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호테크/경영지도사,기술지도사

[스크랩] 제 5 장 기술가치평가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7. 10:31

제 5 장 기술가치평가


1. 기술가치평가의 목적과 필요성


○ 연구목표

√ 기술가치평가의 목적과 필요성

√ 기술가치평가 3대 방법론의 개념과 접근방법에 대해 알아봄

√ 기술기여도 평가

√ 기술가치의 산정방법


1.1 기술자산


1.2 기술가치평가

○ 기술가치란 평가대상이 되는 기술자산의 총체적인 경제적 가치이며 기술가치에 대한 대표적인 평가는 해당 기술자산이 사업화되어, 이로 인해 얻어지는 미래의 경제적 이익, 즉 사업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함


<그림 1)> 기술 사업화의 형태

1.3 기술가치평가의 필요성


경영자 입장에서 기술개발 투자의 성과 확인

관리자 입장에서 기술개발 프로젝트의 포트폴리오를 관리

프로젝트 리더 입장에서 자신의 기술개발 과제에 대해 PR


1.4 R&D 프로세스와 관리지표

R&D프로세스

      Input      ➡    process   ➡   output    ➡    outcome

중점사항

R&D 인력, R&D투자, Idea, 설비, 고객요구사항

연구, 개발, 시험, 보고서 작성

특허, 시제품, 논문

매출과 이익

관리지표

R&D 인력, R&D 투자액

R&D활동 관리

특허출원 건수, 프로젝트 일정의 진척도

기술자산의 축적, 확보된 기술의 사업부 이전 등

매출과 이익

R&D활동 관리

√ 다양한 관점의 성과를 균형있게 관리(원인 및 결과항목)

√ 책임단위별 R&D 성과구분 관리

√ R&D는 회사의 경영전략과 결부되어 도구로서 역할

√ 성과의 책임자가 참여하는 실질적 R&D성과향상 활동 중요


2. 기술가치평가의 방법론


2.1 기술가치평가 방법론의 개요

이익접근법

(Income Approach)

시장접근법

(Market Approach)

비용접근법

(Cost approach)

기술을 사업화해 얻을 수 있는 이익(영업이익) 기준

유사한 기술거래 시장의 기술 거래 실적 기준

해당 기술을 확보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기준


<기술 성숙도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2.2 비용접근법


○ 기술보유자의 입장이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에서 비용 평가

기술가치(비용접근법)= 기술개발 투자비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 단점: 미래가치 반영하지 못함

2.3 시장접근법

○ 자유경쟁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간 적정 균형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유사시장에서 이루어진 유사 기술 거래정보를 토대로 산정

○ 단점: “No two deal are exactly the same", 공개된 기술거래 가격의 정보가 적음


2.4 이익접근법

기술가치(이익접근법) = 사업가치(NPV) × 기술기여도(TF)

<이익접근법에 의한 기술가치평가>


3. 기술기여도 평가


3.1 기술기여도 모델

○ 기술기여도: 기술의 사업화로 인한 사업가치 중에서 기술의 기여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TF모델(Technology Factor)

- TVMS모델(Technology Value Management System)

- TCI 모델(Technology Contribution Index)

TF(technology Factor) = (유용성 + 경쟁성)/2 × 산업지수(IF)


<기술기여도 산정을 위한 TF모델>

유용성(Utility)

 

경쟁성(Competitiveness)

- 9개 항목별 점수를 환산

ㆍ-2→ 20  ㆍ-1→ 40

ㆍ 0→ 60

ㆍ 1→ 80  ㆍ 2→100

 

- 9개 항목별 점수를 환산

ㆍ-2→ 20  ㆍ-1→ 40

ㆍ 0→ 60

ㆍ 1→ 80  ㆍ 2→100

(유용성의 평균점수 산출)

 

(경쟁성의 평균점수 산출)

 

유용성ㆍ경쟁성 종합

(유용성 평균+경쟁성 평균)/2

 

 

 

산업지수 적용

 

 

Industry Factor(통신서비스)=77%

 

 

 

 

TF결정

 

 

(유용성 평균+경쟁성 평균)/2×IF

 


