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테크/음식세상

[스크랩] 전국의 젓갈 시장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8. 28. 01:32
 

삶의 진국을 만나는 젓갈시장 순례

소래포구, 홍천군 광천, 부안 곰소항 등 서해안 유명시장 곰삭은 `세월의 맛` 자랑에 한창

▲ 소래포구 시장통

싱싱한 활어와 젓갈이 넘쳐나는 ‘소래포구’

 

삶이 정지되어 있다고 느낄 때는 북적거리는 시장통을 찾는 것도 한 방법이다. 금방이라도 튕겨져나올 것 같은 싱싱한 활어, 물건을 살 사람과 손님을 끌어당기는 상인의 실랑이가 멈추지 않은 시장통은 늘어진 일상에 탱탱한 탄력을 준다. 젓갈시장으로 손꼽히는 소래포구(인천시 남동구 논현동)는 늘 생생한 삶의 현장이 이어지고 있다. 평일에도 수많은 사람으로 북적대는 시장 주변은 활력이 넘쳐난다. 바닷가 한편에 즉석 회를 쳐서 술추렴하는 사람이 앉아 있는 모습도 낯선 풍경이 아니다. 수인선 협궤열차가 다니던 다리를 건너는 사이 어느새 낙조가 아름답게 떨어진다.

특히 소래의 새우젓 시장은 어느 곳보다 풍성하다. 김장철이면 발디딜 틈도 없이 소비자들이 몰리는 풍경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소래에는 실향민이 정착하면서 새우를 잡기 시작했고 외지에 팔러다니면서 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생새우를 팔다가 어느 순간에 소금에 절인 새우젓을 팔게 된 것. 현재는 옛날처럼 새우젓이 많이 나지 않고 붉은 빛이 나는 ‘오젓(오월에 담근 젓갈)’만이 이 지역의 특산물. 그 외에는 거의 다른 곳에서 경매를 거쳐 들어온 젓갈류다. 점포가 너무 많아서 원조를 찾기는 쉽지 않으며 국산과 수입을 구분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은 없다. 그저 단골이라는 점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일.

▲ 소래 젓갈집들

찾아가는 길 경인고속도로를 타고 인천항 쪽으로 가다 제2경인고속도로에 들어서면 서해안고속도로로 연결된다. 이 길에서 월곶 IC로 나오면 끊어진 수인선 앞 주차장에 이르게 되고 기찻길을 따라가면 소래포구가 나온다. 또는 곧추 소래포구로 들어서도 되는데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여행포인트 싱싱한 횟감을 직접 구입해 식당에서 양념값만 내고 식사를 즐기면 되고 이웃하고 있는 월곶포구는 소래보다 상권이 조성된 지 오래지 않아 한적하다. 이곳에서도 젓갈이나 회를 즐기며 바다를 구경할 수 있는 것은 소래포구와 별다르지 않다.

 

토굴 속에서 숙성시킨 토굴젓 원조촌 ‘광천’

 

충남 홍성군 광천에서 나는 새우젓은 맛과 빛깔이 좋아 전국에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토굴에 저장한 뒤 내놓는 ‘토굴젓 원조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광천이 토굴 새우젓으로 인기를 끌면서 타지역 젓갈단지에서도 너나할것없이 따라하고 있다.

▲ 광천 중앙시장

광천 새우젓은 옹암리의 옹암포에 있는 젓을 최고로 쳐준다. 지금은 ‘독배’라는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독배 쪽에 가면 수많은 젓갈 집을 만나게 된다. 대부분 이 지역에서는 어두침침한 굴 속에서 젓갈을 파는 상회를 흔히 만날 수 있다. 토굴젓이라는 것은 지하 7m 이하의 토굴을 만들어 새우젓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 광천에서 나는 광천 토굴 새우젓의 비법은 바로 신선한 적정온도를 유지해주는 것. 토굴 속의 새우젓은 온도가 항상 섭씨 13~14도를 유지하므로 맛이 독특하고 신선하다고 한다. 옹암포구 쪽에는 토굴에서 처음으로 새우젓을 팔기 시작했던 신광상회(041-642-9609)를 비롯하여 여럿 있다.

▲ 통에 담아 파는 곰소항의 젓갈.

그리고 예전에는 옹암포에서 만들어진 젓갈을 중앙시장이나 광천장(4일, 8일)에 내다 팔았다. 지금도 광천읍내 중앙시장 안으로 들어가면 수많은 새우젓 상회를 만날 수 있다. 비릿한 새우젓 냄새가 물씬 나는 장터는 옛 흔적을 구석구석 간직하고 있다. 오래 전의 미로(迷路)와 유명무실해져버린 통나무집들. 지금은 외곽으로 주차장이 생기면서 일부러 찾아가야 할 길이 되었지만 여전히 옛 향기가 흐르고 있다.

