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일본과 중국이야기

[스크랩] 광주(광조우)정보 총정리

명호경영컨설턴트 2010. 1. 19. 11:08

광주(광조우)정보 총정리

 

광주의 현지교통
시내버스 : 시내버스외에도 길게 늘어져 달리는 트롤리 버스가 다니는데, 둘다 요금은 비슷하다. 우리나라처럼 정기승차권으로 탑승이 가능하다.

미니버스 : 우리나라의 마을버스와 비슷한 이 작은 버스는 광주 시내에만 20여개의 노선이 있고, 요금은 일반 시내버스나 트롤리버스보다 비싸다 더 빠르고 편리하다. 보통 안내원이 있어서 행선지를 말하면 거리에 따라 돈을 받고 차를 세워준다.

나룻배 : 장강의 하류로 바다로 곧장 이어지는 주강에는 여러군데의 선착장이 있고, 이곳에서 나룻배를 탈 수 있다.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광주의 멋스러움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이기도 하다.

전철 : 광주의 전철은 총 2개 노선으로 1호선이 1999년 2월 16일에 개통하여 6월 28일부터 전구간이 정식 운행하기 시작했다. 1호선은 동서로 뻗으면서, 광주 서남쪽에 있는 서랑(西郞)에서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꺽어 '중산 기념당'등의 역을 거쳐 광주동역 까지 총 18.48km 노선에 16개의 역이 배치되어 있다. 서랑(西朗)에서 출발하는 전철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6시부터 21시까지 운행하며, 금요일부터 일요일 까지는 6시에서 22시 24분까지 운행한다. 광주동역(?州?站)에서 출발하는 전철은 월요일에서 목요일까지는 6시 18분 부터 22시 6분까지 운행하며 금요일에서 일요일 까지는 6시 18분 부터 23시까지 운행한다.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은 공원앞 역(公?前站)으로 요금은 2원에서 8원까지 다르다.

 

◇ 광주에서 홍콩까지...
배편 : 광주에서 홍콩, 마카오로 가는 선박이 있다. 사면의 대안, 주두조에서 매일 많은 배편이 있다. 요금은 홍콩달러 70불정도다.

 

열차편 : 열차를 타고 가며 중국과 홍콩의 변화된 모습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요금은 배편의 두배로 입국수속을 할때 복잡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또 버스로 3시간 거리의 심천에서도 홍콩까지의 열차편이 있다. 우리나라의 국철정도에 비할 수 있다.


광저우의 전설 :
광저우는 '양성(羊城)' 혹은 '수성(穗城)'이라고 불린다. 전설에 따르 면 먼 옛날, 광저우의 주강(珠江)이 광활했던 시절 사람들은 고기를 잡아 생활하며 지냈다. 어느 날, 색이 다른 옷을 입은 다섯 명의 신 선이 각기 털색이 다르고 입에 벼이삭을 문 다섯 마리의 양을 타고 광저우에 왔다. 그들은 벼이삭을 주민에게 나눠 주고, 그들에게 벼 를 심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아울러 이 곳에서 기근이 사라지기 를 빌어 주었다. 말이 끝나자 그들은 곧 힘차게 뛰어 하늘로 사라졌 고, 남은 다섯 마리의 양은 곧 돌로 변했다. 이러한 전설은 광저우의 조상들이 매우 일찍부터 벼농사 짓는 법을 터득하여 생활의 기반으로 삼았다는 점을 반영한다. 또한 시내에 위치한 월수산(越秀山)에는 다섯 개의 돌로 된 양조각이 있는데, 이는 광저우시의 상징이기도 하다.


광저우에서는 홍콩달러도 사용된다! :
홍콩에서 가까운 중국 도시에서는 중국의 인민폐 외에 홍콩달러도 사용할 수 있다. 광저우에서는 홍콩달러를 받는 곳이 많기 때문에 이곳을 여행하고 중국 본토로 더이상 들어가지 않으려면 홍콩달러를 굳이 인민폐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


광저우의 장거리 버스편 :
광저우역 건너편의 유화빈관(流花賓館) 서쪽 장거리 버스터미널에 있다. 버스 종류는 에어컨 시설이 있는 미니버스와 일반 공공버스가 있다. 요금은 미니버스가 좀 비싸지만 훨씬 쾌적하게 갈 수 있다. 주하이(珠海)행이나 선전(深玔:요금은 40元 전후)행을 비롯하여 중국 각지로 가는 버스편이 있다.

