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상극과 오행원리에 의한 주택의 기본 배치도
방위 |
관련 구조 |
오행 |
해당 가계 |
동 |
식당. 침실. 현관. 어린이방 |
목(木) |
과일가계 |
남동 |
부엌. 주부의방. 서재. 침실 |
목(木) |
예식장 |
남 |
어린이방. 안방 |
화(火) |
안과 |
남서 |
현관. 응접실. 가재도구실 |
토(土) |
쌀가계. 산부인과 |
서 |
침실. 욕실. 세면장 |
금(金) |
목욕탕 |
북서 |
현관. 차고. 가사실. 욕실. 노인방 |
금(金) |
금은방. 시계방 |
북 |
세면장. 욕실. 식품보관소 |
수(水) |
수산업. 주류업 |
북동 |
현관. 식당. 욕실. 부엌. 가사실 |
토(土) |
복덕방 |
양택 8방위는 동·서사택을 구분하는 기준이며 주역 8괘와 5행이 어우러져 의미로 해석한다
양택에는 8방위가 적용된다. 이 때문에 집 방향이 8개로 나눠진다. 나경으로 역시 측정한다. 나경은 음·양택 방위 측정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셈이다. 양택 방위는 음택 24방위를 3개씩 일괄적으로 묶는 형태를 취하니 8방위가 된다. 그 방향은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북동(北東), 동남(東南), 남서(南西), 서북(西北) 등이다.
나경상으로 동은 묘(卯), 서는 유(酉), 남은 오(午), 북은 자(子)로 정해진다. 북동은 간(艮), 동남은 손(巽), 남서는 곤(坤), 서북은 건(乾)이다. 이 나경상 글자는 각 8방향의 정중앙(正中央)에 있다. 이것을 8개 각 방향의 기준으로 본다. 여기에 좌우로 나경상 글자가 하나씩 더 붙어 양택의 한 방향이 되는 것이다.
갑묘을(甲卯乙)이 동, 경유신(庚酉辛)이 서, 병오정(丙午丁)이 남, 임자계(壬子癸)가 북이 된다. 마찬가지로 축간인(丑艮寅)이 북동, 진손사(辰巽巳)가 동남, 미곤신(未坤申)이 남서, 술건해(戌乾亥)가 서북으로 정해진다. 재미있는 점은 이 8방위에 주역 8괘의 의미가 더해진다. 또 하도낙서의 수로서 생수(生數)와 성수(成數)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생수는 '처음 시작하는 숫자'란 뜻이며 여기에 5를 합한 것이 '완성된 숫자'란 의미의 성수로 알려져 있다.
임자계는 감(坎) 방이다. 사람으로는 '중남(中男)'이며 오행 상 수(水)를 나타낸다. 숫자로는 하도낙서의 생수(生數)인 1과 성수(成數)인 6이다. 축간인은 간(艮)방(方)이다. '소남(小男)'을 뜻하며 오행으로는 토(土)이다. 그리고 하락수 숫자로는 생수 5와 성수가 10이다. 갑묘을은 진(震)방이다. '장남(長男)'을 상징하며 목(木)이며 생수는 3과 성수는 8이다.
진손사는 손(巽)방이며 '장녀(長女)'다. 목(木)이므로 숫자는 역시 3과 8이다. 병오정은 이(離)방이고 '중녀(中女)'에 화(火)이다. 숫자는 생수가 2이고 성수는 7이다. 미곤신은 곤(坤)방으로 '노모(老母)'를 의미하며 오행으론 토(土)이다. 숫자는 토이므로 역시 5와 10이다. 경유신은 태(兌)방이다. '소녀(少女)'이며 금(金)이므로 생수인 4와 성수인 9이다. 술건해는 건(乾)방이며 '노부(老父)'를 나타낸다. 역시 금(金)으로 하락수는 4와 9다.
양택 8방위는 어디에 쓰이는가. 양택의 동사택과 서사택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동·서사택은 각각 8방위의 차이와 구도에 따라 길흉화복(吉凶禍福)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 여기에 주역과 오행, 그리고 하락수의 숫자가 각각 달리 응용되는 것이다.
동사택은 동(東)이란 방향의 특성상 상승하는 기운을 나타낸다. 동쪽에서 해가 힘차게 떠오르는 것을 연상하면 된다. 반대로 서사택은 하강하는 기운이다. 해가 지는 장면이다. 우주만물은 변한다. 날씨도 다양하게 달라진다. 온도, 습도, 기후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같은 장소조차 주위의 미세한 조건에 따라 기운이 달라진다. 온대, 열대, 한대 지방도 각각 지형의 특성에 따라 기운의 차이가 있다. 하루에도 오전이 상승하는 기운이라면 오후는 하강하는 기운이다. 일년 단위로 보면 동지부터 하지까지가 상승하고, 하지부터 동지까지 하강하는 기운에 들어간다.
양택 8방위는 이 같은 자연의 기운을 최대한 인간에게 이롭도록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 방향 나름대로의 특색과 기운이 있다. 이런 양택 방위 이론을 이해한다면 일반적으로 '남향집은 좋고 북향집이 좋지 않다'는 것은 단지 속설에 불과하다.
전통적으로 남향집의 경우, 햇빛이 잘 드는 등으로 여러 이점이 많다고 전해진다. 현실적으로 그런 측면도 있다. 하지만 양택이론과 8방위의 동·서사택 입지 원리에 입각해 풍수적으로 잘 지어졌다면 남향이든 북향이든 집의 방향 자체는 사실상 중요하지 않다.
