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서울서 왔다는 윤초시의 손녀딸을 처음 만난다. 소녀는 모든 것이 낯설어 소년과 가까이 지내고 싶어하지만, 매우 내성적이고 수줍어하는 소년은 자기와 동떨어진 상대라 생각한 나머지 소녀에게 접근하지 못한다. 어느날 소녀가 징검다리 한가운데서 물장난을 하고 있었다. 수줍은 소녀와 마음을 모르고 둑에 앉아서 소녀가 비켜주기만을 기다린다.
그때 소녀는 하얀 조약돌 집어 '이 바보'하며 소년 쪽으로 던지고 단발머리를 나풀거리며 막 달려간다. 소년은 그 조약돌을 간직하면서 소녀에게 관심을 갖고 소녀를 그리워한다. 그렇게 지내던 어느 날 그 개울가에서 소년과 소녀는 다시 만나다 '너 저 산 너머에 가 본 일이 있니?'하며 벌 끝을 가리키는 소녀와 함께 소년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들은 무도 뽑아 먹고 허수아비를 흔들어 보기도 하면서 논길을 달려 여러 가지 꽃들이 어울러진 산에 닿았다. 소년은 꽃묶음을 만들어 소녀에게 건넨다. 마냥 즐거워하던 소녀가 비탈진 곳에 핀 꽃을 꺾다가 무릎을 다치자 소년은 부끄러움도 잊은 채 생채기를 빨고 송진을 발라 주었다. 소년은 소녀가 흉내 내지 못할 자기 혼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인 양 소녀 앞에서 송아지를 타기도 하였다.
그때 소나기가 내렸다. 비안개 속에 보이는 원두막으로 소년과 소녀는 들어갔으나 비를 피할 수 없었다. 밖을 내다보던 소년은 입술이 파랗게 질려 있는 소녀를 위하여 수수밭 쪽으로 달려가 수숫단을 날라 덧세워 자리를 만들어 주었다. 좁디좁은 수숫단 속에서 그들은 서로를 위해 주려는 마음이 생기고 서먹했던 거리감도 모두 해소된다. 돌아오는 길에 도랑의 물이 엄청나게 불어있어 소년이 등을 돌려 대자 소녀는 순순히 업히어 소년의 목을 끌어안고 건널 수 있었다.
그 후 소녀의 모습이 보이지 않자 소녀를 그리워하며 조약돌을 만지락거린다. 그러다가 개울가에서 소년과 소녀는 다시 만난다. 그 소나기에 감기를 앓았다는 소녀가 분홍 스웨터 앞자락을 내려다보면서 '그날 도랑 건널 때 내가 업힌 일 있지? 그때 네 등에서 옮은 물이다'하는 말에 소년은 얼굴이 달아올랐다.
이날 헤어지면서 소년은, 이사가게 되었다고 말하는 소녀의 눈동자에서 쓸쓸한 빛을 보았다. 소녀에게 줄 호도알을 만지락거리면, '이사하는 걸 가 보나 어쩌나. 가면 소녀를 보게 될까 어떨까' 하다가 잠이 들락말락하던 소년은 마을 갔다 온 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소녀의 죽음을 알게 된다.
소나기 - 황순원
만약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 보았음직한 이성에 대한 설레임과 두근거림을
영화의 한 장면으로 처리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행동묘사를 통해 내면의 심리를 두드러지게 하는 수법으로
영상처리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소나기>에서도 소녀와 소년의 심리가 행동묘사로 독특하게
처리돼 있다.
또한 물의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 변화가 소설의
구성을 단단하게 해주는 묘미가 있는 단편소설이다.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책소개
이 작품집은 황순원의 소설들 가운데 초기 작품에 속하는 서정적 성장기 소설인「소나기」「닭제」「산골아이」「별」과 한때 교과서에 실려 수많은 학생들에게 감동을 주었던「송아지」를 싣고 있다. 이 다섯 편의 작품은 어린 독자들이 황순원의 문학 세계로 들어서는 데 훌륭한 안내자의 역할을 해 줄 것이다.
지은이 소개
황순원 - 1915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셨다. 17세 때인 1931년,「나의 꿈」이라는 시로 등단하여 시집「방가」와「골동품」을 발표하셨다. 1940년 첫 단편 소설집「늪」을 발표하신 이후「기러기」「독짓는 늙은이」「산골아이」「목넘이 마을의 개」「소나기」등 수많은 주옥같은 단편 소설을 발표하셨다. 그리고 장편 소설「카인의 후예」「인간 접목」「나무들 비탈에 서다」「일월」등 뛰어난 문제작을 발표하여 아시아 자유문학상, 예술원상, 3·1문학상, 인촌문학상 등을 수상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