 

광주역(?州站)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걸어서 3분거리에 있는 시계짝통시장이 있구요
시계시장 뒤쪽으로 그 유명한 점서로(站西路 중국식 짠시루) 의
짝통 의류시장이 있습니다.
시계시장 건너편으로 백마 및 천마의류도매시장이 있구요...
시계을 지나 조금더 올라가면 신발 도매시장이 몰려있는 곳입니다.
 
광주역에서 왼쪽으로 약 7~10분정도 걸어가면
가죽전문 시장인 금계원이 있습니다.
첫번째 왼쪽 철길밑으로 하여 쭉가면 바로 길 양옆으로
말 그대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

( 의류도매시장 )

 

위치: 광주기차역정면.
바이마白馬 시장을 중심으로 유화.신따디.천마.짠시.훙맨.씬싱...등

중국에서도 상당한 큰 도매시장이며 들어가보시면 알겠지만
깨끗한 내부 장식으로 각 쇼룸을 만들어서샘플을 보고 오다를 하는 곳입니다.
수출을 위주로 하긴 하지만 중국 내수 고가의 물건도 상당히 나가는 편입니다.
의류총집합이기에 각상가를 돌면서 기존물건을 구입하거나 샘플갖고 오다를 내려도 됩니다.

 

( 시계도매시장 )

 

위치: 시계상가는 광주 기차역 뒤 골목에 위치/기차역에서 10분 걸어가면 바로 도착합니다.

품목: 한국의 중국이미시계가 여기시장에서 나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로렉스.까르띠에.불가리.구찌......등 세계의 유명한 메이커들이
여기서 카피되여  중국내수뿐만아니라 세계각지로 수출됩니다.

 

( 가방도매시장 )


광주시 해방남로(解放南路)에 가보시면 길양옆에 가방시장이 몰려있다
이미테이션.중국브랜드 총집합..
벨트.지갑.신발.의류.볼펜.라이터.가방...

한국동대문과 남대문 부산쪽의 한국상인들이 많이오는 곳입니다

중국에서 제일 큰 가방 도매 시장 임

 

( 등.조명시장 )

 

광동성 중산시에 위치

몇만가지의 등과 조명들이 있는가 하면
별의별 멋진 장식품들도 있다
중국내수뿐만 아니라 세계여러나라로 많이 수출된다


 

( 광주남해 원단시장 )

 

광저우 외곽에 위치
류화시장 정문 맞은편에서 160번 버스를 타고,40분정도 가서,택시로 10분정도

중산대학 근처의 원단 시장본다 가격이 1~2원 에서 3~4원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비록 1~2원이라 하더라도,적은 단가는 아니기 때문에 수량이 클때는 이쪽으로 갑니다.
대부분 공장에서 직접 출고하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셈플감 끈을때도, 중산처럼
엄청난 가격을 부르지 않습니다.(중산대에선 다이마루 셈플감은 약 2배에 가격을
달라고 하거든요.)

땡치는 원단들도 종종있어서 운이 좋으면 값싼 원단을 찾을수 있지요.

중산대학에 비해 한가하고, 거리가 넓직넓직해서,공기는 좋습니다만,
공장까지 물건을 운송하는 비용도 적지 않으니,운송비 까지 잘따져보시고
하신다면 한번 가볼만 하답니다.

남해는 속옷 공장들도 많고,도매 시장도 있으니 둘러 보실만 하지요.
속옷 도매시장도 개장한지 얼마 되지 않아, 깨끗하고 이쁘게 꾸며져 있답니다.


 

( 국제신발도매시장 )

 

중국에서 제일큰 신발도매시장입니다.

기차역에서 성터미널쪽으로 500미터 정도 올라가면
신발 도매 시장이 있습니다. 국제신발시장을 중심으로 큰건물들이 몰려있습니다.

중국제품중에 신발이나 가방은 한국에 비해 떨어 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종류도 많고, 디테일 하기도 하고, 가격도 한국에 비해 괜찮은 편이죠.

