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테크/용어사전

[스크랩] 건축주가 알아야 할 필수 건축용어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7. 19. 18:54

건축주가 알아야 할 필수 건축용어

 
기초(foundation)
1층 아래나 지반면 아래 구조물의 지지부분. 1층 바닥 아래쪽에서 건물을 지지하는 구조. 기초는 지정 위에 건축되며 건물의 무게를 지면에 전달한다. 건물을 지반 위에서 지탱하는 최하위의 구조로, 독립기초, 줄기초, 온통기초가 있다.
건축선
건축선은 건축할 수 있는 선, 즉 도로 경계선을 일컫는 말로 그 부분까지 건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도로너비가 부족한 경우에는 그 도로 중심선에서 필요한 도로 너비의 1/2을 띄운 선이 건축선이 된다. 예를 들어 통과되는 도로의 너비가 2m인 골목길이라면 골목길 중심에서 4m의 1/2인 2m를 띄워야 한다. 양쪽으로 2m씩 떨어진다면 나중엔 4m의 도로가 확보되는 셈이 된다. 결과적으로 건축할 대지에서 1m를 후퇴하여 건축해야 하는데 후퇴한 1m부분은 대지면적에서 제하고 나머지만으로 건폐율이란 용적율 등을 산정하게 된다.
건축한계선
건축물의 지상 부분이 수직면을 넘지 못하도록 한 선을 말한다.
건축지정선
건축물의 1~3층까지 벽면의 위치를 적어도 1/2이상이 접하도록 지정한 선을 말한다.
건축면적
건축 면적은 대부분의 경우 1층의 바닥 면적을 이른다. 대지에 지어진 건물을 살짝 들어냈을 때 바닥을 가린 면적이다. 예를 들어 총 6백평의 건축물이라 해도 1층 면적이 120평이면 그 건축면적은 120평인 것이다. 물론 이 면적이 대지 면적을 상회할 수는 없다.
건폐율
건축면적이 대지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다. 건축면적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후 1백을 곱하여 구한다. 건폐율은 지역에 따라 건축법규로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자신의 건축을 지으려는 이는 먼저 이 건폐율을 반드시 먼저 확인해봐야 한다. 건폐율은 건축의 신축시 전체 면적을 결정 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세월의 흐름이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바뀌는 경우도 있음으로 건물의 매입, 수선시에도 반드시 고려해야 되는 사항이다.
개축
기존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내력벽ㆍ기둥ㆍ보ㆍ지붕틀중 3가지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철거하고 그 대지안에 종전의 규모와 같거나 작게 건축물을 다시 짓는 것을 말한다. 개축시에는 반드시 기존건축물에 비해 건축면적ㆍ연면적ㆍ높이ㆍ층수 등의 규모가 같거나 작아야 한다.
가새(Brace)
벽이나 바닥에 적용하는 경사진 골조 부재로 구조물에 강성을 부여한다. 흔히 골조가 완성되기 전까지 벽에 임시로 사용한다.
가설공사
건축공사 중에서 규준틀, 비계, 가설울타리나 현장 사무소, 양생 등 건물이 완공되었을 때에는 불필요하게 되는 부분에 관계한 여러 가지 공사의 총칭
가로보조목
샛기둥 또는 장선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목재띠로서 벽 또는 청정 마감재료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가설발판
임시 작업대 및 그 지지구조
간막이벽
건물의 특정 층에서 공간을 세분하는 벽
거푸집
부언허기 콘크리트에서 원하는 형태를 주기 위한 일시적인 형틀
건식벽(Drywall)
큰 시트나 패널에 설치하는 실내 커버재료. 이 용어는 석고보드와 동의어이다.
결합부(Joint)
두 부재가 만나는 부위
계단수평거리
계단의 앞부터 뒤까지의 순수폭 또는 계단 플라이트의 수평거리
계단옆판
계단 디딤판을 지지하는 부재. 흔히 두께 2인치의 널판으로 디딤판을 대도록 파낸다.
고정볼트(Anchor bolt)
목재 토대를 콘크리트나 벽돌의 바닥, 기초벽에 고정하는 볼트. 목재부재를 콘크리트나 벽돌에 결합시키는 철물
골서까래
지붕골을 형성하는 경사서까래
골조개구부(Rough opening)
문 또는 창문을 달 수 있도록 골조부재에 설치된 개구부
귀퉁이(Hip)
인접한 두 개의 경사지붕이 비스듬히 만나는 솟아오른 각.
규격목재
두께 2~5인치, 넓이 12인치까지의 목재. 바닥장선, 서까래, 샛기둥, 플랭크, 대들보 및 기둥을 포함
끝막이보(Header)
바닥, 벽체 또는 지붕에서 개구부로 인하여 길이가 짧아진 구조부재의 끝을 가로질러 설치함으로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

