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테크/부산사진문화포럼

[스크랩] 일안반사식 카메라의 종류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8. 30. 19:33

일안반사식 카메라를 ‘SLR(single lens reflex) 카메라’라고 합니다. 35mm 카메라 기종 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갖춘 고급 기종으로 수동초점 SLR 카메라와 자동초점 SLR 카메라가 있습니다.

   수동초점 SLR 카메라

수동초점 SLR 카메라는 기계셔터식과 전자셔터식이 있습니다. 기계셔터 카메라는 본체에 내장된 노출계의 지침에 따라 수동으로만 노출을 조절할 수 있는 기종이며, 전자셔터 카메라는 수동노출 조절기능과 조리개 값이나 셔터속도 하나만 설정해 주면 거기에 맞는 노출이 자동설정되거나 입력된 프로그램의 조건에 따라 노출의 자동조절도 가능한 기종입니다.
대표적인 수동초점 기계셔터 카메라는 니콘 FM2와 라이카 R6 카메라가 있으며, 수동초점 전자셔터 카메라는 캐논 AE-1, 라이카 R8 등 다양한 기종이 있습니다.





  자동초점 SLR 카메라

자동초점 SLR 카메라는 자동노출 기능과 자동초점 기능까지 추가한 기종으로 마이크로 컴퓨터를 탑제하여 전자식 으로 자동화시킨 기종입니다.
카메라 본체에 탑제된 중앙처리장치가 자동초점조절장치, 노출측정시스템, 플래시, 뷰파인더 등과 연결되어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피사체의 빛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로 자동초점 SLR 전자 식 카메라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인 자동초점 SLR 카메라는 케논 EOS 30, 니콘 F5, 등이 있으며, 최근 시판되는 대부분의 카메라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출처 -  http://www.lgcamera.co.kr/ 

 

 

 

 

-

------------------------------------------------------------------------------------------- 

자료 출처--http://www.fujifilm.co.kr/academy/ac_photo1_01.asp

35mm 카메라 : 소형 카메라의 대표적인 제품, 가장 기종이 많은 그룹이다.
24mm×36mm화면 사이즈가 되는 카메라이며, 자동 초점식인 AF카메라, 자동노출 AE카메라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등, 기종이 풍부하다.

35mm 필름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필름으로 합성수지로 된 스풀축에 감아서 양철로된 파트로네에 넣어서 차광 시킨다. 퍼포레이션이란 필름이 카메라 안에서 톱니바퀴에 걸려 돌아가는 필름에 나 있는 구멍을 말한다. 사진을 다 찍은 후에는 필름을 파트로네 속에 되감게 되어 있다.


포켓 카메라
110 size (13×17mm)카드리지에 든 필름을 사용한다. 110카메라 라고도 불리우는 소형 카메라이다.

중형 카메라
리더 페이퍼에 감겨진 두루말이식의 통칭 브로우니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로 6×17,6×9, 6×8, 6×7 6×6, 6×4.5cm의 화면이 나오는 카메라이다. 거리계 연동식으로 일안,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가 있다.

대형 카메라
화면 사이즈가 큰 시트형 필름을 홀더에 끼워 사용하는 전문가용 카메라 이다.(4"×5"이상)

즉석 카메라
찍은 현장에서 곧 사진이 완성되는 카메라이다. (예 : 인스탁스, 폴라로이드)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
SLR카메라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파인더는 항상 열려 있으며 렌즈는 조절하여 놓은 그대로 있다가 셔터를 누르면 셔터막이 열렸다 닫히면서 필름에 상이 맺히게 된다.



카메라의 구조는 필름을 넣는 몸통(body), 셔터(shutter), 파인더(finder), 렌즈(lens), 조리개(lens stop)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구조를 보면 렌즈로 들어온 상이 거울과 펜타 프리즘을 통하여 파인더에서 보이게 되며

① 셔터를 누르면 거울이 올라가고 조리개가 조여지면서
② 순간적으로 셔터가 작동되게 된다.
③ 처음에 랜즈의 조리개가 열려 있는 이유는 파인더를 통하여 피사체를 밝게 보기 위함이다.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카메라의 반사경에 반사되어 초점스크린에 상이 맺힌다. 이 상은 카메라 꼭대기에 있는 펜타프리즘에 반사되어 접안 렌즈를 통해 보인다. 이때 반사경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제대로 보이게 한다.
셔터를 누르면 순간적으로 반사경이 위로 올라가는데, 이때 뷰파인더는 잠깐 보이지 않게 되며 필름에 노광된다.노광이 이루어진 후 반사경은 곧 처음 자리로 되돌아온다.

1) 조망체제 : 렌즈세트나 사진촬영용 렌즈를 통해 사진에
1) 조망체제 : 나올 장면을 보여준다.
2) 필......름 : 피사체의 이미지를 받아서 감광면 위에
1) 조망체제 : 그 이미지를 기록한다.
3) 필름진행 : 롤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서는 한쪽
1) 조망체제 : 스풀에서 다른쪽 스풀로 필름을 감는다.
4) 몸......체 : 카메라의 여러 가지 부분들을 포함하고
1) 조망체제 : 있는 상자로 렌즈에서 들어오는 빛을
1) 조망체제 : 제외한 모든 빛을 차단한다.
5) 조 리 개 :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빛 조절장치.

 

자동초점 방식의 경우 후방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해도 전방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수동초점 방식으로 촬영하는 것이 좋겠다.

지금 껏 초점이 맞았다고 생각한 것이 혹 사진이 작아서 맞아 보였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자. 초점이 맞아 보이는 사진도 확대를 해보면 초점이 나간 경우가 있다.
사진전체가 선명하지 않다면 흔들렸을 확률이 높다.


 

출처 : 포토N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