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테크/진석자동차이야기

[스크랩] ▣ 자동차관련 일반용어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6. 11. 15:27

▣ 자동차관련 일반용어

◈ 전륜구동방식(FF 방식)
- 자동차의 앞부분에 엔진과 트렌스미션등의 동력 전달장치를 설치하고 전륜을 구동시키는
방식(소나타, 카렌스, 매그너스등)

◈ 후륜구동식(FR 방식)
- 자동차의 앞부분에 엔진과 트렌스미션을 설치하고 프로펠라샤프트를 통해 후륜을 구동시키
는 방식(포텐샤, 프린스, 엔터프리즈등)

◈ 4륜구동방식(4WD 방식)
- 자동차의 앞부분에 엔진과 트렌스미션을 설치하고 전·후륜을 모두 구동하는 방식(코란도,
산타페, 랙스톤, 무소등)

◈ 노치백 타입
- 주로 중형차 이상에서 많이 사용되며 트렁크부가 낮고 간 것이 특징으로 내부는 엔진룸,
승차룸, 트렁크룸의 3BOX로 구분된다.

◈ 헤치백 타입
- 전륜 구동방식(FF 방식)에 많이 사용되며 후부 트렁크룸과 승차룸이 일체로 되어 외관상
승객룸과 트렁크룸이 구분되지 않습니다.
- 보통 뒷좌석 시트를 접으면 뒤쪽의 공간을 화물칸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전장(길이)
- 자동차의 중심점과 접지면에 평행하게 측정했을 때 부속물(범퍼, 후미등)을 포함한
최대길이.

◈ 전폭(너비)
- 자동차의 중심면을 직각으로 측정했을 때 부속물을 포함(단 후사경은 제외)한 최대너비.

◈ 전고(높이)
-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가장 높은 부분까지의 높이.

◈ 축거
- 앞· 뒤 차축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수평거리.

◈ 윤거
- 좌·우 타이어의 접촉면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

◈ 최저지상고
-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가장 낮은 부분까지의 높이.

◈ 차량중량
- 자동차의. 공차 상태에서의 중량을 나타내며 공차상태란 연료, 오일, 냉각수 등을 전량
주입하고 인원, 공구, 예비타이어, 부품. 화물등은 포함하지 않은 상태를 말 한다.

◈ 차량 총중량
- 자동차에 승차정원을 태우고 최대적재량을 실었을 때의 중량을 나타낸다.

◈ 최고속도
- 자동차의 주행성능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수치로 최대적재 상태에서 바람이 없는
평평한 포장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최고속도로 보통 1시간당 주행거리(km/h)로 나타낸다.

◈ 연료소비율
- 휘발유 또는 LPG사용 자동차는 정부공인 시가지 주행 연비로 표시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LA-4MODE측정방식으로 연료소비율을 측정하여 연료 1ℓ 당
주행거리(km/h)로 나타낸다.

- 또는 경유사용 자동차는 가장 연료를 적게 소비하는 60km/h 경제속도로 평평한
포장도로를 바람이 없을 때 주행하여 연료 1ℓ 당 주행거리(km/h)로 나타낸다.

◈ 등판능력
- 자동차 총중량 상태로 언덕 중간에 정차시켰다가 다시 출발할 수 있는 가장 심한 경사로를
Tanθ의 각도 또는 Tanθ의 값으로 나타낸다.

◈ 최소회전반경
- 자동차의 핸들을 최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선회할 때 바퀴가 그리는 동심원 중 바깥쪽
반경을 최소 회전반경이라 하며 최소회전반경이 작을수록 좁은 도로에서 자동차 이동이
편리하다.

◈ 제동거리
- 브레이크를 밟아 감속이 시작되는 때부터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 배기량
- 엔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척도로 엔진이 행할 수 있는 최대 일의 능률을
나타내며 일정한 엔진회전수(rpm)에서 최고출력(ps)이 나오므로 최고 출력은 출력(ps)/엔진
회전수(rpm)로 나타낸다.
- 보통 활용도가 높은 실용 rpm은 2000~4000rpm 구간이므로 이 구간에서 최고출력을
나타내는 엔진이 효율이 좋은 엔진이다

◈ 최대토오크
- 엔진의 출력 측에 생기는 가장 큰 회전력을 최대 토오크라 한다.

◈ 공기저항계수
- 주행중 자동차는 공기저항을 받게 되는데 공기저항은 공기저항계수에 비례하며 공기저항
계수는 CD로 나타낸다.
- 공기저항계수가 클수록 연료소모 및 동력손실이 크다

◈ SOHC엔진
- 한 실린더에 흡기밸브 1개, 배기밸브 1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구동하는 축인
캠축이 1개로 되어있다.
- 엔진의 소음은 DOHC엔진에 비해 작으나 엔진효율 및 출력은 다소 떨어진다.
- 일반적인 엔진의 대부분이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DOHC엔진
- 한 실린더에 흡기밸브 2개, 배기밸브 2개를 구동하는 캠축이 2개 있으며 효율 및 출력이
좋으나 소음이 SOHC 엔진에 비해 크다.
- 최근에는 이 방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 삼원촉매장치
- 카타릭 컨버터라고 하며 연소실에서 발생된 유해가스(CO, HC, NOx)가 삼원촉매장치를 통과
하는 동안 촉매장치에 도금되어 있는 백금, 료듐으로 하여금 화학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무해한 가스(CO2, H2O, N2)로 정화해 대기중에 방출하는 장치이다

◈ 디젤링(DIESELING)현상
- 가솔린 엔진에서 과열되어 시동키를 꺼도 엔진이 계속 작동되는 현상.

◈ 백파이어(BACK FIRE)
- 역화라고도 하며 연소되지 않고 배출된 가스가 새어 들어온 공기에 의해 정당한 농도의
가스로 되어 배기관이나 소음기 내에서 폭발하여 연소하는 것

◈ 녹킹(KNOCKING)
- 미연소가스의 자연발화 및 과다한 부하가 걸릴 때 실린더를 치는 듯한 소리가 나는
현상으로 이상연소 및 조기점화에 의해 발생된다.


◈ 옥탄가(OCTANE VALUE)
- 옥탄가는 가솔린이 녹킹을 일으키기 어려운 성질을 나타내는 단위를 나타낸다. 즉, 연료
가운데 가장 녹킹을 일으키지 않는 이소옥탄을 100, 녹킹을 가장 잘 일으키는 정햅탄을
0으로 이를 혼합한 것을 나타낸다.

◈ 블로 바이가스
- 압축, 폭발시 미연소가스의 일부부가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내에
통풍되어 대기중에 방출되는데 이 때 크랭크 케이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블로 바이가스라
한다.

◈ 하이드로 프레닝 현상
- 자동차가 물이 고여 있는 도로를 고속 주행하면 공기저항이 차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물이 타이어와 노면사이에 침입하여 자동차가 뜨는 현상

◈ 스텐딩 웨이브현상
- 고속주행시 타이어의 접지부가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변형되어 이 변형된 파동이 연속되어
타이어의 원주상을 통해 작용하는 현상

◈ 베이퍼록 현상
- 긴 내리막길을 발 브레이크만으로 내려가면 드럼과 슈의 마찰 때문에 과열되어 브레이크
오일에 기포가 생겨 브레이크페달을 밟아도 브레이크가 전혀 작동되지 않는 현상

 

출처 : (사)한국나누리복지협회
글쓴이 : 깐똘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