 
내부결로
천장, 벽, 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로 표면 결로에 상대되는 말
난간동자
계단과 발코니, 현관의 측면에 사용되는 난간의 수직부재
내력벽
수직하중과 자중을 지지하는 벽으로 상부 구조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벽체
내진벽
내력벽의 하나로 특히 지진력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할 목적으로 설계되어진 벽체. 라멘구조에서는 내진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기둥, 보의 수평력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내화벽돌
굴뚝이나 난로 등 불에 닿는 부분 등에 사용되고 특히 내화성이 우수한 벽돌,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을 원료로 하고 보통 1,580˚C 이상의 내화성이 있다. 특수벽돌 중의 하나
내후성
일광, 폭우, 기온의 영향력에 대한 저항력을 말한다. 주로 외벽 마무리재에 해당된다.
눈썹지붕
벽 또는 지붕끝에 달아낸 폭이 좁은 지붕

 
단면도
건물이나 가구의 절단면을 표시하는 도면의 총칭. 건물의 경우 천장높이, 계단 높이 등 높이 방향의 형상과 치수의 표시, 건축 기준법의 높이제한 검토 등을 하기 위하여 작성한다. 가구의 경우는 보이지 않은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표현한다.
도리(cross beam)
기둥의 두부를 연결하는 것과 함께, 상량이나 지붕보를 받는 수평재(가로재), 도리에는 처마도리, 중도리, 뒷도리가 있다.
도머
천장 작은 방의 채광을 위하여 지붕의 경사면에 돌출된 모양으로 만드는 지붕창
돌림띠(string course)
벽, 천장, 처마 등의 가장자리에 가로로 길게 돌려 댄 띠, 처마밑 벽면에 댄 것을 처마돌리띠라 하고, 장식을 겸한 차양 또는 물끊기의 역할을 한다.
대지면적
대지는 건축할 수 있는 땅을 말한다. 대지는 토지 안에 포함 된 개념으로 보지만 토지가 반드시 대지인 것은 아니다. 대지면적은 건축물 대장에 표시된 면적만을 가리키며 따라서 이는 토지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다. 건축허가시 적용되는 건폐율이나 용적률은 대지면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디딤면
계단의 밟는 바닥부분을 말한다. 건축기준법에서는 디딤면, 계단폭 등의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룰루핑(Rolled roofing)
섬유나 포화아스팔트로 구성된 루핑재료로 싱글 등의 지붕커버의 덮개 위에 쓰인다.
래프터
지붕의 기울어진 골조를 형성하는 부재 또는 트러스의 상부에 설치된 코드를 래프터라 한다. 위치와 용도에 따라 히프(hip), 잭(jack) 또는 밸리(valley)라고도 명명된다.
리징
대각선 연결이라 불리우며, 연결체를 조이스트 사이에 연결시키고 스크류 또는 용접을 고정한다.
루버(louver)
개구부에 설치한 가동성의 비늘판으로 각도를 조절하기에 따라 채광이나 환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실내용과 옥외용이 있다. 또 조명기구에 붙인 그레어 조절용의 비늘판도 루버라고 한다.


