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구슬 |
종이를 말아서 (일반적으로 삼각형) 만든 구슬이다. | |||||||
모암(母岩) |
보석학의 개념으로는 충적광상(沖積鑛床)의 형성과정처럼 광석(鑛石)의 조각이나 광석, 광물(mineral) 등을 함유하거나 함유된 적이 있는 바탕이 되는 암석. Host rock. | |||||||
빠렌띠 |
20세기 초부터 아름다운 수공예의 은 보석류에서 볼 수 있는 드문 상표이다. Parenti 보석류는 이태리 Florence에서 미국 Massachusetts로 이민 간 두 Parenti 자매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자매들은 구라파에서 은 세공인으로서 훈련을 받았으며, 후에 Massachusetts, Boston, Newbury Street, 97번지에서 상점을 열었다. 1930년대에서 1940-1950년대까지의 작품들이 있다. 자매들은 Cope Cod에 두 번째 상점을 열었다. | |||||||
다색(多色) |
| |||||||
열개(裂開) |
| |||||||
보석장신구(한 벌) |
한 벌의 보석장신구로 일반적으로 한 개의 목걸이 , 귀고리들, 브로치(brooch)와 한 개(또는 두 개)의 팔찌이다. | |||||||
녹청(綠靑) |
경년(經年)의 결과로 물체 표면층이 변한 것. 오랜 동안에 공기에 노출되면 많은 금속들이 산화(酸化)되는데, 구리(copper)와 청동(bronze)는 녹색과 금빛 적색으로 바뀐다. 산(酸, acid)나 전해액(電解液, electrolyte)을 사용하여 새로운 물체에 인공적으로 녹청을 만들 수 있다. | |||||||
파베 |
| |||||||
퍼빌리언 |
| |||||||
퍼빌리언 섬광(閃光) |
다이어먼드와 그 유사석(simulant)를 감별하는 방법의 하나. 현미경으로 아래의 사진과 같이 테이블(table)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암시야 조명(dark-field illumination)으로 관찰한다. 다이어먼드, 스트론티움 타이트네이트(strontium titanite), 합성 금홍석(rutile)은 스펙트럼 색을 나타내지만, 큐빅 저코니아 (cubic zirconia)는 오랜지빛, YAG(yttrium aluminum garnet, 이트리엄 얼루머넘 석류석)은 청색과 특징적인 색을 나타낸다. 다만, 퍼빌리언(pavilion)의 깊이나 돌을 드는 각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
원추 반원형 연마가공(페어) |
Pear cut의 다이어먼드 반지 | |||||||
진주광택(眞珠光澤) |
Essence of pearl 또는 orient essence와 같은 말. | |||||||
퍼얼 그레인 |
천연진주의 거래단위. 0.25 캐럿(carat) 또는 0.05 그램(gram)과 같다. | |||||||
자갈 |
지질학적으로 직경이 4 에서 64 mm까지의 암석 부스러기, 특히 자연적으로 둥글게 된 것. | |||||||
페가서스 |
Pegasus Overseas Ltd. GE(General Electric)의 기술을 이용하여 고온 고압 처리에 의해서 색(色)을 보다 무색에 가깝게 한 처리한 다이어먼드를 판매하는 회사. 이 다이어먼드의 통칭이 Pegasus 다이어먼드이다. Monarch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 |||||||
페그머타이트 |
매그마(magma)의 분화생성물로서 구성입자가 조립인 우백질(優白質)의 암석. 단결정으로 수십 cm에 이르는 크기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정장석, 미사장석, 퍼다이트, 조장석 등이 석영과 문상(文象) 구조를 이루는 암석을 말한다. | |||||||
펠 |
| |||||||
불완전 고리형 브로치 |
| |||||||
매단장식 |
| |||||||
추형(錘形) 연마가공(팽들로크) |
| |||||||
투입쌍정(透入雙晶) |
| |||||||
석화(石化) 작용 |
돌로 변화하는 과정. | |||||||
팬텀 |
결정 내에 보이는 층으로, 결정될 때의 본래 상태를 보여준다. | |||||||
현상(現象) |
보석의 내포물(inclusion)이나 구조(構造)에 기인해 생기는 광학적 효과. 묘안(猫眼,cat's eyes) 효과나, 단백석(opal)로부터 관찰되는 유색(流色)효과가 널리 알려지지만,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현상들이 있다.