신발 시장 1층보다는 신발시장 중간에 위치한 호텔 3~5층에 오더샵들이
있습니다. 가계를 둘러다보면 자기 디자인 을 카피못하게 감춰두고팝니다
가계끼리도 경쟁이 심한편이라 좋은건 덮어놓고 판다고 하더군요...웃기죠.

가계사람한테 간단한 자기소개를 하고 보여줄수 잇냐고 하면 커텐을 치우고 보여줍니다.
감춰둔 만큼 좋은것이 많죠..ㅎㅎㅎ
단 삼가할것은 무대포로 들어가서 커텐을치우고보지마세요.
도적처럼 생각합니다...ㅜ.ㅜ
신발하시는 분들한테 도움되시길바랍니다.^^

 

( 니트전문시장 )

 

위치:기차역 맞은편 짠챈루

여기는 니트 전문 오다 매장입니다.

퀄리티는 좋은편이고 매장은 1층에서 5층까지 나뉘여 잇습니다.

두루두루 돌다가 괜찮은 가계를 찾아서 자신의 샘플보여주며 단가를 뽑아도되고

기존의 제품을 주문해도 됩니니다.


 

( 광주국제완구도매시장 )

 

위치: 이더시루.

중국에서 제일큰  시장입니다.중고가 제품을 주로 도매.
국제완구시장을 중심으로 주위에 완구.악세살이.문구시장이
몰려있습니다.

수출을 많이 하기에 세계여러나라의 장사군들이
몰려오며 가계를 돌다보면  쉽게 한국말을 들을수 잇습니다..^^

 

 

 

◆ 진가사 (陳家祠)

 진씨 일가의 서원으로 알려진 이 곳은 진가사(陳家祠)라고도 불린다. 광동성에서 가장 크고 또 고대 건축물들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으로, 총면적은 15,000㎡이다. 본관은 직각형이며 총 19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청대 광서 14년인 1888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894년에 완공되었고, 당시 세력을 떨치던 陳氏 자제들의 과거 준비와 가족의 중대사를 논의하는 등의 용도로 쓰였다. 남방식 건축양식이 잘 드러나 있고, 건물이 대부분 조각으로 이루어져 화려한 장식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박물관을 방불케할 만큼 많은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고급 가구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당시 부유층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중산팔로(中山八路)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을 타면 바로 도착할 수 있다.

 

◆중산기념당 (中山紀念堂)

 중산기념당은 월수산 아래 동풍로에 위치해 있다. 1925년 손중산 선생이 별세한 후에 그를 기리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설계자는 여안직(呂彦直)이다. 1931년 11월에 공사가 완공되었다.

 기념당 뒤에는 두 개의 2층 건물이 있는데, 현재 서쪽 건물은 '손중산사적진례관(孫中山史跡陳例館)'으로 손중산이 광주에서 혁명활동을 했을 때의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근처의 백보계단(百步梯)을 따라 올라가보면 손중산이 학문 수양을 기리는 기념비와 여언직이 설계한 중산기념비를 볼 수 있다. 이 기념비는 1929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가 37m이고 정방형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기념비 안의 나선형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기념당의 전모를 볼 수 있다.


◆월수공원 (越秀公園)

 광주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의 한 곳으로, 광주시 북쪽에 위치해 있다. 기차역에서 동쪽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광주시에서 가장 큰 공원으로 면적은 92만㎡에 이른다. 월수산을 제외하고도 주위 6개의 작은 산과 동수호(東秀湖), 남수호(南秀湖), 북수호(北秀湖) 세 개의 인공 호수를 포함한다.

 매년 봄과 가을 두 계절에는 성대한 '봄맞이 축제(迎春花會)'와 '국화축제(菊展)'가 열린다. 공원 내에는 또한 3만명 이상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관이 있다. 볼 만한 명소로는 오양석조(五羊石雕), 진해루(鎭海樓), 중산기념비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14세기 명조 시대에 세워진 모두 5층 높이의 진해루(鎭海樓)는 이전 광주시 성벽의 보강건축물로 지금은 광주시의 박물관으로 사용되어 석기시대부터 근대의 신해혁명, 공산혁명까지의 역사 문물이 전시되어 있다.