 
마구리
목재의 섬유방향과 직각인 횡단부의 끝면
마룻대(Ridge board)
지붕의 용마루에 설치하는 판재로 서까래의 상단마구리에 접합한다. 서까래의 위쪽 끝면이 부착되는 수평 널판이다. 지붕의 장점, 즉 용마루에 있는 중심틀 부재. 지붕 서까래가 양옆에서부터 그 틀에 끼워진다.
막힌줄눈
돌이나 타일 붙임 등에서 보여지는 부재를 반정도씩 비키어 놓으면서 붙이는 방식
맞배지붕
박공집우과 비슷한 형태의 지붕이지만 지붕마루의 한쪽이 2개의 지붕면으로 구성되며 이중 낮은 지붕면이 높은 면보다 더 경사가 급하다.
밑깔도리
골조벽의 하단 수평부재
맨사드지붕(Mansard roof)
지붕의 4면이 2가지 경사로 구성되고 아래경사면이 위경사면보다 더 급한 각을 가지며 똑같은 처마높이에서 끝난다.
모임지붕(Hip roof)
건물의 네 측면으로부터 경사져 올라오는 지붕형태. 4개 이상의 고정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지붕으로서 모든 지붕면이 동일한 처마높이에서 지붕마루까지 연결된다.
목재장선(Sleeper)
바닥에서 콘크리트속에 박히거나 위에 직접 놓이는 부재로 바탕바닥이나 플로링을 지지하고 접합하는데 사용한다.
몰딩(Moldong)
조형, 그 요철에 따라 장식하는 것. 건물의 기둥각과 테두리, 가구의 각부 등에 연속적으로 새겨 넣어진 장식적인 가공
무결점재(Clear wood)
옹이를 가지지 않는 목재
무광페인트
고농도의 염료를 포함하고 편편하거나 무광택 마감으로 건조되는 내장페인트
문선(Trim)
건물의 마감재료로서 개구부 주위에 작용하는 몰딩(창문의 문선)이나 방바닥과 천장에 설치하는 몰딩
문지방
개구부의 하단에 부착된 바닥 마무리 면과 스토퍼를 겸하는 수평으로 된 부재. 경목이나 돌, 스테인레스 등이 사용된다.
모임지붕
용마루에서 만나는 네 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지붕

 
벽면선
건축물의 1층 또는 특정층 벽면의 위치가 넘어서는 안되는 선을 말한다.
바닥밑판
카펫이나 비닐타일, 리놀륨 등의 유연성 바닥재료 아래 설치하는 재료로서 이러한 재료를 깔 수 있도록 매끈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박공지붕
2개의 고정 경사지붕이 지붕꼭대기의 마루부분에서 만나는 지붕형태. 지붕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측면벽이 용마루까지 산형으로 된 지붕, 맞배 지붕이라고도 한다. 배향성 스트랜드 보드(Oriented strand board : 일명 OSB)층으로 구성된 구조용 플레이크 보드의 일종으로, 각 층은 한쪽방향으로 배열된 압축된 스트랜스형 목재 파티클로 구성되며, 각 층은 서로 직각 으로 배열한다. 각 층은 페놀수지로 접착한다.
버팀재
장선에 가새를 대기 위하여 지간의 중앙에서 바닥장선 사이에 대각선으로 끼우는 작은 목재 또는 금속부재
벽덮개
벽체의 외부를 덮어 구조성능을 부여하는 판재료로서 합판이 주로 사용된다.
보(Beam)
부재의 횡방향으로 적용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부재. 목재 또는 철로된 치수가 큰 수평구조 부재
보색대비
서로 보색관계가 되는 색을 배열하여 상대 색상을 강조하는 현상. 푸른빛을 띤 녹색 잎사귀와 그를 배경으로 한 등색의 감귤이 서로 그 인상을 강하게 하는 현상
보강판(Gusset)
구조부재들을 서로 결합시켜주고 결합력을 강화시켜 주기 위하여 부재의 양면에 덧대어 주는 합판 또는 금속조각
비내력벽
자중 외에 어떠한 하중도 지지하지 않는 벽
비늘창
환기를 시키며 비와 햇빛을 가리고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배열되는 일련의 수평널을 가진 개구부
비흘림(Flashing)
지붕과 벽시공에 사용되는 금속시트 등의 재료로 구조물의 인접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블록킹
바닥, 벽 또는 천장부분에서 마감재료 또는 부속물을 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비구조적 부재

