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이야기

[스크랩] 29년만에 되살아나는 스태그플래이션 공포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10. 5. 04:24
스태그플레이션 늪 빠지면 환란만큼 쇼크
평균유가 150달러땐 성장 2%↓물가 9%↑
경기침체ㆍ인력구조조정ㆍ高금리 쇼크 우려
골드만삭스 "200달러돼도 한국 침체 피할것"

◆ 29년만에 되살아나는 S 공포 ◆



한국 경제가 '저성장-고물가'를 의미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국제 유가 상승세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올 3~4분기 중에는 본격적인 스태그플레이션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1979년 2차 오일쇼크 이후 29년 만에 겪는 위기 상황이 올수 있다는 우려다.

전문가들은 '저성장-고물가'에 따른 △내수ㆍ수출경기 침체 △인력 구조조정 △소득 감소 △매출 둔화 △재고 증가 △금리 상승 △재테크 불확실성 증대 등 '쇼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 불안한 저성장, 고물가 기조

= 올 3분기부터는 물가상승률이 경제상승률을 압도하게 된다.

소비자물가는 5월 4.9%까지 뛰었고, 물가당국인 기획재정부조차 "6월 물가상승률이 5%를 넘길 것"이라고 기정사실화한 상황이다. 이에 비해 1분기 5.8%를 기록했던 성장률은 올 하반기 3%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은 올 하반기 평균 유가를 배럴당 150달러로 가정할 때 하반기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각각 2.0%와 9.0%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를 웃돌면 한국 경제 성장률이 3.0% 수준으로 떨어져 1998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 이상으로 오르면 올해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당초 전망치인 4.4%에서 8.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 얼어붙는 소비심리

= 한국은 1ㆍ2차 오일쇼크 때 수출경기가 먼저 하강하고 내수 둔화가 뒤따랐지만 이번에는 내수가 침체된 상태에서 수출경기 하강까지 대비해야 할것으로 지적됐다.

이미 1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3.4%에 머물러 2005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간 격차도 1분기에 4.5%포인트(GDP 5.8%, GNI 1.3%)까지 벌어진 상태다. 자칫 소득 악화가 임금 상승 요구로 이어진다면 추가적인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

◆ 고용시장, 막 오른 구조조정

= 국제 유가와 원자재값 상승은 생산원가를 높여 기업 수익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매출 자체도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임금 인상 요구도 거세질 수 있다. 기업은 인력 구조조정의 유혹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고용에 관해선 이미 정부 내부에서조차 "채용을 중단하는 시점이 아니라 있는 인력을 자르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지난 5월 취업자 증가 수(전년 동기 대비)는 작년 월 평균(28만명)보다 약 10만명 줄어든 18만1000명에 그쳤다.

◆ 대출금리 두 자릿수 넘을 수도

= 일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가 연 9%를 돌파했다. 최근 두 달 새 1%포인트가량 이자율이 급등한 결과다. 이에 따른 가계 이자 부담만 연 2200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금리 인상은 이제부터라는 점이다. 물가가 오르고 경기가 불투명해지면 금융기관들은 당연히 돈줄을 죈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당국의 고전적인 처방도 '긴축'이다. 불요불급한 재정 지출을 줄이고 금리와 유동성을 조절하는 정책을 펴게 된다. "대출금리가 하반기나 내년쯤 두 자릿수가 되더라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서민들에게 '고금리 쇼크'는 심각한 문제다. 지난 1분기 가계신용 잔액은 640조원에 달한다. 가구당 3800만여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표제어 : 스태그플래이션

영문 : stagflation

경기침체하의 인플래이션.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래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경제활동이 침체되고 있음에도 물가상승이 계속되는 '저성장 고물가'상태를 말한다.

1970년대 주요 선전국에선 경지침체에도 불구, 이전 소득의 증대ㆍ임금의 하방경직화 등으로 물가는 오히려 올라가는 새로 운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1973년말 아랍산유국에 의한 원유공급 제한조치를 계기로 심화된 에너지 위기때 이같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출처 : - YOUR LIFE COACH -
글쓴이 : Your Life Coach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