| |||||||
인광(燐光)(파스퍼레슨스) |
보석 등이 자외선에 쬐었을 때, 광원을 차단한 후도 잠시동안 지속하다가 소멸하는 광선을 인광이라고 한다. | |||||||
물리적 성질(物理的 性質) |
광물의 특징적인 물리적 성질에는 광학적 성질(optical property)를 포함한 비중(比重, specific gravity, (S.G.)), 경도(硬度, hardness(H)), 점성(粘性, tenacity), 벽개(劈開, cleavage), 파면(破面, fracture), 조흔색(條痕色, streak), 광택(luster), 점성, 자성(磁性), 발광(發光, luminescence), 전기적 성질, 열적(熱的) 성질등이 있다. | |||||||
피디들리 링크스 |
| |||||||
관통(貫通)작품 |
금속을 어떤 형태로 잘라내어 만든 보석류(또는 금속 제작품, metal work)이다. 관통작품은 관통용 톱(piercing saw), 작은 끌(chisel) 또는 형태를 지닌 단조기계로 만든다. 톱을 사용할 때, 금속에 형태를 그려 넣고 나서, 작은 구멍을 뚫고 난 뒤에 그 구멍을 넓힌다. 그리고 나서, 톱으로 원하는 부위로 잘라낸다. | |||||||
피에트라 두라 |
| |||||||
압전기(壓電氣) |
어떤 종류의 결정판(結晶板)(예를 들면, 수정과 전기석(tourmaline)의 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外力)에 비례하는 양, 음의 전하(電荷)가 나타나는 현상. | |||||||
핀 |
| |||||||
피크 |
| |||||||
사광 퇴적물(砂鑛堆積物), 사광상(砂鑛床) |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에 침식작용에 의해서 운반된 자갈, 모래, 혹은 유사한 물질 덩어리들이 퇴적된 광상. 값진 광물이나 보석을 함유하고 있다. | |||||||
대칭면(對稱面) |
두 도형이 한 평면(平面)을 사이에 두고 대칭일 때 대칭의 중심이 되는 일정한 평면. | |||||||
도금(鍍金) |
도금 또는 전기도금(이의 발명자, Luigi Galvani의 이름을 따서 Galvanotechnics라고도 한다)은 전기를 이용하여 어떤 금속에 다른 금속을 피복하는 공정이다. 보석류에서는 비싸지 않은 금속들이 더 비싼 금속들 - 금 도금(gold plating), 동 도금(electrocoppering), 로디움 도금(rhodanzing), 크로우미엄 도금(chromium plating) 또는 은 도금(silver plating) - 로 자주 도금된다. 금속피막의 두께는 다양하다. 전기금박(electrogilded coating)이 가장 얇다(두께 0.000007 인치 (0.0001778 mm) 미만); 금테(gold-cased) 금속들은 0.000007 인치 (0.0001778 mm)보다 두꺼운 피막을 지니고 있다. | |||||||
판상(板狀) |
평평하고 얇은 판 같은 결정의 특징이 있는 정벽(晶癖, habit). | |||||||
유색효과(游色效果, 플레이 어브 칼라) |
단백석(opal)로부터 관찰되는 현상(現象, phenomenon). 단백광(蛋白光)이라고도 한다. 단백석은 silica의 미립자 때문인데, 이 구조가 빛의 간섭(interference), 회절(diffraction)을 가져와, 무지개빛의 구조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 무지개빛의 색을 유색효과라고 부른다. 검정 및 백색 단백석으로부터 관찰되는 가장 바람직한 유색(游色)의 색은 적색이다. | |||||||
다색성(多色性) |
방향에 따라서 다른 색을 나타내는 보석의 성질. 투과광에 의해서 각기 다른 방향에 따라 둘 혹은 셋의 다른 색들이 보이는 복굴절 유색보석의 성질. 결정체 내부에서 각기 다른 진동방향에 따라 빛을 선택 흡수 및 투과하므로써 생긴다. 색 변화(色 變化, change of color)와는 다르다. 후자는, 예를 들면 형광등과 백열전구라고 하는 다른 광원하에서 다른 색을 나타내는 성질이며, 알렉잰드라이트 (alexandrite, 금록석) 등에 잘 알려져 있다. | |||||||
덧댐이 없는 칠보(七寶)(플리카주르) |
| |||||||
기성작용(氣成作用) |