방위 - 方位
① 풍수지리에서 방위와 관련, 많이 쓰이는 용어가 좌(坐)와 향(向)이다. 이를 합해 좌향(坐向)이라 한다. 좌(坐)는 앉는다는 뜻이다. 북과 남을 기준으로 한 방위 측정에서 어떤 특정 방위에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향(向)은 좌에 자리잡고앉아서'정면으로 보는 쪽, 다시 말해 시선이 가는'방향(方向)이다. 그래서 정북 쪽인 자(子)이 좌가 되면 반드시 향은 반대쪽인 정남의 오(午)가 된다. 좌향은 자좌오향(子坐午向)이 된다. 음택이든 양택이든 만약 정서 쪽에 자리를 잡고 정동 쪽을 보는 형태라면 좌는 유좌(酉坐),향은 묘향(卯向)이다.
이 경우 좌향이라 할 때는 유좌묘향(酉坐卯向)이라 한다. 방위는 보완적, 추가적 의미로 쓰인다. 산 형세와 수세를 살피는 간산(看山)이 주(主)가 되니 방위는 당연히 그에 따른 종(從)이 될 수밖에 없다. 현재 이기적 풍수 논리에 따른 갖가지 방위 이론이 있다. 이 가운데 하남(河南) 풍수의 방위론이 현장 적용에 있어서는 가장 구체적이고 특색이 있는 것 같다. 음택의 길흉화복론(吉凶禍福論)에서는 더욱 그러하다.하남 풍수는 음택의 경우, 나경의 24방위를 활용해 입수 2절에서 입수 1절로 들어오는 입수맥의 방위를 총 72개로 나눈다. 용맥을 따라 올라가며 이어지는 입수 2절 이상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명당 혈 방위의 기준은 간단하다.
나경의 천간이 앞서고 뒤에 지지가 따라오며 짝 지어지는 모양이다. 임자이면 천간과 지지의 배열이 맞다. 이 경우 입수맥은 임과 자 사이의 분금선으로 정확하게 들어온다. 이를 배합(配合)산이라 한다. 입수맥 들어오는 방위가 오른쪽(右旋)이든 왼쪽(左旋)이든 관계없다. 이런 방위는 12개이다. 임자, 계축, 간인, 갑묘, 을진, 손사, 병오, 정미, 곤신, 경유, 신술, 건해 등이다. 이를 분석해 보면 임, 계, 간, 갑,을, 손, 병, 정, 곤, 경, 신, 건은 천간이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는 지지이다. 이 배합 방향 12개도 지지에 따라 세부적으로는 해석이 달라진다. 먼저 12지지에 대한 해석은 역학에서 생지(生支-인·신·사·해), 왕지(旺支-자·오·묘·유), 고지(庫支-진·술·축·미)로 나눠지는 원리와 유사하다. 풍수에서 인·신·사·해는 4손절(四孫節)로 자손이 많이 생겨 번창한다.
이 경우 내룡맥은 대체로 튼튼하고 강하게 형성돼 있다. 간인, 곤신, 손사, 건해 방위이다. 자·오·묘·유는 4귀절(四貴節)이며 관료와 명예를 떨치는 귀인이 난다. 내룡맥은 귀하고 양명(陽明)하게 생겼다. 임자·병오·갑묘·경유 등이다. 진·술·축·미는 4부절(四富節)이고 주로 재물 축적을 상징하며 부자(富子)가 난다. 내룡맥은 둥그스름하고 펑퍼짐한 형태다. 경우에 따라 사룡(死龍)으로 착각하기 쉽다. 을진·신술·계축·정미 등이다. 주의할 점은 입수맥이 들어오는 방위를 나경으로 측정하는 게 고난도 기법에 속한다는 것이다. 특히 용이 살아 움직이는 생룡일 때 그 변화의 특성까지 고려해 입수맥을 읽어야 한다.
하남 풍수의 대가(大家)인 박채양 교수에 따르면 용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꺾어질 경우, 경사도나 회전 각도를 포함해 그 기세의 강약까지 계산해 방위를 잡아야 한다. 예로 입수맥이 우선이면 백호 쪽으로, 좌선이면 청룡 쪽으로 맥 중심이 약 7.5도 비켜 기울어지며 정확하게 배합절의 분금선으로 들어와야 한다. 산이 용처럼 살아 꿈틀거리며 좌나 우로 방위를 전환한다고 가정하면 그 길이나 또는 속도의 차이가 다른 만큼 적정 관성력까지 감안해야 한다는 논리다. 그래서 입수맥을 명확히 찾아내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 산이란 현장과 접하며 나름대로의 노하우와 방법을 터득하는 외에 다른 수가 없다.
② 배합산에 있어 천간과 지지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천간자는 장자나 장손, 지지자는 차자나 차손을 나타낸다. 반면 음방위자는 여자, 양방위자는 남자를 상징한다. 귀절의 임자방위라면 임(壬)은 천간자이므로 장자·장손에 해당되고 양방위이므로 남자에 속한다. 자(子)는 지지이므로 차자·차손이고 남자인 양방위이다. 또 부절 계축이면 계는 천간이므로 장손·장자를 의미하고 남자인 양이다. 지지인 축은 차자·차손에다 음방위이므로 여자라고 풀이한다. 배합절의 지지는 삼합오행이 적용된다. 삼합오행은 오행상 같은 기운을 가진 지지 3개를 하나로 묶은 것이다.
왜 삼합오행이 필요한가. 임자 방위이면 자의 삼합오행인 신·자·진을 묶어 귀절 기운이 같이 영향을 미친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신·자·진은 물기운으로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상징하는 수'(하락수(河洛數))로는 1과 6이다. 하도는 중국 황하(黃河)에서 나온 그림으로 역(易)의 기원이 된다. 낙서는 중국 오제(五帝)시대에 나타난 거북이 등의 45개 점 무늬가 기원이 됐다. 5를 중앙에 놓고 8방(方)에 수(數)가 배치된 구궁(九宮)의 상(象)이다. 구궁도(九宮圖)라 한다. 이때 하락수 1과 6은 무슨 뜻인가. 하락수 1은 만물의 생명 기원인 생수(生數)이며 2,3,4,5까지다. 하락수 6은 만물의 형체를 이루는 성수(成數)로 7,8,9,10까지 해당한다. 이 숫자들은 무슨 용도인가. 풍수지리에서 길흉화복을 논할 때는 발복의 정도나 시기를 암시하는 숫자이다.