 
사이딩(Siding)
지붕이나 외벽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용 부재
상인방(Header)
문, 창 등 개구부위에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 구조부재. 일명 헤더
샛기둥(Stud)
일련의 얇은 목재나 금속의 수직 구조 부재로 간막이벽내에서 지지하는 요소로 설치된다.
서까래(Rafter)
지붕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일련의 구조부재. 평편한 지붕서까래는 지붕장선이라 불리기도 한다. 지붕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일련의 구조용 부재중의 하나
스퀘어(Square)
지붕재료에 흔히 적용되는 측정단위로서 9㎡의 표면을 까는데 충분한 양을 말한다.
스터드
벽체를 이루는 기본요소로서, 하중을 받거나 또는 받지 않는 수직 골조부재이다. 스터드는 그 길이가 층간 높이와 같은가 또는 그렇지 않는가에 따라 각각 킹 스터드(king stud) 또는 크리플 스터드(cripple stud)라 구분되어 명명되기도 한다. 이때, 크리플스터드는 개구부 헤더와 상부판 사이에 설치되는 짧은 스터드 등을 가리킨다.
스타코(Stucco)
원래는 대리석과 비슷한 마무리의 도벽재료로 대리석가루나 점토가루를 소석회에 섞은 것. 현재에는 모르타르와 합성수지를 써서 미장공사나 뿜칠공사로 큰 거친 면으로 마무리를 말한다.
슬래브(Slab)
지면위에 부어넣은 콘크리트 바닥
시멘트 모르타르
벽돌이나 돌 사이를 붙일 접착제로 사용할 모래와 물, 시멘트의 혼합물
신축
건축물이 없는 나대지나 기존건축물이 철거 또는 멸실된 대지에 새로이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부속건축물만 있는 대지에 새로이 주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을 포함하나 개축 또는 재축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슁글(Shingles)
아스팔트나 유리섬유, 석면, 목재, 기와, 슬레트 등의 재료 또는 아스팔트와 펠트로 조합한 재료가 사용된다.
쉬딩
건물 골조인 벽, 천장, 바닥 및 지붕을 둘러싸는 합판, 석고, 목재, 섬유,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

 
용적률
건축물이 들어선 대지의 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즉 연면적을 대지의 면적으로 나눈 후 1백을 곱한 지수가 용적률이다. 따라서 대지에 들어선 건축물의 부피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어느 지역에 허용된 용적률의 치수는 건축 법규에 규정되어 있다. 도심지 같이 고층 건물이 들어선 곳은 당연히 용적률이 높은 곳이며, 임야나 농어촌 지역에서는 용적률이 낮다. 건축법은 이런 용적률의 상한선을 그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반영함으로 건축물의 과밀화를 제한하기도 하고 환경적인 배려를 꾀하기도 한다.
연면적
대지에 들어선 건축물의 총 바닥 면적을 연면적이라 한다.
예를 들어 총 4층의 근린생활시설을 지었을 경우 각 층의 바닥 면적이 120평이라면 연면적은 120×4=480평이 된다. 이것이 연면적이다. 연면적이라는 말 그대로(바닥)면적을 모두 연(합)하여 계산한 것이다. 건물을 매입하였을 경우나 신축하는 경우 이 연면적이 부동산 가치의 척도가 된다. 다만 연면적에는 공유 부분(계단이나 복도)과 벽의 일부가 함께 계산됨으로 보다 자세한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축 도면과 맞추어 봐야 한다.
안료(Pigment)
페인트나 에나멜에 색상을 추가하는 데에 사용할 목적으로 적절하게 제조된 고체분말
연도(Flue)
연기나 가스 증기가 올라가는 굴뚝내의 공간이나 통로. 각 통로를 연도라 하며, 연도는 다른 재료 및 주변 벽돌과 함께 굴뚝을 구성한다.
용마루(Ridge)
2개의 경사지붕면의 상단모서리가 만나는 수평의 선
앵커볼트
외벽의 밑판을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에 고정시키거나 문지방을 기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기초에 깊숙이 박는 나선줄을 갖는 볼트

