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체적으로 하라 모호하고 추상적인 칭찬에 비해 구체적이고 분명한 칭찬이 상대의 마음을 움직인다. "자네는 괜찮은 사람이야"보다는 "자네의 기안문은 간결하고 설득력이 있어. 특히 이런 문장에서..."가 더 효과적인 칭찬이다. 모호한 칭찬에는 자신이 무엇 때문에 칭찬을 받는지를 분명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진다. ![]() 2. 간결하게 하라 말이 길어지면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진다. 그것이 비록 칭찬일지라도 말이 많아지면 사람을 짜증나게 한다. 진지하고 간결하게 칭찬하는 것이 더 깊은 인상을 주며 기억에도 오래 남는다. ![]() 3. 남 앞이나 제삼자에게 칭찬하라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를 자랑하고 싶어한다. 단지 쑥스럽고 어색해서, 그리고 속보일까 봐 자제할 뿐이다. 남 앞에서 칭찬을 하거나 제삼자에게 간접적으로 칭찬을 전달하는 것은 칭찬받는 기쁨과 자랑하고 싶은 욕심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 4. 사소한 것을 칭찬하라 칭찬에 인색하게 되는 것은 사소한 장점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큰일에 대해서만 칭찬하려고 작정하면 칭찬할 기회를 한번도 만들지 못할 수도 있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사소한 장점들을 찾아 칭찬을 해주었을 때 의외의 효과가 있다. ![]() 5. 당사자 주변의 인물을 칭찬하라 집에서는 미워하던 가족도 남이 욕하면 듣기 싫다. 자존심은 자신의 능력이나 외모뿐 아니라 자신이 속한 집단이 가치있다고 여겨질 때도 고양된다. "내가 거래했던 사람 중 한 명이 자네와 같은 대학교 출신이던데, 보기 드물게 신뢰감이 가고 호감이 가는 사람이야" 또는 "지난번 부장님 댁에 갔을 때 사모님이 참 자상한 분이라는 것을 느꼈어요"라는 말에, 듣는 사람은 분명 자신이 칭찬받지 않았음에도 흐뭇한 기분을 느낀다. ![]() 6.우연 그리고 의외의 상황에서 칭찬하라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사람들은 필요할 때만 사람을 찾지는 않는다. 평소에는 인사 한 번 공손하게 하지 않던 부하직원이 진급심사 직전에 찾아와 무엇을 부탁하거나 공치사를 했을 때 기분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속셈이 들여다보이는 칭찬을 하는 사람보다는 우연히 마주쳤을 때 "지난번 사보에 실린 글을 보고 느낀 바가 많았어요"하며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전할 수 있는 사람이 더 호감을 산다. ![]() 7. 상대에 따라 칭찬 내용이나 방법을 달리하라 말단 신입사원이 상사에게 "전무님 참 똑똑하네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어요?"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기분이 좋을 사람은 별로 없다 이런 칭찬을 들으면 "감히 네가 나를 똑똑하다고 할 자격이 있어?" 라고 불쾌한 생각부터 든다. 상대나 상황에 따라서 칭찬의 내용이나 표현방식을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 8. 결과뿐 아니라 과정과 노력을 칭찬하라 칭찬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성 중의 하나는 일의 결과에만 집착하는 것이다. 이전보다 나아진 결과가 있을 때만 칭찬하려고 마음먹으면 칭찬거리를 찾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상대의 부담만 가중시킨다. 설령 뛰어난 실적을 올리지 못했다 해도 일을 하는 과정에서 쏟은 열정과 노력에 대해 칭찬할 때 상대는 용기를 갖고 더욱 열심히 노력한다. |
출처 : 호미호미카페-호미숙-시집 속의 향기
글쓴이 : 호미호미카페 원글보기
메모 :
'기본,기초,기술테크 > 우리들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성공할 수 없다면 그 이유는 ? (0) | 2008.08.21 |
---|---|
[스크랩] 일주일을 설계하는 법 (0) | 2008.08.21 |
[스크랩] 제일 먼저 살아 있어 행복합니다 (0) | 2008.08.21 |
[스크랩] 좋은 사람에게는 여덟가지 마음이 있다. (0) | 2008.08.21 |
[스크랩] 긍정적인 삶을 살아가는 20가지 (0) | 2008.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