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독버섯과 식용버섯 구별하기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9. 23:17
독버섯과 식용버섯 구별하기
  버섯 가운데는 우리가 먹을 수 있는 버섯과 먹을 수 없는 버섯이 있습니다.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별하는 것은 오랜 경험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버섯 교육을 받은자 만이 가능한 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독버섯 중독사를 일으키는 원인 버섯은 대부분 광대버섯 속(屬)에 속하는 몇가지 버섯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파리버섯 등이 있습니다. 그 이외에 화경버섯, 노란다발, 갈황색미치광이버섯, 붉은싸리버섯 등이 있습니다.
  광대버섯 속(屬)에 대한 특징은
 
  1. 버섯의 갓 주름부분이 백색을 띤다.
  2. 버섯의 대(자루) 부분이 표고버섯보다도 가늘은 편이고 갓 부분이 대에서 잘 떨어진다.
  3. 맹독성 버섯들은 턱받이가 있다.
  4. 버섯의 대 아랫부분이 대보다는 두툼한 형태이고, 그것을 쌓고 있는 대주머니가 있다.
 
     
 
※ 잘못된 상식
  1. 버섯의 즙액에 은수저를 넣었을 대 은수저가 검은색으로 변한다. 독버섯의 독은 은수저를 검은색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
  2. 독버섯은 화려하고 벌레가 먹지 않는다. 사람이 버섯의 화려함 정도를 인지하는 것은 서로 차이가 많으므로 좋은 기준이 않되고 실제로 맹독성 버섯은 현란하게 화려한 편은 아니다. 또한 벌레도 독버섯을 먹는다. 벌레들은 버섯 독에 대해 사람과 다른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벌레도 독버섯을 많이 먹는다.
  3. 버섯은 끓여 먹으면 무독하다. 대부분의 버섯 독소물질은 끓인다고 하여 무독화되지 않는다.
 
 
     
식용버섯의 종류, 독버섯의 종류
 
약용버섯 식용버섯 독버섯
  • 불로초(영지)
  • 신령버섯
  • 목질진흙버섯(상황)
  • 동충하초
  • 복령
  • 아까시재목버섯(장수버섯)
  • 잎새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능이
  • 저령
  • 표고
  • 송이
  • 잣버섯
  • 구름버섯
  • 꽃송이버섯
  • 치마버섯
  • 소혀버섯
  • 표고
  • 잎새버섯
  • 팽나무버섯(팽이)
  • 큰느타리
  • 느티만가닥버섯
  • 양송이
  • 송이
  • 꾀꼬리버섯
  • 뽕나무버섯
  • 나도팽나무버섯(맛버섯)
  • 검은비늘버섯
  • 달걀버섯
  • 먹물버섯
  • 망태버섯
  • 싸리버섯
  • 알버섯
  • 느타리
  • 독우산광대버섯
  • 흰알광대버섯
  • 마귀광대버섯
  • 파리버섯
  • 개나리광대버섯
  • 알광대버섯
  • 독송이
  • 두엄먹물버섯
  • 마귀곰보버섯
  • 갈색미치광이버섯
  • 노란다발
  • 삿갓땀버섯
  • 좀환각버섯
  • 맑은애주름버섯
  • 노랑싸리버섯
  • 붉은싸리버섯
  • 화경버섯
 
     
식물에게 은혜를 갚는 버섯
  식물의 잎이 광합성 작용을 할 때 뿌리는 땅속의 양분을 빨아올립니다. 땅속의 영양분이란 나뭇잎이나 죽은 동물, 동물의 분비물인데 이러한 것들이 처음부터 뿌리가 빨아올리기 좋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나무뿌리 아래쪽에 붙어서 자라는 버섯은 이러한 영양분을 분해하는 일을 합니다. 이는 나무의 뿌리가 양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종자의 구조
   
   
     
식물체의구조
   
   
 

 

 

 

 

 

<출처;http://www.kfri.go.kr/hong_reung>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