 
지붕골
구배지붕이 맞닿는 부분에 생기는 골짜기형 부분
지붕구매
수평면에 대한 지붕면의 경사진 정도. 빗물이 흘러내리게 하는 것이 목적이며, 지붕을 이는 재료의 종류와 구법에 따라 잡는 구배가 다르다. 표시방법은 수평길이 1자에 대한 지붕면의 치올린 높이의 치단위로 나타낸것과 수평면과 지붕면이 이루는 각도로 나타낸 각도구배가 있다. 지붕물매라고도 한다.
장선(Joist)
통상 두께 2인치 재를 사용하는 일련의 평행보로 바닥과 천정하중을 지지하며, 장선은 큰 보다 내력벽으로 지지된다. 바닥 또는 천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평행하게 사용되는 수평구조부재로서 벽체, 보 또는 큰보에 의하여 지지된다. 바닥과 천장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역으로 더 큰보, 대들보, 지지벽 또는 기초에 의해 지지되는 일련의 평행틀 부재 중의 하나
장선마루
장선으로 지지하는 바닥조로, 스팬이 2m 정도까지의 바닥에 사용된다. 2×4공법에서는 1단의 바닥조가 적당한다.
적삼목
북미 캘리포니아주에서 생산되는 삼목과의 침엽수로 수령이 아주 길고 큰 것은 나무 높이 90m 정도에 달하고, 직경 2~4m 가 된다. 재질은 부드럽다.
조이스트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지붕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작은 보로써, 그것의 형상은 스터드와 같이 리프를 갖지만 수평으로 설치된다.
조적식(Masonry)
돌이나 벽돌, 콘크리트, 속빈타일, 콘크리트 블록, 석고 블럭 등의 건축단위나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를 몰타르로 함께 붙이는 벽이나 피어 등의 요소의 조합
중도리
지붕의 보통 서까래를 지지하는 수평의 큰 각재. 맞배지붕에서 상부 및 하부 서까래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골조부재
지간(span)
벽과 기둥, 피어, 보, 큰보, 트러스 등의 구조지점 사이의 거리. 구조용 부재의 지지대 사이의 거리
증축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안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ㆍ연면적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기존건축물이 있는 대지에 증축하는 것은 기존건축물에 붙여서 짓거나 따로 짓는 것에 관계없이 증축이 된다. 또한 건축물에 부수되는 시설도 건축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기존건축물이 있는 대지에 담장을 쌓는 것도 증축에 해당된다. 증축을 할 때에는 방화ㆍ피난 또는 구조상의 문제나 건폐율ㆍ용적율ㆍ높이제한 등에 관한 법을 정확히 검토해야 한다.
재축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기타 재해에 의하여 없어진 경우에 그 대지안에 종전과 동일한 규모의 범위 안에서 다시 짓는 것을 말한다. 그 밖에 우리가 흔히 듣는 '00를 이전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그 주요 구조보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동일한 대지 안의 다른 위치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집성재(laminated timber)
래미너나 소형각재를 섬유 방향과 평형으로 하여 접착한것. 작은 재료부터 큰 단면으로 긴재료가 가능하고 강도가 거의 일정하여 건조를 완전히 끝내기 때문에 결함도 적다.

 
챌면(Rise)
계단에서 계단챌판의 높이
챌판(Riser)
계단디딤판 사이의 공간을 막는 수직 판재. 인접한 두 개의 계단디딤판 사이의 수직널판
천창
천창 혹은 지붕면에 설치된 창으로, 채광상 톱라이트라고도 알려져있다. 일반 측창보다도 효율적이고 유효채광면적으로서는 3배의 면적으로 확산된다.
추녀(Hip)
지붕의 두 사면의 외각으로 마주치는 부위
층식구조
벽체골조가 완성된 상자형 토대 위에 건축되는 건축형태로서 연속외벽(balloon)또는 버팀(braced)구조에서와 같이 장선과 샛기둥이 직접 결합되지는 않는다.
층도리
기둥(통주) 사이의 내외주벽에 달린 것. 기둥의 이음재나 2단의 상량을 지탱하는 역할만이 아니라 기둥을 개입시켜 간접적으로 지붕의 하중도 부담한다. 접합부는 적당한 철물을 선택 사용하여 보강해야 한다.
초경량 형강
1mm 내외 두께의 박판을 가장 유효한 형상으로 구부려 만든 경량 형강(Light Gauge Steel Section)으로 이를 사용하여 세워지는 스틸하우스는 구조물의 무게를 감소시켜 시공시의 용이성을 가져온다. 스틸하우스의 구조부재는 미국 2"×4" 경골 목구조(Balloon framing)의 목조를 초경량 형강으로 바꾸어 사용한 것으로서 하중이 가볍다. 비내력벽은 강판두께 0.8mm의 스터드. 외벽 및 내력벽은 1.0mm 와 1.2mm의 스터드가 사용되며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서는 스터드의 갯수와 두께를 증가시켜 보강하면 된다.