인·오·술은 불기운이고 하락수로는 2와 7이다. 해·묘·미는 나무 기운으로 하락수는 3과 8이다. 사·유·축은 쇠 즉 금기운이며 하락수 4와 9이다. 명당 해석의 한 예를 보자. 입수맥이 임자방위인 명당 혈이라면 그 귀(貴)절 기운은 어떻게 작용할까. 음양방위로 남녀를 구분한다. 혈의 상·중·하 위치와 천간·지지를 참조해 장·차손 등을 가린다. 이어 하락수를 적용한다. 임자의 경우, 하락수 관련 숫자가 1과 6이므로 1년이나 1년 6개월 정도가 되면 혈의 발복 기운이 작용한다고 본다. 이 숫자는 혈을 둘러싼 산세 형세나 보국에 따라 6년,10년, 16년… 등등으로 달라진다.
또 재산 액수라면 10억원,16억원,60억원… 등의 사례별로 풀이한다. 임자 방위는 후손 중 특히 자의 삼합인 신·자·진 년에 태어난 사람에게 더욱 길한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보완적인 방위 이론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완벽한 이론으로 맹종하거나 과신해서는 안 된다. 핵심적 판단은 반드시 간산에 의한 산 형세나 보국 형태에 대한 해석으로 이뤄져야 한다. 명당 혈의 방위와 관련,입수 1절의 용맥을 명확하게 판정하기 위해 쓰이는 참고적 방법이 있다. 입수 2절의 용맥을 측정해 보는 것이다.
만약 입수 1절이 계축절 산이 되려면 2절은 간인절 산이 돼야 한다. 그래야 배합산의 요건을 갖추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입수 1절 방위를 배합산이 아닌 축간산으로 보고 명당혈이 아니라고 판정한다. 같은 원리로 을진절 산에는 손사절 산이 있어야 한다. 아니면 불배합산인 진손 산이 된다. 정미절 산에 곤신절 산이 없다면 미곤 산이 된다. 신술절 산에는 건해절이 있지 않으면 술건 산이 된다.
입수 3절 이상의 방위도 용맥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며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계속 생룡의 배합산으로 이어지면그만큼 발복 효력이 길고 커진다. 단 사룡이 나타나면 발복이 멈춰지는 것으로 보고 그 기간에서 제외한다.
③ 배합산이 아니면 당연히 불배합산(不配合山) 방위다. 불배합절(不配合節)이라고도 한다. 불배합산은 나경 24방위 중 입수맥 오른쪽이 지지자이고 왼쪽이 천간자인 경우다. 이때 방위를 재는 기준은 산의 위쪽에서 아래로 봤을 때다. 배합산이 오른쪽 천간 왼쪽지지로 구성된 것과 반대 형태인 것이다. 나경상 '…임자계(壬子癸)…'란 일련의 방위가 있다면 임과 자의 분금선 사이로 입수맥이 들어오면 임자(壬子) 배합절이 된다. 하지만 자와 계의 분금선으로 입수맥이 측정되면 자계(子癸) 불배합절로 분류돼 버린다. 나경의 글자 한칸 차이로 해석이 완전히 달라진다.
이 같은 것으로는 12 방위가 있다. 자계,축간,인갑,묘을,진손,사병,오정,미곤,신경,유신,술건,해임 등이다. 좌선이든 우선이든 관계없이 이들 방위의 분금선으로 입수맥이 들어오면 불배합산이 되는 것이다. 이 중 해임(亥壬), 인갑(寅甲), 사병(巳丙), 신경(申庚)을 불배합손절(不配合孫節)이라 한다. '인(寅)·신(申)·사(巳)·해(亥)'가 생지(生支)로 손(孫)에 해당하지만 배합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길흉화복론으로는 4인패절(四人敗節)이다. 사람이 제명을 다하지 못하고 일찍 죽는 방위로 본다. 해임은 북방 수기운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해를 입는다고 본다. 익사, 약물 등으로 인한 음독 자살 등이 생긴다고 본다. 신체적으로는 오행상 수로 분류되는 신장, 방광 등의 이상을 뜻한다.
인갑은 동방 목 기운으로 흉한 일을 당한다고 해석한다. 간 등의 지병이 해당한다. 사병은 남방 화운을 상징한다. 화재, 폭발물로 인한 피해를 보거나 심장병 등을 함축한다. 신경이면 서방 금 기운으로 해를 입는다. 교통사고,총,칼 등 쇠붙이로 인한 흉사를 당한다. 정신·신경 계통의 질환도 포함한다. 자계(子癸), 묘을(卯乙), 오정(午丁), 유신(酉辛)은 불배합귀절(不配合貴節)로 4재패절(四財敗節)이다. 자·오·묘·유가 왕지(旺支)로 귀(貴)를 나타내지만 배합이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재산을 잃고 빈한해진다. 자계는 주색잡기,축첩 등으로 가난해진다. 묘을은 모든 재산을 탕진하고 거지로 전락할 정도가 된다. 오정은 주로 화재,음행 등으로 재산을 왕창 잃어버린다.