 

◆육용사 (六榕寺)

 광주 시내에 위치해 있으며, 남조 양(梁) 대동(大同) 3년(537)에 지어졌고, 원래 이름은 보엄사(寶嚴寺)였다. 원나라 1099년 소동파가 이 곳에서 와서 구경을 한 후 절 내에 있는 오래된 용수나무에 "육용(六榕)"이라는 두 글자를 썼는데, 그것을 한 스님이 석벽 위에 새겼고, 그 이후로는 "육용사"로 불리게 되었다.

 주요 건물로는 화탑(花塔), 육조당(六祖堂), 관음전 등이 있다. 화탑은 절과 같이 지어진 것으로 북송 초에 불레 타 훼손되었다. 1097년에 중건된 것으로 높이가 57m이고, 탑 안에는 불상 88개가 모셔져 있고, 꼭대기에는 1358년에 주조된 천불동기둥이 있다. 탑은 송대의 건축풍격을 보존하고 있다.
*광주미술관
광주 二沙島에 위치하여 있고, 현대화 다목적 시설물을 갖춘 미술 박람 회관으로 실내 면적이 8,000 제곱미터, 실외 전시실이 5,000 제곱미터 이다.
버스 노선 ; 12, 18, 194번 노선.
전화 번호 ; 020 - 8735 - 1468.
입장료 ; 10元


*광동성박물관
廣東省내 최대의 종합 박물관, 文明路 215에 위치. 국민당 유적지 및 노신기념관이 있음. 보유 문물 124만개, 장서 5만여종이 있다.
전화 번호 ; 020 - 8383 -8432 . 매주 월요일 휴관 ,
화요일 ~ 일요일 ; 09 ;00 - 17;00


*광효사(光孝寺)
광효사는 중국 화남지방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불교사원으로 예전에는 인도에서 명승들이 찾아와 이곳에서 포교를 했다고 한다. 그 후 당나라 때인 676년 고승 혜능(慧能)이 여기에 중국식 불교종파(南宗)를 세워 절의 위상이 한층 올라갔다. 사찰 경내에는 혜능을 모신 육조전과 혜능이 출가할 때 깎은 머리털을 묻고 그 위에 세운 발탑(髮塔)이 있다.

 

오선관(五仙觀)
5명의 선인 처음이 나타난 장소라고 전해지는데, 사찰 내에 있는 첫 번째 사당 안에는 흰 돌에 조각된 5명의 선인상이 보관되어 있다. 사당 뒤 는 탑이 서 있으며 탑의 좌우편에는 돌로 만들어진 말이 있다.안뜰에는 초인 가운데 한 사람의 발자국이 새겨져 있다고 전해지는 돌이 전시되어 있다.

 

회성사(懷聖寺)
7세기에 세워진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회교사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의 건물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다. 사원 내에는 약 37m 높이의 광탑(光塔)이라고 불리는 회색의 탑이 있는데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광주시의 전경은 무척 아름답다.

 

유화공원(流花公園)
9개의 인공호로 이루어진 80.4㏊의 면적을 가진 공원으로, 호수의 연안을 따라 종려나무가 늘어서 있다. 전체적으로 기복이 있는 지형에 회랑이나 건물들이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중산기념당(中山記念堂)
중국의 국부라는 손문을 기리기 위한 이 기념관은 1929∼1931년 국내외 각지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의 모금으로 세워졌다. 높이 5m에 8각형으로 안에는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회의장이 있고, 건물 앞에는 손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홀 안 벽에는 민족적 특색이 있는 그림과 도안으로 꾸며져 있으며 실내에는 기둥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 건축공학의 일대 걸작을 보여준다.

 

노신기념관(魯迅記念館)
구(舊) 중산대학 시계탑에 꾸며져 있으며 애국 문학가였던 노신을 기리고자 하는 취지에서 지은 것이다. 이 건물의 1층은 중산대학 강당으로 국민당 제 1차 전국대표자대회가 개최되었던 장소이다. 현장에는 그 당시 대회에 참석한 사람들의 얼굴이 새겨진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남월왕한묘박물관(南越王漢墓博物館)
1983년 월수공원 내의 남월왕릉에서 발굴된 청동기?옥기?인장 등을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광주에서 가장 볼 만한 박물관이다. 박물관 2층에는 다른 중국의 박물관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베개를 전열해 놓고 있어 약간 특이한 느낌을 주며, 3층에는 남수월국의 역사와 정치, 경제에 대해 설명해 놓은 전시관이 있다. 4층으로 올라가면 남수월왕의 묘가 있으며 묘에서 출토된 유물 아울러 전시하고 있다.

