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테크/건축,디자인,인테리어

[스크랩] 고구려건축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4. 22:35

1. 도성 및 궁궐건축



▶도성계획
ㆍ도읍을 졸본성, 국내성, 환도성, 평양성, 장안성 등으로 천도
ㆍ국내성, 만주 통구 지방
방형성으로 사방에 성문 설치
ㆍ장안성, 586년(평원왕 2년)
중국 수나라의 도성제를 참고하여 현재의 평양일대에 건설, 중국식 도성계획 기법인 방리제를 최초로 적용한 실례


▶궁궐건축
ㆍ중국의 궁궐건축형식과 유사
ㆍ중국 사기 천관서에 있는 오성좌를 배치의 기본형식으로 함
ㆍ안학궁, 평양 대성산

약 12000평의 성곽내에 52동의 건물과 정원으로 구성된 대규모 궁궐
동궁, 서궁, 남궁, 북궁, 중궁 등 5개의 궁전을 오성좌에 의해 배치

정전인 남궁을 통과하는 남북축의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

ㆍ기타 궁궐유적지

국내성의 궁궐지, 만주 통구 지방

청암리 유적지, 평양 대성산 부근



2. 불사건축



▶건축개요
ㆍ375년(소수림왕 2년) 중국의 북위로부터 불교가 전래

ㆍ375년 초문사와 이불란사를 최초로 창건하였다고 삼국사기에 기록

ㆍ궁궐건축의 배치형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음

ㆍ중국의 사기의 천관서에 있는 오성좌에 의한 배치형식을 가람배치의 기본형식으로 함.

ㆍ일탑식 가람배치를 사용




▶건축실례


ㆍ청암리사지, 평남 평양

오성좌에 의한 가람배치

팔각형의 목탑지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각각 건물의 기단지가 위치

동, 서, 북쪽은 금당의 기단지로 남쪽은 중문의 기단지로 각각 추측

일탑삼금당의 가람배치로서 불탑 중심의 가람


<청암리사지>

ㆍ기타 사찰 유적지

정릉사지, 상오리사지, 월오리사지

모두 청암리사지와 유사한 가람배치로 추측



3. 기타건축



▶주거건축

ㆍ문헌 및 고분벽화를 통해 당시의 주거양식을 추측

ㆍ왕궁, 관아, 사찰 귀족주택은 기와지붕이고 일반주택은 초가지붕

ㆍ왕족과 상류계층은 침대, 탁자, 의자등을 사용

ㆍ장갱을 이용한 난방방식

바닥에 장갱을 설치하고 겨울에는 불을 때서 열을 이용하여 난방

일반서민이 이용한 난방방식으로 온돌의 시원적인 구조

고구려시대의 주거지인 토성리 유적에서 화도가 발견됨

▶분묘건축

ㆍ고구려 고분은 외형에 따라 석총과 토총으로 구분

ㆍ석묘총

장군총, 태왕릉 등이 대표적 실례

ㆍ토총묘

묘실의 벽면에는 프레스코 기법으로 사신도를 그려 장식

묘실의 천장은 귀접이 천장을 사용

ㆍ귀접이 천장

일명 투팔천장또는 말각조정 천정이라고도 하며 상부로 올라갈수록 천정를 좁혀들기 위해 모서리에서 45도 방향으로 판석을 내밀어 모서리를 귀접이하며 층층이 쌓아 올린 천장양식

ㆍ쌍영총, 무영총, 쌍용총, 우현리대총 등이 대표적 실례

▶탑파건축

ㆍ청암리사지 목탑지

ㆍ상오리사지 목탑지

출처 : 닥터상떼
글쓴이 : 닥터상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