕을 호종(임금을 모시고 따라다님)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군영.

의금부(義禁府) 조선때 왕명을 받들어 추국(推鞫:죄인을 심문함)하는 일을 맡았으며 형옥(形獄) 을다스리고.재판하는. 기관. 순군만호부,의용왕부로도 했다.

의빈부(儀賓府) 조선 때 공주(公主)나 옹주(翁主) 등과 결혼한 부마(駙馬:왕의 사위)들을 위하여 세운 관청.

의영고(義盈庫) 조선 때 기름,꿀,후추,과일 등의 물품을 관리하는 관청.

의정부(議政府)조선때 최고의관청으로 고관들이 모여국무(國務)를 상의하고 회의하며 모든정치와  관리들을.총괄하는 관청.

이부(吏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6부중 하나로, 관리의 인사관계와 지방관서를 rka독하는데, 지금의 내무부와 총무처를 합친 격이다.

이조(吏曹) 조선 때 6조(六曹)의 하나로 모든 문관의 인사를 담당하고 훈봉에 관한 사무를 집행하던 관청.

장악원(掌樂院) 조선 때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성음서,아악서,전악서라고도 했다.

장예원(掌隸院) 조선 때 노예에 관한 문서와 재판 관계를 다루는 관청.

장원서(掌苑署) 조선 때 궁중의 과일과 화초의 관리를 맡은 기관.

장흥고(長興庫) 조선 때 유지(油脂), 종이 등을 관리하는 관청.

전생서(典牲署) 조선 때 궁중제향에 쓸 짐승기르는 일을 맡은 곳

전연사(典涓司) 조선 때 궁궐의 수리를 맞아보는 기관

전설사(典設司) 조선 때 장막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

전옥서(典獄署) 고려, 조선 때 죄수를 가두어 두는 곳으로 지금의 교도소와 같다.

전의감(典醫監) 조선 때 의술과 약을 관리하던 관청.

전중성(殿中省) 고려 때 대궐안의 모든 사무를 맡은 기관.

전함사(典艦司) 조선 때 배를 만들고 수리하며 관리하는 관청.

제용감(濟用監) 조선때 마포,모시,나사(羅紗) 등옷감을 맡아보고 직조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잡직서라고도. 불리웠다.

조지서(造紙署) 조선 때 종이를 만들고 관리하던 관청.

종묘서(宗廟署) 조선 때 종묘를 수위하는 관청. 태묘,침원,이라고도 했다

종부시(宗簿寺) 조선 때 녹찬(錄撰)과 종실(宗室)에 관한 사무, 왕실의 족보 등을 조사   연구하는 기관.

종친부(宗親府) 조선 때 역대 국왕의 계보(系譜)와 초상화를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모든 .군(君:임금의 아 들)에 관한 사무를 . 관장하던 기관  

종학사(宗學司) 조선 때 왕족의 교육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

준천사(濬川沙) 조선 때 서울 장안에 있는 개천과 사산(四山: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산)을   관리하던 기관.

중방(重房) 고려 때이군(二軍), 육위(六衛)와 상장군(上將軍), 대장군(大將軍) 등이 모여 군사 (軍事)를 논의하 던곳.

중서문하성(中書問下省) 고려때 국가의 행정을 총괄하는 관청으로, 왕의조서(詔書)를 받들어 심사(審査)하고. 시행하는 기관. 후에 도첨의사로 고치었다.

춘추관(春秋館) 조선시대 때 기록문서를 관리하고 정치와 역사에 관한 기록을 작성하고관리하던 관청.관이라고도.했다

충익부(忠翊府) 조선 때 원종공신의 녹훈을 맡아보던 관청.

충훈부(忠勳府) 조선 때 국가에 공이 많은 사람(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으로 조선초에는 공신도감,충훈사였다.

태부시(太府寺) 고려 때 나라의 재물을 관리하던 관청.

태복시(太僕寺) 고려 때 나라에서 사용하던 수레와 말을 관리하던 관청.

태사국(太史局) 고려 때 천문(天文), 역수(歷數), 측후(測候) 등을 맡아보는 관청.

통례원(通禮院) 조선 때 조하(朝賀), 제사(祭祀)나 임금을 회견하는 의식(儀式)에 관계된  사무를 담당한 관청.

평시서(平市署) 조선 때 서울에 있는 시장(市場)과 물자에 대한 행정, 말(斗), 자(尺), 저울 등의 도량형기 .(度量衡器)를 맡아 관리하던 관청. 경시서라고도 했다.

포도청(捕盜廳) 조선 때 도둑을 잡고 수사하는 기관으로 현재의 경찰청과 같은 기관.

풍저창(豊儲倉) 조선 때 쌀,콩 등 곡식과 거적자리,종이 등을 맡아 관리하던 관청.

한림원(翰林院) 고려 때 왕의 명령을 받아서 문서를 꾸미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한성부(漢城府) 조선 태조 3년에 창설되어 서울 장안의 모든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으로 지금의 서울시청과 같다,

합문(閤門) 고려 때 국가의 의식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조선 때 통례원으로 고쳤다.

형부(刑部)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의 6부 중 하나로 사법(司法)을 맡은 곳으로 지금의   법무부 격이다.

형조(刑曹) 조선시대 때 6조(六曹)의 하나로 법률과 소송, 노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으며 지금의 법무부와.  같은 관청.

혜민국(惠民局) 고려 때 백성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서 설치한 의료기관.

혜민서(惠民署) 조선 때 의약(醫藥)과 일반 서민에 대한 치료를 맡아보던 관청.

호부(戶部) 고려 때 상서성 소속의 6부 중 하나로, 국가의 재정과 호구(戶口)를 맡아    관장하였으며 지금의 . 재경부, 기획예산처와 같은 관청.

호위청(護衛廳) 조선 때 임금을 호위하던 관청.

호조(戶曹) 조선 때 호구(戶口)와 납세(納稅), 식량과 화폐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으로    지금의 재경원과 . 경제기획원과 같은 관청.

홍문관(弘文館) 고려와 조선 때 경적(經籍)과 문서(文書)를 다루고 왕의 고문에 응하는 기관.

훈련도감(訓練都監) 조선 때 5군영(五軍營)의 하나로 서울의 수비를 담당하였으며 군인들을  훈련 감독하는 .기관으로 훈국(訓局)이라고도 한다.

훈련원(訓練院) 조선 때 군사의 시재(詩才), 무예연습, 병서(兵書)와 전진(戰陳)의 강습을   맡아보던 기관.

활인서(活人署) 조선 때 병사를 치료해 주는 기관

출처 : ▒ 한 산 草 堂 ▒
글쓴이 : 천하한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