 

사면(沙面)
광주 남쪽 문화공원의 아래쪽 주강에 떠 있는 인공섬으로, 동서로 900m, 남북으로 300m 정도의 넓이이다. 사면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는 모래톱이었지만 19세기 중반 인공제방을 쌓고 서 섬이 되었다. 19세기 서구열강의 침략으로 이 섬은 영국과 프랑스의 조계지가 되었고 그런 영향으로 이 섬에는 지금도 그 당시의 건물이나 교회 등이 남아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관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아 칠이 벗겨지고 벽의 대리석 조각이 데군데 떨어져 나가 있다.

 

광주기의열사능원(廣州起義列士陵園)
1927년 12월 12일 광주의 혁명파가 봉기해서 광주 국제공산당을 수립하였다가 장개석이 이끄는 국민당에게 패하면서 약 5,000명이 희생되었는데 그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공원이다. 이들 희생자들의 영을 모시기 위해서 형장자리에 분묘와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지금도 헌화가 끊이지 않고 있다.

백운산(白雲山)
광주 부근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가운데 하나인 백운산은 광주시에서 동북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해 있다. 산의 정상은 비록 해발 427m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정상에 오르면 광주 시내는 물론 주강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일출이나 일몰을 택해서 오면 최고인데 만망정이나 요망각이라는 정자에서 바라보면 그 운치를 실컷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입장료: 운대화원 10원, 성해원 3원, 케이블카 : 상행 20원, 하행 10원
교통:11.24.285.265번 버스 이용

 

북두칠성 모양의 석회암산, 칠성암(七星岩, 치싱옌)  
성호(星湖)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조경시 북쪽 교외에 있는데, 7개의 작은 석회암산이 북두칠성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은 호수와 암석과 석동이 어우러져 있는 풍경으로 7개의 암(七岩), 8개의 동(八洞), 다섯개의 호(五湖), 여섯개의 언덕(六崗)이 "계림의 산과 항주의 물(桂林之山, 杭州之水)"라는 칭송을 들을 정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특히 석회암산이라는 특징때문에 곳곳에 생겨난 동굴의 종유석을 배를 타고 유람하며 즐길 수 있다.


- 수월궁(水月宮) : 칠성암 중심의 석실암 남쪽에 있는 명나라때 만들어진 것으로 6,000평방미터 면적에 건축면적만 2,500평방미터로 대전(大殿), 동상(東廂), 서상(西廂), 후전(後殿) 등의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

- 석실암동(石室岩洞) : 칠성암 중앙의 석실암 아래에 있으며 내부가 난암동(暖岩洞)과 용암동(龍岩洞), 연화동(蓮花洞), 벽하동(碧霞洞)의 네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사람과 여러 물건을 닮은 석유, 석주 등이 장관이며 칠성암의 석각 중 64% 이상이 이곳에 모여 있다.

- 용궁동(龍宮洞) : 옥병암(玉屛岩) 서록에 있는 이곳은 인공동굴로 면적은 1,000평방미터 정도다. 남북의 두개 문으로 나뉘어 있고 내부에 크고 작은 예술품들이 탄성을 자아낼 만큼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남방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진가사(陳家祠) 진씨서원(陳氏書院 : 쳔쓰슈위엔)  
진씨 일가의 서원으로 알려진 이 곳은 진씨서원(陳氏書院 : 쳔쓰슈위엔)이라고도 불린다. 광동성에서 가장 크고 또 고대 건축물들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으로, 총면적은 1만5천 평방미터이다. 그 안의 주건축물은 사방형의 6천4백 평방미터 면적의 '활오간, 심삼진(闊五間, 深三進)'이라는 건축군인데 크고 작은 19동의 건축예술물이 모여 있다. 이 건축물들 사이에는 정원과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전체 건축물이 웅장한 만큼 정원 역시 화려하며, 고대미의 건축물과 더불어 남방의 특유한 아름다움을 뽐낸다.


