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독버섯이 알고싶다.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10. 06:00

 독버섯류


    식물성 식중독의 특징
  • 식용하여도 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독버섯 등)
  • 유독 부위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경우(감자 등)
  • 특정시기에 유독화된 것을 모르고 섭취한 경우(청매 등)
  1. 중독증상에 의한 독버섯의 분류

  • 위장장해형 : 화경버섯, 외대버섯 등
  • 콜레라상 증상형 : 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등
  • 신경계장해형 : 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땀버섯 등
  • 혈액독형 : 마귀곰보버섯 등
  • 뇌증형 : 미치광이버섯, 외대버섯 등
  2. 버섯의 유독성분

muscarine

  • 땀버섯, 광대버섯, 깔대기버섯 등에 함유
  • 부교감신경 흥분, 침흘림, 심한 발한, 동공 수축, 호흡 급박
  • 소화기 증상, 때로는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환각증상 유발
  • muscaridine

  • 분포와 작용이 muscarine과 유사
  • choline

  • 삿갓외대버섯 등 많은 독버섯에 함유
  • 독성은 약하지만 muscarine과 비슷한 증상
  • neurine

  • 부패작용에 의하여 choline으로부터 생성
  • muscarine과 비슷한 증상
  • agaricic acid

  • 나팔꾀꼬리버섯, 양파어리알버섯, 말굽잔나비버섯에 함유
  • 위장카타르, 설사, 구토, 두통
  • amanitatoxin
  • 알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등에 함유
  • 버섯류에 함유된 유독성분 중 가장 맹독성, 내열성
  • 간장이나 신장조직 파괴력이 강하며, amatoxin군은 단백질 생합성을 저해
  • 잠복기 10∼20시간, 복통, 강직, 콜레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 수 일 내에 사망
  • amatoxin군 : 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환상 peptide
  • phallotoxin군 : 7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환상 peptide
  • bufotenine

  • 애광대버섯, 암회색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에 함유
  • 환각, 발한, 구역질, 동공확대, 우울증 등을 유발
  • psilocybin, psilosin

  • R -PO(OH)2 : psilocybin, R -OH : psilocin
  • 미치광이버섯, 목장말똥버섯 등에 함유
  • 환각작용
  • coprine

  • 두엄먹물버섯의 독성분
  • 음주시 aldehyde dehydrogenase 저해로 숙취현상 유발
  • fasciculol
  • 노란다발버섯에 함유
  • 구토, 설사, 마비, 경련 유발
  • gyromitrin
  • 마귀곰보버섯에 함유
  • 체내에서 monomethylhydrazine으로 가수분해되어 독성이 강해짐, 황달, 경련, 빈혈 등
  • illudin S

  • 화경버섯의 독성분(lampterol과 동일 물질)
  • 심한 구토, 위장장해 유발
  • ibotenic acid, muscimol
  • 마귀광대버섯, 광대버섯 함유
  • ibotenic acid는 탈탄산되어 muscimol로 된다. muscimol은 환각성분
  •  
    acromelic acid

  • 독깔때기버섯에 함유
  • A, B의 2종이 있으며 손발이 불에 덴 것 같은 통증을 유발

  •   3. 독버섯 종류
    (1) 화경버섯(Lampteromyces japonicus)
    • 분류 : 송이과 화경버섯속
    • 형태 : 갓은 지름 15∼20cm, 반원형∼콩팥형이며 표면은 황갈색인데 작은 인편이 있고 후에 자갈색∼암갈색, 갓의 살은 희고 두껍고 자루의 살은 암자색∼흑갈색인 것이 특징, 밤에 청백색으로 발광
    • 생태 : 여름과 가을 사이에 활엽수가 말라죽은 줄기에 번식
    • 유독성분 : illudin S
    • 중독증상 : 구토, 복통, 설사 등 심한 위장장해, 특히 구토가 오래 지속
    (2) 알광대버섯(Amanita phalloides)
    • 분류 :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 형태 : 갓 지름 7∼8cm, 처음에는 난형이고 뒤에 편평하게 됨, 표면은 황록갈색이며 약간 점성이 있음, 주름살은 떨어진 형이고 빽빽하며 백색, 대는 8∼12×0.5∼0.8cm로 표면은 백색∼회백색, 대 위쪽은 약간 가늘고 막질의 턱받이가 있고 아래쪽은 인편이 덮여 있음, 기부는 굵고 크며 단단한 칼집모양의 대주머니가 있음
    • 생태 : 여름과 가을에 침엽수림 또는 활엽수림의 땅위에 나며, 전세계에 분포
    • 유독성분 : amatoxin군, phallotoxin군, virotoxin군 등
    • 중독증상 : 식후 6∼24시간에 격렬한 콜레라상 증상(설사, 구토, 복통), 간장, 신장 조직의 괴사, 혼수상태, 사망
    • 유사 종 : 독우산광대버섯(A. virosa), 흰알광대버섯(A. verna)