유신은 질병 등 건강 이상으로 가산을 잃는다. 축간(丑艮), 진손(辰巽), 미곤(未坤), 술건(戌乾)은 4병패절(四病敗節)이다. 고질병을 앓는다. 축·미·진·술이란 고지(庫支) 방위답게 등 흉사가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축간은 순음 2자 방위다. 불치이거나 이름 모를 병이 발생하며 산 형세에 따라 불구자가 나기도 한다. 이 방위에서는 백호 쪽이 강하면 여아, 청룡 쪽이 강하면 남아에서 각각 문제가 생긴다. 진손은 음탕한 후손이 나는 수가 많으며 대체로 음행으로 인해 발병한다. 산 형세에 따른 구분에 덧붙여 패철의 기두자에 따른 남녀의 구분을 적용하면 누가 여기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다. 만약 산 형세가 우선인 진손(辰巽)이라면 기두자인 진이 양이다. 따라서 남자가 음행을 한다. 좌선이면 진손을 손진(巽辰)으로 보고 손(巽)이 음이므로 여자가 음행자라고 판별한다.
진손 방위는 입수가 기울어져 들어오면 상처한다. 미곤은 진손 방위와 비슷한 성향이 나타나나 주로 성년층에 해당된다. 반면 진손은 젊은 층이 음행을 일삼는다고풀이한다. 미곤은 특히 후손이 끊겨 양자로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술건은 술과 여자와 노름 등의 잡기로 해를 입는다. 술건 방위에서 특이한 점은 혈을 중심으로 한 산 모양이 삼각형(▲) 모양이면 후손의 남편이 먼저 죽고역삼각형(▼) 형태면 부인이 일찍 죽는다고 한다. 이 방위 역시 산 형태에 따라 손이 끊어지는 수가 많다
④배합절과 불배합절이란 방위를 기준으로 여기에서 파생된 또 다른 방위가 있다. 배합절에서 변화된 방위로는 '배합삼자 무기절(配合三字 戊己節)'이 있고 불배합절에서 나온 '불배합삼자 무기절(不配合三字 戊己節)'이 있다. 배합절 또는 불배합절을 기준으로 좌 또는 우로 이어진 방위 글자가 한자씩 더 붙은 것이다. 먼저 배합삼자 무기절을 보자. 예를 들어 임자의 귀절인 좌선 산이 있다고 하자. 배합삼자 무기절은 입수1절의 용맥이 배합절 방향인 임과 자의 분금선 방향으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정확하게 '자(子)'자(字)를 통과해 들어온다.
이 경우를 귀절 무기(貴節 戊己)라고 한다. 나경 4선상 임자의 좌측 글자인 계(癸)자가 하나 더 붙어 '임자계(壬子癸)'가 되는 것을 말한다. 만약 우선 산이라면 나경 4선상 임자(壬子)의 '임(壬)'자(字)로 입수 1절 용맥이 들어오며 우측 글자인 해(亥)가 추가돼 '자임해(子壬亥)'가 되는 것이다. 반드시 일련의 나경상 3글자를 하나의 조합으로 해 방위가 정해지므로 전체적으로 '배합삼자 무기절'이라 하는 것이다. 배합삼자 무기절은 결국 두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입수맥이 지지자의 중심선으로 들어오고 우선 입수일 때다. 배합방위 좌측의 지지자 다음에 천간자가 한 방위가 더 붙어 3자 방위가 되는 꼴이다.
다른 하나는 입수맥이 천간자의 중심선으로 들어오고 좌선일 경우다. 배합방위 우측의 천간자 앞에 지지자 한 방위가 덤으로 붙어 천간자를 중심으로 3자 방위가 어우러진다. 삼자 무기절은 특히 산의 흐름이 좌선이냐 우선이냐에 따라 길흉화복의 해석이 달라진다. 좌선 3방위와 우선 3방위를 합해 모두 6방위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임자(壬子)·갑묘(甲卯)·병오(丙午)·경유(庚酉)의 귀절을 축으로 한 '4귀절 무기' 2방위,계축(癸丑)·을진(乙辰)·정미(丁未)·신술(辛戌) 등 부절의 '4부절 무기' 2방위,간인(艮寅)·손사(巽巳)·곤신(坤申)·건해(乾亥) 등 '4손절 무기' 2방위이다. 무기절의 경우,입수맥이 우선이냐 좌선이냐에 따라 나경을 읽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우선일 경우 산의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나경을 놓고 보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는 것이다. 반대로 좌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련 순서대로 보게 된다.4귀절 무기는 우선으로는 임자계(壬子癸)·갑묘을(甲卯乙)·병오정(丙午丁)·경유신(庚酉辛),좌선으로는 자임해(子壬亥)·묘갑인(卯甲寅)·오병사(午丙巳)·유경신(酉庚申)이 있다. 송사(訟事)가 일어나는 방위이다. 우선이면 오랜 재판 끝에 어렵게 승소하기는 하나 재판으로 인해 가산을 탕진한다. 승소의 기쁨은 간곳없고 결국 모든것을 잃게 되는 꼴이 된다. 좌선이면 재판에 져서 재산과 명예 등을 잃게 된다. 4부절 무기는 손재(損財) 방위다. 우선은 계축간(癸丑艮)·을진손(乙辰巽)·정미곤(丁未坤)·신술건(辛戌乾)이고,좌선이면 계축자(癸丑子)·진을묘(辰乙卯)·미정오(未丁午)·술신유(戌辛酉)이다. 도둑을 맞거나 사기를 당해 재산을 잃는다. 보증,노름 등도 포함된다.