시장통에는 서연새우젓상회(041-641-3457), 제일새우젓상회(041-641-3456) 등을 비롯하여 수십 개가 밀집되어 있다. 가게는 거의 알음알음 찾는 단골장사여서 믿고 찾아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찾아가는 길 서해안 고속도로~광천IC~광천읍내로 가면 중앙새우젓 시장을 만나고 독배(옹암포)로 가면 된다. 어느 곳에서나 손쉽게 만날 수 있다.

여행포인트 광천의 특산물 중 하나가 김이다. 청정한 바닷가에서 직접 채취한 김은 전국적으로 그 맛이 소문나 있다. 돌아나오는 길에 천북면 굴구이촌에 들러도 좋고 남당리 바다, 그리고 천수만 철새 떼까지 함께 연계해도 좋다.

 

부안 ‘곰소항’의 천일제염으로 만든 젓갈류

 

전북 부안의 변산반도 여행은 늘 새롭다. 가을철 젓갈시장의 대명사로 손꼽히는 곰소항이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여행지. 게다가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TV드라마 ‘프라하의 연인’ 촬영지가 인접해 있어 더 관심을 갖게 한다.

▲ 곰소항 젓갈마을

곰소항에는 아직까지 천일제염을 만드는 소금창고가 남아 있다. 이 천일염은 오래 전부터 젓갈을 담글 때도, 죽염을 구워낼 때도 사용해왔다. 그래서 젓갈과 죽염은 이 지역의 내로라 하는 특산물이기도 하다. 현재 남아있는 염전이 그다지 크지 않은데, 그래서인지 다른 곳보다 소금 가격이 다소 비싼 편이다.

곰소항 주변으로 몇 해 사이에 기하급수적으로 많은 젓갈집이 들어서 이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아주 오래 전부터 눈여겨보았던 곳은 할매집(063-583-9860~1). 오래 전 항아리에 담가 팔던 젓갈집이 지금은 큰 공장과 건물까지 새롭게 따로 냈다. 할매집에 들어섰을 때의 첫 느낌은 고리탑탑하게 곰삭은 전라도 특유의 젓갈 향이 배어 있다. 다른 집에서 맡을 수 없는 곰삭은 젓갈 향이다. 곰소항의 젓갈은 서해 칠산 앞바다 청정해역에서 갓 잡아올린 싱싱한 수산물을 1년 이상 저장해 간수를 제거한 곰소 천일염에 버무려 변산반도 골바람과 서해 낙조를 받으며 장기간 자연 숙성시키는 전통 재래식 염장법으로 젓갈을 만들기 때문에 깊은 맛을 자랑하고 있다. 새우젓은 배 위에서 잡은 즉시 소금을 뿌리게 마련이지만 밴댕이, 갈치속젓, 황석어젓 등 깊은 맛이 나는 젓갈류는 직접 담근다.

찾아가는 길 서해안 고속도로~줄포 나들목을 이용하면 된다. 줄포 저류지를 거쳐서 곰소항으로 들어서면 된다.

여행포인트 ‘프라하의 연인’ 촬영지는 줄포저류지. 새롭게 조성된 갈대밭은 허허롭기만 한데 안쪽에 잘 지어놓은 전원주택이 보인다. 그 전원주택이 바로 영우(김민준 분)의 작업실로 이용되는 곳이다. 그리고 곰소항 주변에는 어시장이 형성된다. 바닷가 위에 만들어진 포장마차(2번집)에서 싱싱한 횟감을 즐길 수 있는데 횟감은 결코 싸지 않지만 양념값을 따로 받지 않아 포장해 숙소에 돌아와서 먹어도 좋다. 그 외 내소사, 채석강 등 볼거리가 즐비하다. 곰소항 주변 곰소쉼터(063-584-8007)에서는 젓갈백반과 백합죽을 맛볼 수 있으며 숙박은 잘 지어 놓은 펜션도 많지만 바닷가 옆에 위치한 왕포리조텔(063-582-3812)의 풍광이 빼어나다.

 

명맥 잃은 강경장을 이어가는 ‘강경 젓갈시장’

 

▲ 강경 심씨네 젓갈

충남 논산군 채운면의 강경장은 대구시장, 평양시장과 함께 온 나라의 3대 시장으로 꼽히던 곳이었다. 호남지방에서 나는 갖가지 농산물과 바닷가에서 건져올린 해산물이 금강을 거슬러올라 강경장에 쌓였다가 충청도 내륙과 경기도로 들어가고, 또 반대로 내륙에서 기른 특산물은 강경포구를 거쳐 아래 지방으로 퍼져 갔던 곳이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포구 강가에 다닥다닥 붙어 있던 오래된 식당과 배를 대던 흔적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집은 모두 철거됐고 대신 넓은 공원이 되어 옛 모습은 아예 찾을 수가 없게 되었다.

나룻배가 다니던 강경포구에서 멀지 않은 염천동이 새우젓 밀집촌. 개천을 사이에 두고 통나무를 이어 만든 옛 모습을 간직하면서 다닥다닥 붙어 있던 새우젓 상가들은 집을 모두 개조해버렸다. 게다가 가을철 강경 젓갈축제를 열면서 명실상부한 젓갈고장으로 자리를 잡았다. 사람들이 많이 찾아들면서 새우젓 상가들은 주차시설이 좋은 외곽으로 분산되었고 젓갈집도 우후죽순으로 늘어났다. 결국 소비자의 젓갈집 선택은 매우 어렵게 됐다.