    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3) 광대버섯(A. muscaria)류
    • 분류 :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 형태 : 갓 지름 6∼15cm, 호빵형을 거쳐 편평하게 됨, 표면은 선홍색∼등황색이며 점성이 있음, 주름살은 백색이고 밀생, 대는 10∼24cm로 밑부분은 부풀고 사마귀모양의 덮개막이 고리모양으로 부착, 표면에는 인편이 있음, 윗부분에 백색의 고리가 있음
    • 생태 : 여름과 가을에 침엽수림 또는 활엽수림의 땅위에 발생하며, 북반구 온대, 호주, 뉴질랜드에 분포
    • 중독증상 : 섭취 20분∼2시간 후에 발한(發汗), 눈물흘림, 설사, 구토, 환각 등
    • 유독성분 : muscarine, bufotenine(환각작용), ibotenic acid(파리 살충성분), muscimol
    • 유사 종 : 마귀광대버섯(파리버섯, A. pantherina)

    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4) 외대버섯(굽은 외대버섯, Rhodophyllus sinuatus)
    • 분류 :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 형태 : 갓 지름이 5∼15cm로 원형이며 거의 편평, 표면은 다소 점성이 있는 편이고 담회갈색, 육질은 흰색, 주름은 희지만 살색으로 변화, 자루 지름 8∼25mm, 높이 9∼11.5cm로 굵기가 비슷하고 흰색이며 다소 광택이 있고 세로로 쪼개지기 쉬움
    • 생태 : 가을철에 활엽수림 내의 땅 위에 발생
    • 유독성분 : 불명
    • 중독증상 : 복통, 구토, 설사 등의 급성 위장장해
    • 유사 종 : 삿갓외대버섯(R. rhodopolius : choline, muscarine, muscaridine 등 함유, 구토, 설사 유발)

    굽은외대버섯

    삿갓외대버섯
    (5) 미치광이버섯(갈황색 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 분류 :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 형태 : 갓 지름 5∼15cm, 처음에는 반구형이지만 볼록 편평형으로 됨, 표면은 평활하고 황금색∼갈황색이며 섬유상의 미세한 인편이 있음, 조직은 담황색이고 쓴맛이 있음, 주름살은 완전히 붙은 형이며 빽빽하고 황색에서 적갈색으로 바뀜, 대는 5∼20×1∼2.5cm로 표면은 황색∼황토색이며 섬유상의 세로줄이 있음, 갈황색의 턱받이가 있으나 때로는 불분명
    • 생태 :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 드물게는 침엽수의 생나무나 죽은 나무에 군생
    • 유독성분 : psilocybin(환각작용 물질)
    • 중독증상 : 환각 등을 수반하는 흥분작용
    (6) 깔때기버섯(독깔때기버섯, Clitocybe acromelalga)
    • 분류 : 송이과 깔때기버섯속
    • 형태 : 갓 지름 5∼10cm, 중앙이 오목한 호빵형이나 나중에 깔때기모양이 되고 주변부는 안쪽으로 감김, 표면은 등적색∼황적갈색이며 매끄럽고 끈기는 없음, 살은 얇고 담황갈색이고 주름살은 담크림색∼담황갈색이며 밀생, 자루는 길이 3∼5cm, 섬유질이며 세로로 잘 갈라지고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며 근부는 부풀고 속이 비어있음
    • 생태 : 가을철에 대나무밭, 잡목림 등의 땅 위에 군생
    • 유독성분 : clitidine, acromelic acid A 및 B
    • 중독증상 : 식후 4∼5일 지나서 손발의 끝이 붉어지고 불에 덴 것 같은 통증을 느낌
    (7) 마귀곰보버섯(Gyromitra esculenta)
    • 분류 : 안장버섯과 마귀곰보버섯속
    • 생태 : 여름과 가을철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톱밥더미 위에 단생∼군생
    • 유독성분 : gyromitrin
    • 중독증상 : 구토, 설사, 복통, 황달, 빈혈, 경련 등, 심한 경우 2∼4일만에 사망
    (8)두엄먹물버섯(Coprinus atramentarius)
    • 분류 : 먹물버섯과 먹물버섯속
    • 생태 : 봄·가을철에 정원, 밭 특히 썩은나무 근처에 군생
    • 유독성분 : coprine(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작용을 저해)
    • 중독증상 : 안면홍조, 심장박동 증가, 혈압저하, 구토, 구역질 등
    • 술과 함께 이 버섯을 먹으면 혈중 알데히드 상승으로 심한 숙취증상 유발(만성알코올중독 치료약으로 쓰이는 disulfiram의 작용과 유사)
    (9) 땀버섯속(Inocybe)
    • 분류 : 끈적버섯과 땀버섯속
    • 종류 : 솔땀버섯(Inocybe fastigiata), 보라땀버섯(I. geophylla), 삿갓땀버섯(I. asterospora), 비듬땀버섯(I. lacera), 백색꼭지땀버섯(I. albodisca) 등
    • 유독성분 : muscarine(부교감신경 흥분)
    • 중독증상 : 심한 발한, 구토, 설사, 축동(縮瞳), 호흡곤란, 서맥(徐脈) 등, 다량 섭취시 사망