우선이면 가족 등 본인과 가까운 사람이 피해를 주는 당사자라고 하고 좌선이면 관계가 먼 사람이나 제3자가 피해를 준다고 풀이한다. 4손절 무기는 옛날 용어로는 '혈족이나 근친간의 불륜'인 '상피(相避)'를 나타낸다. 현대적 풀이는 '바람 피거나 음행에 몰입하는 것'이다. 우선은 간인갑(艮寅甲)·손사병(巽巳丙)·곤신경(坤申庚)·건해임(乾亥壬),좌선은 인간축(寅艮丑)·사손진(巳巽辰)·신곤미(申坤未)·해건술(亥乾戌)이다
⑤ 불배합삼자무기절(不配合三字戊己節)은 불배합절(不配合節)에서 파생된 방위다. 불배합절로는 인패(人敗),재패(財敗),병패(病敗)절이 각각 4방위씩으로 모두 12방위가 있었다. 불배합절은 입수맥의 좌·우선 흐름에 관계없이 두개로 조합된 방위 글자다. 그러므로 한 방위로 본다. 이와 달리 불배합삼자무기절은 입수맥 흐름이 좌선이냐 우선이냐에 따라 나경의 방위 글자 조합 자체가 완전히 달라지므로 결국 24방위가 되는 셈이다. 또 좌선이냐 우선이냐에 따라 길흉화복에 해당되는 나경 글자 해석의 주체가 달라진다. 좌선은 좌글자가,우선은 우글자가 각각 중점이 돼 그 상세한 풀이 역시 달라진다. 불배합삼자무기절은 말 그대로 배합이 되지 않는 세글자가 무리를 지어 형성된 흉방위(凶方位)의 산이란 것이다.
이 경우, 나경을 보는 방법에 주의해야 한다. 측정자는 나경을 잡고 산의 위쪽을 향해 선다. 그리고 남북 자침을 맞추고 입수맥을 따라 나경 위쪽(산위를 향한 쪽)의 나경 글자를 읽게 된다. 이 같은 기준으로 불배합삼자무기절을 측정해 보면 두가지 공식이 생긴다. 첫째, 입수맥이 천간자 중심선으로 들어오고 우선 입수일 경우다. 이때 불배합 방위 좌측의 천간자에 이어 지지자가 하나 더 붙는다. 이 3글자가 한 조합이다. 둘째, 입수맥이 중앙 지지자 중심선으로 들어오고 좌선 입수일 때다. 불배합 방위 우측의 지지자 앞에 천간자 한 방위가 더 추가되는 꼴이다. 이들은 '같지 않게 뒤섞인 방위들'로 부동혼궁(不同混宮)이라 한다. 4인패절에서 나온 방위가 4인패무기절(四人敗戊己節)이다. 예기치 않은 불행한 죽음을 당하는 방위다. 오사절(誤死節)이다. 제명을 다하지 못하고 빨리 죽는 것을 뜻한다. 급사, 비명횡사 등이 그 예다.
우선 방위로는 해임자(亥壬子), 인묘갑(寅卯甲), 사병오(巳丙午), 신경유(申庚酉)가 있다. 좌선은 임해건(壬亥乾), 갑인간(甲寅艮), 병사손(丙巳巽), 경신곤(庚申坤) 등이다. 4재패무기절(四財敗戊己節)은 4인패절에서 확장돼 나왔다. 재산을 몽땅 잃게 되는 파산절(破産節)로 통칭된다. 가산을 날려버리고 아주 가난해진다. 우선은 자계축(子癸丑), 묘을진(卯乙辰), 오정미(午丁未), 유신술(酉辛戌)이고, 좌선은 계자임(癸子壬), 을묘갑(乙卯甲), 정오병(丁午丙), 신유경(辛酉庚)이다. 마찬가지로 4병패무기절은 4병패절에서 파생했다. 불구절(不具節)이다. 사고, 질병, 불치병 등으로 인한 불구자가 나는 방위다. 우선은 축간인(丑艮寅), 진손사(辰巽巳), 미곤신(未坤申), 술건해(戌乾亥)이고, 좌선은 간축계(艮丑癸), 손진을(巽辰乙), 곤미정(坤未丁), 건술신(乾戌辛)이다.
이론상으로는 배합방위만 명당이 된다. 배합방위를 제외한 나머지 불배합절,배합삼자무기절,불배합삼자무기절 등은 흉당으로 간주된다. 흉당 중에서도 배합삼자무기절이 흉이 좀 덜 한 것으로 본다. 불배합절이나 불배합삼자무기절의 경우, 흉과 화가 비슷하나 불배합삼자무기절을 더 흉하다고 해석한다. 흉(凶) 풀이는 어떻게 하나. 우선(右旋) 임자계 방위인 배합삼자무기절의 경우, 우측 맨앞자가 양(陽)이므로 해당자가 남자다. 더 나아가 혈형이나 산형에 따라 장차손이 구별된다. 이 중 신(申)·자(子)·진(辰) 생이 화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또 '신·자·진' 하락수인 1과 6의 풀이와 그 응용에 따라 흉사의 연도나 규모를 파악한다. 불배합삼자 방위는 '나경 자(字)의 기운을 먼저 보는 불배합 2자 원리'에 따른 해석을 앞서 하고, 좌·우선에 따라 맨앞자의 삼합 오행 기운도 같이 적용한다. 하지만 방위이론은 참고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다. 방위보다 산형세 해석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吉方으로는 생기·연령·복덕·보필 분류하고 凶方으로 오귀·육살·화해·절명 구분하고 길방에 주거공간을 하고 흉방에 창고를 설치한다
동·서사택(東舍宅)은 8방위에 따라 그 길·흉방이 다르다. 길방(吉方)으로는 생기(生氣), 연령(延令), 복덕(福德), 보필(補弼)이 있다. 생기는 귀절(貴節)로 분류된다. 길기(吉氣)가 생성돼 명예와 귀를 높인다는 뜻이다. 연령은 손절(孫節)이다. 식솔들의 안녕과 화합 및 다산(多産)을 의미한다. 복덕은 식절(食節)이다. 재물과 부를 나타낸다. 보필은 응기(應氣)다.
