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한국신약 메시마-3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10. 04:47
메시마 성분에 관하여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식물체에는 인간의 질병에 치유 효과를 갖는 활성성분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왔고 현재까지도 전 인류의 75%가 건강 유지 목적으로 여전히 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세기 후반 들어 현대의약으로 그 치료가 어려운 만성질환의 증가, 체질성, 심인성 질환의 급증 및 합성의약품의 심각한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식물체유래의 생물활성 물질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하였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약물은 열수로 추출하여 이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추출물은 대부분 고분자 다당체이다. 하지만 모든 다당체가 활성을 갖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입체구조를 갖는냐에 따라 활성이 전혀 없는 것도 있는가 하면, 특이적인 활성을 갖는 다당체가 있을 뿐 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당을 갖는 고분자이기 때문에 다당체의 평가는 천차만별이라 할수 있다. 대표적인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체로는 담자균(버섯)에 존재하는 단백다당체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담자균류의 항종양 단백 다당류는 항암화학요법제와는 달리 정상 세포에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숙주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할 경우 그 치료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담자균류에서 추출된 다당체는 일종의 생물학적 반응 조절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담자균류중에서도 특히 상황은 매우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가지며 상황 균사체 추출물인 메시마는 153kD의 항암면역활성 산성다당류인 α-(1,6)-헤테로글리칸(heteroglycan)과 갈락토만노글루칸 (galactomannoglucan)의 유효성분을 갖고 있다.



그림. 다당체의 구조 및 메시마의 구성당과 분자량


메시마의 유효성분의 하나인 갈락토만노글루칸 구조의 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구조가 수십개 결합을 하여 3차원적인 입체구조를 띨 때 항암활성을 나타낸다.
연구에 의하면 메시마에 함유한 다당체중 가장 활성이 강한 부분을 단리하여 기기분석을 실시하여 아미노산함량과 glucose, galactose, mannose, xylose, arabinose가 21.1, 24.1, 44.2, 3.7, 7.0의 비율로 구성된 분자량 153kD의 신규 산성 단백다당체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기기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메시마는 단당류와 단백질이 특이하게 결합된 단백 다당체이며, 특이하게 만노스와 아라비노스가 많이 들어 있고, 필수 아미노산도 상당수 포함하고 있다.

상황버섯균사체추출물 '메시마'의 다당체 구성성분
  T값 몰비(%)
Arabinose 1.000 7.0
Xylose 1.135 3.7
Mannose 1.412 44.2
Galactose 1.390 24.1
Glucose 1.566 21.1

메시마의 아미노산함량
아미노산 함량(nmol/mg)
Asp 220.8
Thr 122.0
Ser 238.4
Glu 1.390
Gly 164.8
Ala 120.0
Val 102.4
Ile 16.0
Leu 35.2
Lys 64.0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