    솔땀버섯

    보라땀버섯

    삿갓땀버섯

    비듬땀버섯
    (10) 목장말똥버섯(Panaeolus papilionaceus)
    • 분류 : 먹물버섯과 말똥버섯속
    • 생태 :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말똥이나 퇴비 등에서 군생
    • 유독성분 : psilocybin, psilocin
    • 중독증상 : 환각, 정신착란 등
    (11) 붉은싸리버섯(Ramaria formosa)
    • 분류 : 싸리버섯과 싸리버섯속
    • 형태 : 대형버섯으로 산호형이고 자실체 전체가 적등색∼담홍색이며 가지 끝은 황색
    • 생태 : 가을에 활엽수림내 땅위에 군생
    • 유독성분 : 불명
    • 중독증상 : 구토, 설사, 복통
    • 유사 종 : 노랑싸리버섯(R. flava), 황금싸리버섯(R. aurea)

    붉은싸리버섯

    노랑싸리버섯

    황금싸리버섯
    (12) 노란다발(Naematoloma fasciculare)
    • 분류 : 독청버섯과 개암버섯속
    • 생태 : 봄부터 가을에 걸쳐서 활엽수, 침엽수, 대나무 등 그루터기에 속생
    • 유독성분 : 독성분은 fasciculol E 및 F
    • 중독증상 : 구토, 설사, 마비, 경련 등이며 의식불명으로 사망
    • 우리 나라 버섯중독 사망의 주요 원인
    (13) 무변색무당버섯(Russula subnigricans)
    • 분류 :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 생태 : 여름과 가을에 걸쳐서 상록활엽수림내 땅위에 단생 또는 군생
    • 유독성분 : 불명
    • 중독증상 : 구토, 설사 등이며 때로는 심장쇠약으로 사망
    (14) 큰붉은젖버섯(Lactarius torminosus)

    큰붉은젖버섯

    노란젖버섯
    • 분류 :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 생태 : 가을철에 활엽수림내 땅위에 발생
    • 중독증상 : 위장형
    • 유사 종 : 노란젖버섯(L. chrysorrheus)
    (15) 독청버섯(Stropharia aeruginosa)
    • 분류 : 독청버섯과 독청버섯속
    • 생태 : 여름에서 초겨울사이에 숲속 습한 땅이나 풀밭에 발생
    (16) 기타

    독송이

    거북송이

    담갈색송이

    맑은애주름버섯

    털참버섯

    좀환각버섯
      4. 독버섯 감별법

      경험적으로 민간에 전승되어 온 독버섯의 감별법은 다음과 같으나 반드시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 줄기가 세로로 쪼개지는 것은 무독하다.
    2. 색이 아름답고 선명한 것은 유독하다.
    3. 악취가 나는 것은 유독하다.
    4. 줄기에 턱이 있는 것은 유독하다.
    5. 유즙(乳汁)을 분비하거나 점성의 액이 나오거나 공기 중에서 변색되는 것은 유독하다.
    6. 쓴맛, 신맛을 가진 것은 유독하다.
    7. 버섯을 끓일 때 나오는 증기에 은수저를 넣었을 때 검게 변하는 것은 유독하다.

         참고:http://www.kit.ac.kr/index.html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