좋은 기운이 집중적으로 모인다는 것이다. 흉방(凶方)은 오귀(五鬼), 육살(六殺), 화해(禍害), 절명(絶命) 등이다. 오귀는 만가지 병에 시달린다는 백병(百病), 육살은 송사에 휘말린다는 관송(官訟)과 망신,모함에 휩싸이는 구설(口舌), 화해는 파산(破産), 절명은 죽음인 사절(死節)을 나타낸다. 동·서사택 관련 없이 집이 자리잡은 중심지 바로 뒤쪽, 즉 좌가 보필이 된다. 기준이 되는 셈이다.
동사택을 보자. 첫째, 남향집은 북쪽 감좌가 보필 방위다. 이 감좌를 중심으로 8방향 길흉이 나온다. 길방은 중심점에서 북쪽인 보필(북쪽)을 비롯해 이방 연령(남쪽), 진방 복덕(동쪽), 손방 생기(동남쪽) 등이다. 흉방은 간방 오귀(동북쪽),곤방 절명(서남쪽),태방 화해(서쪽),건방 육살(서북쪽) 등이 있다. 둘째, 북향집은 보필 방위가 이방(남쪽)이고 이방의 반대편 감방은 연령(북쪽)이다. 생기는 진방(동쪽)에 있다. 복덕은 손방(동남쪽)이다.
흉방은 곤방 육살(서남쪽), 태방 오귀(서쪽), 건방 절명(서북쪽), 간방 화해(동북쪽) 등이 있다. 셋째, 서향집은 보필 방위가 진방(동쪽), 연령은 손방(동남쪽), 이방은 생기(남쪽),감방은 복덕(북쪽) 등이 된다. 흉방은 화해인 곤방(서남쪽),절명인 태방(서쪽), 오귀인 건방(서북쪽), 육살인 간방(동북쪽)이다. 넷째, 북서향집은 보필 방위가 손방(동북쪽)이 속한다. 복덕은 이방(남쪽),생기는 감방(북쪽). 연령은 진방(동쪽) 등이다. 흉방은 곤방 오귀(서남쪽),태방 육살(서쪽),건방 화해(서북쪽),간방 절명(동북쪽)으로 나눠진다.
서사택도 마찬가지다. 첫째, 서남향 집은 보필이 간방(동북쪽), 생기가 곤방(서남쪽),연령이 태방(서쪽), 복덕이 건방(서북쪽) 등이다. 흉방으로는 육살이 진방(동쪽),절명이 손방(동남쪽),화해가 이방(남쪽),오귀가 감방(북쪽) 등으로 정해진다. 둘째, 북동향 집은 보필이 곤방(서남쪽), 복덕이 태방(서쪽),연령이 건방(서북쪽),생기가 간방(동북쪽)이다.
절명은 감방(북쪽), 화해는 진방(동쪽), 오귀는 손방(동남쪽),육살은 이방(남쪽) 등에 배치된다. 셋째, 동남쪽 집은 보필이 건방(서북쪽), 복덕이 간방(동북쪽), 연령이 곤방(서남쪽), 생기가 태방(서쪽)이고, 흉방은 욕살인 감방(북쪽), 오귀인 진방(동쪽), 화해인 손방(동남쪽),절명인 이방(남쪽) 등 이다. 넷째, 동향집의 길방은 보필인 태방(서쪽), 생기인 건방(서북쪽), 연령인 간방(동북쪽),복덕인 곤방(서남쪽)으로 분류된다. 흉방은 화해인 감방(북쪽),절명인 진방(동쪽),육살인 손방(동남쪽), 오귀인 이방(남쪽) 등으로 잡혀진다.
동·서사택의 길흉 방향에 따라 양택 구도가 달라진다. 길방에는 대문, 방, 거실 등 사람이 주로 출입하며 활동하거나 주거하는 공간을 설치한다. 흉방은 길방의 기운을 최대한 살리도록 한 후, 남겨지는 자투리 공간에 불과하다. 그래서 창고, 서고, 화장실 등으로 쓰인다. 집 운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문은 어디에 만드는가. 동사택은 생기 방향에, 서사택은 연령 방향에 두는 게 일반적이다. 단, 동사택이라도 정북향 집은 북문이 가장 좋다.
양택 방위도 지형을 앞서지 못하고 대지는 중심점에서 방향을 잡아서 길흉을 파악하고대문 중심으로 양택의 각 방위와 접목한다
양택 방위도 음택처럼 방위가 지형을 앞서지 못한다. 생리·인심과 배산임수(背山臨水), 전저후고(前低後高), 전착후관(前搾後寬)이란 양택 지리 여건을 먼저 따져야 한다. 양택 외형 조건이나 가상(家相)이 괜찮으면 방위의 흉이 다소간 감해진다. 반면 양택 입지 여건과 구조까지 나쁘면 방위의 흉·화도 더해진다고 본다.
방위론에 따른 양택 흉·화 해석은 어떻게 하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의 한 예를 보자. 건좌손향 동남향 서사택 의 경우다. 먼저 대지 중심점에 나경을 놓고 각 방향의 길흉을 파악한다. 집 기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문은 진좌 장남목인데 흉방인 오귀 방향에 있다. 그런데 대문과 바로 마주하는 반대편 방은 태좌 소녀금으로 생기 방향에 있다.
비록 좋은 방위라 해도 소녀금이 대문의 장남 목기운을 '금극목(金克木)'으로 친다. 그래서 장남은 이 집에 이사온 지 3년 또는 3년 8개월,아니면 8년…등등 만에 병들어 죽는다. 목은 하락수로 3과 8이기 때문이다. 곤방에 자손, 간방에 복이 있고,또 건방에 보필이 있어 집에 복도 자손도 관운도 있으나 대문 방향이 잘못돼 장남이 화를 당한다.
마찬가지 원리로 동남향 집에 대문이 남향이라면 절명 방위다. 사람이 죽는 인패(人敗)가 발생한다. 오행과 하락수로는 대문의 화기운이 '화극금'으로 노부금을 쳐 노부를 죽게 한다. 그 시기는 집에 입주한 지 2년,2년 7개월,7년… 등이 된다.
