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0년후 인기주택
-.1950년대~60년대생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과 고령화 현상, 갈수록 줄어드는 인구수와 맞물려 대부분 지역의 대형아파트는 가격하락 압력을 받을 것
-.이혼율과 독신세대의 증가로 대형평형보다는 중소형평형의 가격상승률이 눈에 띄게 나타날 것
-.특히 상위 1퍼센트 부자들만 모여 사는 곳에는 쾌적성을 겸비한 희소성과 그들만의 커뮤니티 형성으로 인기를 끌 전망
-.경제생활에서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들은 “숨막힌 도심 속의 시멘트 벽보다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는 도심지에서 가까우면서 커뮤니티도 가능한 전원 속의 집이 인기를 끌 것
*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특히 공공택지지구에서 공급되는 타운하우스 같은 저밀도 고급주택은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인기를 끌 것
-.사회분위기상 노년층 스스로도 자녀와 함께 살기보다 노후를 안락하게 보낼 수 있는 주택 특히, 도심과 근접하고 편의시설도 이용할 수 있는 실버주택들도 인기를 끌 것
⇒특히 판교 신도시 주변을 감싸고 있는 150~200평 규모의 단지형 전원주택들이 전원생활을 꿈꾸는 부자들의 인기를 끌 것이다.
◇10년후 부동산 시장 전망
구분 |
주요 내용 | ||
1 |
10년후 사회 동향 |
▶인구 증가세 둔화, 인구 감소 ▶2인이하 가구수 증가 ▶고령화 | |
2 |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주택가격 여전히 상승 |
시나리오 #1 ◇주택시장 안정 |
-.소득수준 향상 -.주택교체수요 증가 |
-.주택공급 증가 -.주택수요 감소 -.보유세 부담증가 | ||
3 |
10년후 유망 부동산 시장 |
-.도심 및 인기지역 대형APT. 주상복합 인기 상승 -.중소형 주택수요 증가 미미 -.지역별.평형별 양극화 심화 |
-.대형APT 인기 하락 및 매물 증가 -.중소형 주택 수요 증가 -.타운하우스, 전원주택 수요 증가 |
1).일반주택 변천사 : 중형 30-40평형대
단독주택 |
⇔ |
빌라급 아파트 등장 |
⇔ |
일반아파트 |
⇔ |
고급아파트 |
⇔ |
주상복합 & 재건축아파트 |
⇔ |
고급 아파트 |
소형 (저층) |
중-소형 (중.고층)(E/V 등장) |
중-대형 |
중-대형 |
중-소형 | ||||||
10-24평 |
24- 40평형 |
35-60평 |
40-100평 |
30평 전후 | ||||||
70년대 |
80년대 |
86, 88이후 |
2001년 이후 |
2007년 이후 |
2).고가주택 변천사
고가 단독주택 |
고급 브랜드 아파트 |
주상복합 아파트 재건축 아파트 |
지능형 주상복합 아파트 타운하우스 도심형 웰빙 전원고가주택 | ||||
-.평창동. 성북동. 한남동, 장충동 |
⇔ |
분당, 압구정동 |
⇔ |
강남권 (도곡.대치.삼성동) |
⇔ |
미국형 비버리 힐즈 (상위 1% 자존심) | |
풍수지리 중시 |
고급 브랜드 |
고밀도 주택 |
저밀도 주택 + 상위 1% | ||||
옛날 - 현재 |
86, 88이후 |
2001년 하반기 |
2007년 이후 |
'부동산테크 >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0년 후 한국 부동산 트랜드 분석 - 11.경기. 경제 동향 (0) | 2009.06.23 |
---|---|
[스크랩] 10년 후 한국 부동산 트랜드 분석 - 11.2 한국 경제대국 전제조건 (0) | 2009.06.23 |
[스크랩] 10년 후 한국부동산 트랜드 분석 - 13. 10년후 리모델링과 재건축 시장 (0) | 2009.06.23 |
[스크랩] 10년후 한국부동산 트랜드 분석 - 15. 미래지향적 산업구조 와 신도시 비교 (0) | 2009.06.23 |
[스크랩] 10년후 한국부동산 트랜드 분석 - 17. FTA 통한 세계주도권 장악 (0) | 2009.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