<주요 산업의 산업지수>

Pharmaceuticals

89%

Home Products

89%

Semiconductors

86%

Food/Beverages

88%

Biotechnology

84%

Computer H/W

87%

Motor Vehicles/Parts

78%

Telecom Services

77%

Telecom Equipment

76%

Retail

74%

Chemicals

75%

Specialty Retail

72%

Oil/Petroleum

63%

Calculations of "Intangible % of Value" by Inavisis, Inc. adapted From Baruch Lev and Marc Bothwell

Electric Utilities

53%

Forest/Paper Prods

47%


3.2 기술기여도 평가


ㆍ TF= 15% : Average Technology Impact

ㆍ TF= 30% : Above Average Technology Impact

ㆍ TF= 45% : Exceptional Technology Impact


○ Rule of Thumb, 경험의 법칙, 최고의 법칙, 무조건의 법칙

- 제조업: 기술의 비중 25%

- 서비스업: 기술의 비중 33%


3.3 매출과 기술기여도

○ 매출액에 대해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경상기술료(Running Royalty)

사업 분야

경상기술료율

비고

의료장비

3-5%

 

소프트웨어

5~15%

 

반도체

1~2%

칩 설계(Chip Design)

의약품

8~10%

신약물질(Composition of Matter)

12~20%

신약물질+임상실험(With Clinical Testing)

진단검사장비

4~5%

New Entity

2~4%

New Method/Old Entity

4. 기술가치의 산정 실습

○ 바이오 기술 사례에 3가지 기술가치평가방법론 적용


4.1 기술 및 사업여건

기술성

장기관련 기구 및 프로세스 특허 2건 보유,

혈류장기의 운송 및 저장 특허 1건 보유

기타 기술자료와 노하우

기술사업화 분야

실험실 연구용 기기

이식장기의 운송

체외에서의 장기처리- 현실성 없음

사업환경

생산/마케팅/유통 등을 위한 n자자금은 동원 가능하다

필요한 법규승인은 모두 취득된 상태이다.

어떠한 방해나 반대운동도 제품 매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세전영업이익은 매출액의 15%이다.


4.2 사업 시나리오


4.2.1 실험실 연구용 기기


○ 세계시장규모 2만 8천대, 5%의 시장성장률(CAGR)

○ 판매가격, 국내시장: 30,000$, 해외시장:25,500$   소모품 :400$

구분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5년차

6년차

국내시장

10

50

200

525

925

 

1,710

해외시장

1

40

125

300

515

800

1,781


4.2.2 이식장기 운송


○ 연간 장기이식 46,206건, 15% 시장성장률(CAGR)

○ 판매가격, 2,000$, 소모품 500$ 5년후 소모품 사용률은 75%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

구분

1년차

2년차

3년차

국내시장

-

500

5,150

해외시장

-

400

4,120


4.3 이익접근법


4.3.1 전제조건

○ 기술 수명: 7년

○ 유용성 평가 31.5, 경쟁성 평가 30.3, 산업지수 84, 기술기여도는 26

○ CAPM 할인율 17.4%


4.3.2 실험실 연구용 기기사업의 손익분석

4.3.3 이식장기 운송 사업의 손익분석

4.3.4 이익접근법에 의한 기술가치


4.4 비용접근법


4.4.1 전제조건

○ 개발기간: 5년

○ R&D투자비용: 인력 10명 *100천$, 간접인력 2명*150천$

○ 설비투자 및 재료비 500천$

○ 동등한 수준의 기술 개발비용

○ 10명* 120천$, 간접인력 1명 150천$

○ 설비투자비 및 재료비 750$

○ 사업개시 전 3년간의 기회비용


4.4.2 비용접근법에 의한 기술가치


4.5 시장접근법


4.5.1 전제조건


○ 사례 A 9.5백만$

○ 사례 B 11백만$(6백만$ 선지불, 5백만$ 2년간 분할 지급)

○ 사례 C 12백만$(2백만$씩 6년가 분할 지급)


4.5.2 시장접근법에 의한 기술가치


4.6 경상기술료


4.6.1 전제조건


4.6.2 경상기술료에 의한 기술가치


4.7 바이오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종합

구분

기술가치

비고

이익접근법(Income Approach)

9,798천$

 

비용접근법(Cost Approach)

8,417천$

 

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

7,101~8,468천$

 

경상기술료(Running Royalty)

8,806천$

※외과의사용 수술도구 사례기준


출처 : 경영지도사.기술지도사 모임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