 
코(Nosing)
몰딩이나 물끊기의 내민 모서리. 계단 디딤판의 내민 몰딩에 흔히 적용된다.
코오니스(Cornice)
추녀선에서 물매지붕의 내밈으로 흔히 처마돌림과 닫힌 코오니스에 사용되는 처마반자, 몰딩으로 구성된다.
코오니스 리턴(Cornice return)
벽이 박공벽 지붕선과 만나는 지붕 구석에서 코오니스의 아랫쪽. 코오니스 리턴은 구조요소가 아니라 문선의 역할을 하며, 수평 추녀선으로 부터 박공의 물매지붕선까지의 매개 역할을 한다.
코드
트러스의 주요부재를 일컬으며, 지붕 트러스에서 상부 코드를 래프터라 하고, 하부코드는 천장 조이스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코킹(Caulking)
물과 공기가 새지 않도록 접합부를 실러로 채우거나 막는 것. 접합부를 밀봉하는 재료
큰보(Girder)
길이방향의 지점에서 하중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목재나 강철의 큰 또는 주요보

 
테라스(terrace)
건물의 앞면에 있는 노천의 대모양 부분. 노대라고도 하고 건물의 연장으로 보는 것을 노단이라 하고, 정원안에 독립하여 축조한 것을 원단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테장선(리본 또는 띠 장선)
주택 외부 주위에서 장선의 끝과 마주치는 수평 목재 부재로서 장선을 추가로 지지하고 한데 묶는다.
토대(Sill plate)
기초 또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설치되는 벽체의 가장 아래 깔도리. 기초의 윗면에 부착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구조부재로 기초 위에 놓여져서 바닥 시스템과 틀을 세우는 것을 지지한다.
토지면적
건축법에서 정의하는 대지를 포함, 건축의 가능여부와 고마계 없이 모든 땅을 일컫을 때 토지라고 하며, 토지면적은 전(田), 답(沓), 잡종지(雜種地), 대(垈)등 지목과 관계없이 지적상 1필지로 구획된 전체면적을 말한다.
트랙
트랙은 러너(runner)라고도 명명되며, 그 설치위치에 따라 상부트랙(top track)과 하부트랙(bottom track)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각은 모든 스터드를 상부 및 하부에 고정시키는 스터드 벽체의 수평부재 이다.
트러스(Truss)
삼각형 요소로 구성하여 접합한 구조물로서 긴 지간의 보로 설계되지만 각 부재는 보통 축응력, 즉 인장이나 압축응력만 받는다. 지붕건축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긴 지간거리에 걸쳐지는 구조체
틈막이재(Barren)
접합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목재의 좁은 띠장이나 합판 또는 넓은 판재 위에 장식으로 설치하는 수직 부재

 
평과㎡
㎡(제곱미터/건축 용어로는 헤베로 읽는다)는 서양의 단위이고 평은 우리의 도량 단위이다. 아마 그렇게 생각하는 이가 있다면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미터 단위는 사실 서양에서도 생소한 근래의 산물이다. 1평은 약 3.3㎡로 본래 한 사람이 편히 눕거나 앉아서 책을 볼만한 면적을 이름이다. 따라서 이러한 면적 개념은 휴먼 스케일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1헤베(㎡)를 평으로 바꾸는 계산은 해당 면적을 3으로 나누면 근사치가 나온다. 그보다 정확한 계산은 해당면적에 3을 곱한 뒤 10으로 나누면 된다. 예를 들어 1백㎡의 면적인 경우 3을 곱하여 3백으로 계산한뒤 10으로 나누면 30평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패널(Panel)
얇고 평평한 목재나 합판 등의 재료로서 선대와 막이를 사용하여 문을 짜거나, 장식벽 처리용 두꺼운 재료에 몰딩한 모서리를 가진 홈을 가진다.
피어(Pier)
수평단면이 흔히 장방형인 벽돌기둥으로 다른 구조부재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평면도
건물이나 가구 따위의 수평투영도의 총칭. 건물의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약1m 정도의 높이로 된 평단면도가 된다.
포치
외벽에서 돌출한 형태의 차양이 있는 부분을 말한다. 현관 포치가 그 예이다.
필로티(pilotis)
기둥, 열조 등의 뜻으로 근대건축에서 쓰이는 기법의 하나가 되었다. 건물이 지상에 필로티만 받쳐져 있고, 그 위에 3층 이상이 구성되는 수법이다. 이 공간은 자동차나 공중을 위한 동선으로 개방하고, 집무나 거주를 위한 공간은 2층 이상에 둠으로써 그 활동이 1층에서 생기는 동선에 방해되는 일이 없게 한다.

