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원전 5,6세기 경부터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아람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었고, 팔레스틴 유대사회와 디아스포라(여러 나라로 흩어진 유대인들) 사이에서도 아람어를 쓰게 되자, 유대인 회당에서는 예배 때에 "통역자(메투르게만 meturgeman)"가 등장하여 예배 때 낭독되는 율법서와 예언서 관련 본문 등을 히브리어에서 아람어로...
출처 :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글쓴이 : 춘천 대우인력 원글보기
메모 :
'신앙테크 > 성서와 신앙을 알고싶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0) | 2008.10.12 |
---|---|
[스크랩] 쿰란 사해 사본이 나오기 까지 (0) | 2008.10.12 |
[스크랩] 구약의 사본과 인쇄본 (0) | 2008.10.12 |
[스크랩] 주요 외국어 역본들 (0) | 2008.10.12 |
[스크랩] 우리말 번역 성서 (0) | 2008.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