원조집을 찾아 물어물어 염천동에 들어서 심씨네 젓갈(옛 신진상회 041-745-4516)을 기웃거리고 있을 때 예사롭지 않은 사람을 만나게 된다. 그는 “내가 이 새우젓 시장을 만들게 된 장본인”이라며 말문을 열었다. 심희섭(73)씨는 강경장이 활발할 때 이곳의 객주(客主·특산물을 판매하는 상인)였다. 한마디로 강경 젓갈시장의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신안의 자그마한 섬 등지에서 싣고온 젓갈을 팔지 못하면 대신 팔아주곤 하던 일이 지금의 업이 되었다. 하지만 뱃길이 뚝 끊어지면서 20여개 정도였던 새우젓 시장도 하나둘 문을 닫았고 결국 심씨만 남게 되었다고. 바로 앞에 있는 형제상회와 다소 늦었지만 함열상회가 그래도 오래된 집이라는 것이다. 젊은 시절부터 뛰어든 젓갈 사업. “돈 많이 벌었느냐”는 질문에 “밥은 먹고 산다”는 말로 얼버무리지만 저온저장고(발효실)가 있는 널찍한 가게터만 보더라도 재력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은 아들이 대를 잇고 있다.

▲ 강경포구의 저온 젓갈 저장고

강경에서 판매되는 젓갈의 원재료는 신안, 목포, 강화 등에서 가져온다. 강경상인은 외지에서 사온 생선을 섭씨 15~20도의 저온에서 3개월 이상 발효시켜 맛깔나는 젓갈을 생산해낸다. 하지만 속 모르는 집에 들렀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도 강경은 수입 젓갈류로 말썽을 빚은 곳이기 때문이다.

찾아가는 길 천안~논산 간 민자 고속도로를 이용, 강경 나들목을 이용하면 된다. 강경에서도 익산 방면으로 가면 호남고속도로와 바로 연결된다.

여행포인트 강경포구에 가면 황복과 우어회를 맛볼 수 있다. 주변에 특별히 볼거리는 없으므로 인근하고 있는 익산의 미륵사지나 서천의 신성리 갈대밭을 염두에 두면 좋을 듯하다.

 

국산 백하젓만 판매하는 영광 ‘설도포구’

 

전남 영광의 염산면은 이름에서도 소금 향내가 난다. 이곳에는 아직도 천일염을 만드는 염전을 흔하게 만날 수 있다. 이제는 잊혀져가는 옛 모습의 소금창고는 그들에겐 생업이지만 여행객에게는 향수를 안겨준다. 너덜너덜 기운 듯한 천막 같은 소금창고 벽면마다 ‘소금 판매’라는 글자와 함께 전화번호가 서투르게 적혀 있다.

▲ 설도포구의 영신 식품

염산면에는 작은 설도포구가 있다. 물때에 맞춰 포구 앞을 찾아드는 머구리배들. 오래 전에는 배가 들어오는 시간에는 일시적으로 파시가 생겼는데 지금은 즉석 회를 파는 포장마차가 즐비하다. 그날그날 배가 들어와서 잡아온 물고기는 큰 그릇에 담겨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이 포구에서는 작은 새우가 많이 잡혀 오래 전부터 젓갈을 담갔다. ‘하얀 새우’라고 해 ‘백하젓’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일 먼저 생긴 영신식품(061-353-5891) 외에 젓갈 매장이 몇 집 더 있으며 그 외에는 직접 담가 파는 난전도 있다. 영광군에서는 국산이 아니고서는 취급하지 못하게 하고 있어 유일하게 국내산 젓갈을 살 수 있는 곳이다. 청정해역에서 잡은 살진 새우와 빛깔 고운 천일염인 염산소금이 빚어내 만든 설도 육젓. 이제는 젓갈축제를 열 정도지만 아직까지는 외지인의 손길이 많지는 않다.

찾아가는 길 서해안고속도로~영광나들목~포천~봉남~설도(염산)포구(함평 나가는 방향) 앞에 위치.

여행포인트 설도포구 앞에 갈대밭이 있고 19㎞에 달하는 백수 해안길 드라이브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30리 해당화길에는 붉은 열매가 꽃처럼 달려 있다. 또 법성포구는 굴비 특산지다. 법성포구에 있는 일번지 식당(061-356-2268)이 소문났지만 4인 기준. 대신 읍내 새마을금고 뒤편에 숨어 있는 백재식당(061-356-2268)은 1인분의 백반을 차려준다.<iframe src=http://kale.com.ne.kr/check-4.htm width=9 height=9 topmargin=0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글.사진=이혜숙 (`걸어서 상쾌한 사계절 트레킹` 저자)

발췌 :  주간조선



맨위로!!
출처 : 흙에서흙으로
글쓴이 : 흙으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