 

하이탱크
변기의 세정용 수조로 천장에서 가까운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변기를 세정한다. 수세식의 경우 소리가 크고 고장시 수리가 어렵다.
합각지붕
건물의 측면에서 급경사지만 건물 중심부를 횡단하여 낮은 물매를 가지는 지붕. 이를 사용하면 다락을 2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홈통이나 처마홈통
주택의 처마 밑에 처마를 따라 설치하는 금속이나 비닐의 낮은 홈통으로 지붕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담아 내려보낸다.
화염막이(Fire block)
안보이는 공간을 강하고 견고하게 막는 것으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골조벽에서 화염막이는 2×4재를 이용하여 샛기둥 사이에 설치한다. 장선 또는 서까래 사이에 수평으로 못박기 되어 부분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막음으로서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춰 주는 역할을 하는 짧은 구조 부재
환기구(Vent)
파이프나 덕트, 방충망이나 루바를 댄 개구부로 공기 유통의 출입구를 말한다. 일반적인 형태의 지붕 환기구에는 용마루 환기구와 처마반자 환기구, 박공벽 환기구가 포함된다.
함수율(Moisture content)
목재에 함유된 수분의 무게로 목재 전체 무게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목재는 공기 중에 방치되면 함수율이 약 15% 정도 까지 떨어진다.
형강
특정한 단면상태로 열간압연된 구조용 강제의 총칭. 그 단면형에 따라, 상형강, I형강, 홈형강, T형강, H형강 등이 있다. 철골조 건물이 기둥이나 보에 쓰인다.
헤더
조이스트의 말단부에 교차하는 수평 골조부재이며, 스터드 또는 트랙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횡가재
건물의 구조부재 중에서 수평으로 되어있는 것의 총칭. 일반적으로는 토대, 보, 도리 등 주요 구조 부재에만 사용되는 호칭으로 장선같이 소단면의 것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흡음률
재료의 흡음 정도를 나타낸 수치로 흡음된 에너지의 입사한 에너지의 대한 비로 나타내어진다.일반적인 기준에서는 털ㆍ나무ㆍ흙ㆍ돌ㆍ금속 순으로 단단하고 무거울수록 흡음률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잘못된 현장 속어
 


가꾸목 - 각목
가다 - 틀ㆍ본ㆍ꼴
가베 - 벽
고단스 - 작은 장
공구리못 - 콘크리트 못
노가다 - 토공
닛빠 - 니퍼
다이루 - 타일
도라무 - 드럼
리야카 - 손수레
메이카 - 제조회사
몽키 - 몽키스 패너
빠루 - 노루발못 빼기
빠빠 - 페이퍼, 연마지
뿌라이야 - 프라이어
샷슈 - 새시
스뎅 - 스테인레스
시마이 - 마감
아시바 - 비계, 비계발판
이중와꾸 - 이중창틀
패널 - 패널
 

 
가끼나라시 - 긁어 고르기
가다와꾸 - 거푸집
갭 - 간격
공구리 - 콘크리트
나가시다이 - 개수대
누끼 - 꿸대, 빼냄
다이 - 대
덴죠오 - 천장
도란스 - 변압기
만땅 - 가득
멘나라시 - 면고르기
빠데 - 퍼티
베니야 - 합판
뿌라구 - 플러그
사양서 - 시방서
소지 - 청소
스미 - 먹긋기
씽크대 - 개수대
연와 - 벽돌
입바이 - 가득
후끼칠 - 뿜칠

 

출처 : 부동산 연구소
글쓴이 : 연구소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