동남쪽 집에 대문이 동남향이라면 화해 방위가 되면서 재산을 잃는 재패를 당한다. 이때 노부금이 '금극목'으로 장녀목을 치게 된다. 시기는 3년,3년8개월,8년… 등이다. 정북향 집에 대문이 서남쪽이면 육살 방위로 관재·구설이 생긴다. 노모토가 '토극수'로 중남수를 쳐 5년,5년10개월,10년…등 만에 중남이 화를 입는다.
일반적으로 잘 쓰지는 않지만 두번째 방법도 있다. 집주인 운을 양택 방위와 접목시키는 것이다. 집마다 주인의 명(命)에 따라 운이 달라진다. 대체적 흉·화의 풀이는 첫째와 같다. 단,다른 점은 보필 방위를 집주인이 태어난 해와 연결시킨다. 건방이 보필이니 건방의 명궁(乾命宮이라 함)에 해당하는 사람이 집주인이면 첫번째에서 인용한 방법의 해석이 적용된다.
이 명궁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집 주인이 출생한 해에 따라 상원갑, 중원갑, 하원갑으로 나뉘는 등의 명궁법(命宮法)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건, 곤, 간, 손, 감, 이, 진, 태 등의 8괘가 함수로 작용하면서 생년에 따른 각각의 좌(坐)가 정해진다. 같은 갑자년이라도 1864년 생은 상원갑인 감좌, 1924년 생은 중원갑인 손좌, 1984년 생은 하원갑인 태좌에 해당하는 것이다. 위의 건좌에서의 예처럼 감. 손, 태좌에 해당하는 양택 주인이 보필 방향을 차지할 때 화를 입게 된다.
양택의 입지 및 방위와 관련,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진다. 풍수가들이 어떤 사람의 양택과 음택을 모두 조사해 보면 음택이 좋으면 양택 역시 좋은 가상을 구비하고 있는 수가 많다는 것이다. 누가 풍수적으로 조언한 적이 없어도 희한하게 양택이 풍수지리적으로 길지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또 방위도 길·흉방이 비교적 잘 구분돼 집 내부구도가 잘 배치돼 있다는 평가다. 우연의 일치인지 결과적으로 길상의 집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음택이 나쁘면 양택 역시 화가 닥치게 지어져 있다는 게 대체적 감평 결과다
대문은 동사택때 생기며·서사택때는 연령과 방향을 배치하고 不同宮宅은 대문을 길방에 만드는 개수작업이 필요하다
양택 방위에서 하락수를 적용해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것도 100% 다 맞을 수 없다. 다시 말해 하나의 이론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다양한 지형이나 여러 가지 가상(家相)에서 파생되는 오차를 감안해야 한다. 결코 맹신해서는 안 된다. 결국 양택에 대한 총체적 평가는 지리, 가상, 방위 등을 종합해 판단하는 것이다.
동사택에 서사택 쪽, 또는 서사택에 동사택 쪽 대문이 위치해 있는 집은 일단 흉한 양택으로 꼽는다. 이를 부동궁택(不同宮宅) 구조라고 한다. 또 동사택 방위와 서사택 방위가 혼재돼 있어 동·서 사택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는 경우도 좋지 않다고 본다. 즉 혼합사택(混合舍宅)인 경우다. 동·서사택 구분이 확실해야 하고 대문(大門) 역시 동·서사택의 형태에 맞춰 길방(吉方)에 만들어지는 게 우선이다.
동사택 대문은 생기 방향, 서사택 대문은 연령 방향에 각각 배치하면 좋다. 대문은 양택 기운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대문,다시 말해 출입문은 외부의 공기, 바람, 빛 등과 더불어 외부의 기를 받아들이는 통로 역할을 한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정신적이나 육체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덧붙여 양택 방위의 양기와 음기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형상이 되면 길상(吉相)이다. 이럴 경우, 집 기운의 20%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방위에서 오행의 상생 관계를 20% 안팎의 비중으로 본다. 이밖에 '목과 목', '수와 수' 등 같은 오행끼리라면 최대 10%까지 기운을 지배할 수 있다고 간주된다.
바람직한 양택 구조는 어떠한가. 동사택 예 하나를 보자. 감좌이향(坎坐離向)이라 불리는 남향집(그림 참조)의 경우, 길상으로 집안 구조를 배치하기가 쉽지 않다. 길방인 보필(補弼)을 제외하고, 복덕(福德), 생기(生氣), 연령(延令)이란 길방 모두가 동남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문 방향인 생기 쪽과 집의 좌가 되는 보필을 제외하면 그나마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는 복덕과 연령뿐이다. 하지만 연령마저 집의 앞 방향이 되므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여기에서 대문은 일단 길방인 생기 방향에 놓여졌다. 다음 보필과 복덕 방향을 적당히 안배해 집 구도를 설계하면 된다. 만약 어떤 장소가 흉방이라 해도 길방과 같이 어느 정도 겹쳐진다면 그런대로 좋다고 본다. 그래서 큰 방은 비록 오귀(五鬼)방이 일부 겹쳐지기는 하나 보필 방향이 있어 길하다. 또 방 하나는 육살(六殺)이지만 보필이 일부 걸치고 있어 무난하고, 다른 방 하나는 오귀가 부분적으로 차지해도 복덕과 같이 있어 괜찮다. 단지 욕실이나 서재 등 사람이 주로 기거하지 않는 장소만을 집중적으로 흉방에 배치토록 해야 한다.