굳어가는 매그마(magma)로부터 분출되는 기체(gas)의 작용으로 인해서 암석의 교대변질(交代變質) 또는 광물형성이 일어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 의해서, 황옥(topaz)와 전기석(tourmaline)이 가끔 형성된다. | |||||||
광혈(鑛穴) |
암석 내의 공동(空洞). 때로는 광물로 채워져 있는 경우도 있다. | |||||||
포인트 |
캐럿(carat)의 1/100 또는 0.002 그램(gram)이다. | |||||||
편광기(偏光器) |
| |||||||
편광(偏光) |
빛의 진동면, 즉 전기장과 자기장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평면에 한정되어 있는 빛. | |||||||
다이어먼드 광택 |
| |||||||
복/다 결정질(複/多 結晶質) |
수 많은 작은 결정들로 이루어진 광물(mineral)을 가리킨다. | |||||||
동질이상(同質異像) |
같은 화학성분이 둘 이상의 다른 결정구조를 형성하는 것. 예를 들면, 탄소는 다이어먼드(등축정계, cubic system)과 흑연(사방정계, orthorhombic system)으로 결정이 만들어진다. | |||||||
다공성 돌(多孔性石) |
다공성 돌들에는 아주 작은 구멍들이 있어서, 물, 기름과 그 밖의 물질들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을 쉽게 바꿀 수가 있다. 터키석(turquoise)를 포함한 많은 돌들이 다공성을 지니고 있다. | |||||||
주입(注入) 유리 |
| |||||||
귀석(貴石) |
귀석(원석(原石, gemstone)이라고도 한다)이란 가치있고 희소성이 있는 것이다. | |||||||
예비성형(豫備成形) |
연마가공작업 중 원석을 대강의 모양으로 깎는 기본 작업형태. | |||||||
일차 광상(一次鑛床) |
원래의 암석(rock)에 그대로 있는 광물(mineral). | |||||||
정방형 연마가공(正方形)(프린세스) |
| |||||||
프린세스 길이 |
프린세스 길이 목걸이(necklace) (일반적으로 진주 목걸이를 가리킨다)는 길이가 45.7 cm (18")이다. | |||||||
각주(角柱) |
| |||||||
서약(誓約)반지 |
예비 약혼반지로,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돌을 지니고 있다. | |||||||
갈래부착 |
갈래부착 돌들은 작은 금속 물림쇠(claw)들로 견고하게 부착된다. | |||||||
비율(比率) |
연마가공석 각부의 상대 비율이나 각도를 가리킨다. 원형연마가공(round cut)의 경우는 평균 직경을 100%로, 변형 연마가공(fancy cut)의 경우는 폭을 100%, 퍼빌리언(pavilion)의 깊이, 테이블(table) 크기 등을 표현한다.
| |||||||
초생 내포물(初生內包物) |
기존의 존재하던 광물이 나중에 생성된 결정(結晶)에 갇히는 경우, 기존의 광물을 초생 내포물(inclusion)이라고 한다. | |||||||
프라비든스 |
| |||||||
가정(假晶) |
어떤 광물이 그 광물 고유의 결정형(結晶形)을 가지지 않고, 다른 광물의 결정형을 가지는 것. 예, 규화목(petrified wood). | |||||||
황철석 내포물(黃鐵石 內包物) |
| |||||||
초전기(焦電氣) |
어떤 종류의 결정(結晶), 예를 들면 전기석(tourmaline)의 일부를 가열하면 극성축의 양단면에 각각 다른 부호의 전하(電荷)가 나타나는 것. 피로전기라고도 한다. 18세기 무렵부터 알려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압전기(piezoelectricity)가 생기는 결정체에서 이 현상을 볼 수 있다.
|
'사람테크 > 양호보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석머리글N (0) | 2009.07.05 |
---|---|
[스크랩] 보석머리글O (0) | 2009.07.05 |
[스크랩] 귀금속, 보석관련 추천홈페이지 (0) | 2009.07.05 |
[스크랩] 일반보석의 종류 및 특징 (0) | 2009.07.05 |
지하철광고 (0) | 200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