반면 태좌진향 서사택 동향집 의 경우는 집 내부 구도를 배치하기가 비교적 쉽다. 왜냐하면 대문인 연령 방향을 제외하더라도 생기,보필,복덕이란 다른 길방이 집 건물 방향 쪽에 모두 몰려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큰방과 방 2개 모두 길방에 쉽게 자리잡고 있는 형상이 된다. 특히 절명(絶命), 육살, 오귀, 화해(禍害)란 흉방이 모두 집 앞쪽에 위치해 있는 꼴이다. 특히 절명 방향은 집 앞 부문에 완전히 열려 있는 쪽에 있다. 이럴 경우, 사람이 죽는 흉사는 결코 발생하지 않는다고 풀이한다.
만약 집의 방위가 좋지 않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부동궁택이라면 대문부터 길방에 다시 만드는 개수작업을 해야 한다. 혼합사택이면 동·서사택을 확실히 구분할 수 있도록 집구조를 고치는 게 급선무다.
1.동쪽 :온 가족의 생기발랄하며 주부는 의욕적, 육체적 , 정신적 건강은 만점가족
2.서쪽 :음식의 맛은 신선도 감소, 가족들의 건강은 휴식하고 싶은 상태, 주부는 의욕 상실, 물과 불의 에너지가 교차하면서 금전 운이 있는 서쪽에너지가 설기 시키고 낭비도 조장시킨다. 서쪽의 주방은 주부나 딸의 불륜에 빠질 수 있는 일이 생길 수도 있으나 이것은물과 불의 에너지가 서쪽의 에너지와 함유되면서 그런 영향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오후의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고 깨끗이 사용하면 각별히 주의하면 막을 수 있다.
3.남쪽 음식은 태양에너지가 너무 강렬하고 화려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렬하고 화려한 양 에너지가 음식에 흡수되어 가족들의 정신이 편안하게 안정되지 못하고 들떠 있게 된다. 특히 주부는 사치, 낭비, 허영심에 빠지기 쉽다.
4.북쪽 :음식은 성실, 근면의 음 에너지를 흡수하면 알뜰한 살림을 사는 사람, 꾸준한 행복을 만드는 사람, 대기만성형의 사람을 만든다. 주의할 점은 주부가 너무 내성적이면 푸념이 많아지거나 비관적이며 병약해질 수 있으므로 명랑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면 괜찮다.
5.동북 : 에너지가 끝나고 양 에너지가 시작하는 방위로써 기본적으로 안정시켜 놓는 것이 최선이다. 동북이 불안정하면 금전 운이 좋지 않게 되며 불의의사고도 부르는 곳이므로 물과 불의 에너지가 복잡하게 교차하거나 사람이 빈번히 드나드는 것도 좋지 않다. 부득이 동북에 주방이 있을 때는 씽크대와 가스렌지 등을 동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하면 흉을 다소 막을 수 있다.
6.남서 :주부는 자상하고 조용하고 조심스럽고 안락한 가정을 만든다. 그러나 지나친 구두쇠가 되기 쉬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특히 양 에너지가 끝나고 음 에너지가 시작되는 방위이므로 항상 깨끗이 한다.
7.서북방 : 남성가장의 방위이므로 주방으로는 절대금물이다. 만약 주방으로 사용하면 집안의 질서는 무너지고 남자가장의 사회적인 명예도 떨어지고 성격이 남성화되고 과부 될 확률이 많다.
8.동남방: 여성에게 최고의 건강과 행운의 방위다. 가족들이 주의 사람들의 도움과 뜻하지 않은 행운을 얻는 좋은 인연이 따르는 방위이다. 동남주방에서 만드는 음식에는 천지인의 양 에너지가 음식에 흡수 되어 가족의 건강은 만점이며 좋은 인연과 행운을 가져다준다.
욕실
1.남서 :소금을 한 그릇을 놓아두면 주부의 병 약 예방책이 될 수 있다.
2.동북 :음 에너지 기가 양 에너지 기가 변화하는 방위임으로 돌발사고가 있을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욕실을 두지 않은 것이 좋으며 만약 있다면 항상 깨끗이 하는 방법 외는 없다.
3.북쪽 :에너지가 수기임으로 물을 많이 사용하면수기의 태과로 남자의 판단력상실과 불륜관계가 심해질 수 있다.
4.서쪽 :습기가 항상 많으면 나쁜 쪽으로 작용하여 주부, 딸이 사치, 외출과다. 심하면 불륜으로 빠질 수 있다.(물의 에너지와 불의 에너지가 서 방위에너지에 작용하여 쾌락과 줄거움의 방위이기 때문에 햇볕을 차단하고 환기를 잘하지 않게 하면 효과가 있다. 서쪽은 사실상여성이사용하는 주방이나 욕실로써는 아무래도 부적합하다.)
5.남쪽 : 건강과 운세와 관계가 있으므로 항상 깨끗이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화장실
위치 |
흉상일 때 생기는 질환 |
좋은 행운의 색 |
北 |
감기. 위장병. 냉증. 스트레스 |
분홍색. 흰색 |
北東 |
요통. 동통. 골절. 탈장. 어깨걸림 |
흰색 |
東 |
호흡기계통의 병. 간장병 |
빨간색 |
南東 |
감기. 신경통 |
녹색. 베이지색 |
南 |
고혈압. 심장병. 눈과 코의 병 |
파란색. 녹색 |
南西 |
불면증. 위장병. 심장병 |
노란색(황금색) |
西 |
호흡기계통의 질환. 치통 |
베이지색. 짙은 갈색 |
北西 |
변비. 정력감퇴. 간장병 |
녹색. 베이지색 |
'부동산테크 >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좋은 집터 고르는 법 (0) | 2009.07.05 |
---|---|
[스크랩] 상생상극과 오행원리에 의한 주택의 기본 배치도 (0) | 2009.07.05 |
[스크랩] 상생상극과 오행원리에 의한 주택의 기본 배치도 (0) | 2009.07.05 |
[스크랩] 생활풍수(행운주택) (0) | 2009.07.05 |
[스크랩] 나와 궁합맞는 방위를 찾아라 (0) | 200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