청대 광서 14년인 1888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894년에 완공되었고, 당시 세력을 떨치던 陳氏 자제들의 과거 준비와 가족의 중대사를 논의하는 등의 용도로 쓰였다. 남방식 건축양식이 잘 드러나 있고, 건물이 대부분 조각으로 이루어져 화려한 장식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박물관을 방불케할 만큼 많은 조각품들이 전시되어 있고, 고급 가구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당시 부유층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1959년, 진씨 서원은 국무원으로 부터 전국 중점문물 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광동민간공예관으로 이용되면서 다채로운 민간 공예품들을 전시하고 있어 광주시의 유명하고도 중요한 여행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여섯 그루의 용나무에서 유래된 육용사(六榕寺 : 리우롱스)  
광주 시내의 육용로(六榕路)에 위치해 있으며, 매우 유구한 역사를 가진 만큼 오래된 불교 문물이 집합되어 있다. 남조 양(梁) 대동(大同) 3년(537년)에 지어졌으며, 원래 명칭은 보장엄사(?庄?寺)로 이미 14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북송 초 화재로 불타 사라졌다가 송대 단공(端拱)2년(989년)에 중건되면서 정혜사(?慧寺)로 명칭을 바꾸었고 원나라(1100년)때에 유명한 문학가 이면서 서예가이기도 했던 소동파(??坡)가 이곳에 유람을 왔다가 절 안에 오래된 용(榕)나무 6그루를 보고 육용(六榕)이란 글자를 새겼고, 그때부터 점차 육용사라고 불리워지기 시작했다.

절 내에는 우뚝 솟은 천불보탑(千佛?塔)이 있는데 원명은 사리탑(舍利塔)으로 광주의 유명한 고대 고층 건축물이다. 탑 동쪽으로는 산 입구와 미륵전,천왕전,위타전이 있으며, 탑의 서쪽으로는 장엄하면서도 화려한 대웅전이 있다. 청대 강희 2년(1663년)에 황동으로 주조한 삼존대불상이 대웅전에 모셔져 있으며, 이 삼존대불상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는 광동성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상이다.

절내의 용음원(榕??)내의 육조당(六祖堂)에는 선종의 6대 창시자인 혜능의 동상이 모셔져 있다. 혜능은 당대(唐代)의 걸출한 고승으로 5대 창시자인 홍인(弘忍)의 설법을 따르다 후에 남종학파를 창시했다. 이 동상은 북송(989년)때 높이 1.8미터에 1톤의 무게로 만들어 졌다. 이 밖에도 육조당 앞에는 오래된 용나무들의 녹음이 짙으며 소동파가 쓴 "정도가(?道歌)" 를 새겨 놓은 비석이 눈에 뛴다.

■ 교통 : 전철 1호선을 탄 후 공원앞 역(公?前站)에서 내려 56번이나 58번 버스를 타고 육용사 정거장에서 내려도 되고, 또한 5,7,29,85,86,88,102,104,107,124,180,203,217,243,244,253,273,519,552 번 버스를 타고 중산육로 정거장에서 내려도 된다.
■ 입장료 : 1원
■ 개방시간 : 8:00- 17:00


환상적인 동물쇼와 대형 마술쇼, 사파리가 어우러진 장융 야간 야생동물원  
광주 번우의 영빈로에 위치하고 있는 장융 야간 야생동물원은 세계적 수준의 중국 최고 야간 사파리쇼를 포함해 러시아쇼, 매직쇼 등을 볼 수 있는 종합 테마파크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유일하게 야간 대형 마술쇼 공연이 펼쳐져 평소 볼 수 없었던 아찔하면서 신기한 마술의 세계에 빠져볼 수 있다.

라스베가스에서 활동중인 저명한 프로듀서와 감독관, 디자이너 등이 투입되어 1년여 동안의 준비기간을 거쳐 개장한 라스베가스 스타일의 쇼로써 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는 반구형의 철강 구조물로 중앙에 있는 무대를 중심으로 그 주변을 관객석이 난간형식으로 두르고 있다. 총 5개의 승강식 무대 뿐 아니라 회전식 무대, 높은 천장의 무대 등이 있으며, 최고 수준의 조명과 음향,유리수조,음악분수, 불꽃놀이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한번에 1200명을 수용할 수있는 관람석이 있다.

공연을 하는 단원들 역시 미국,캐나다,이탈리아,콜럼비아,러시아, 태국,필리핀 등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공연 수준은 모인 국적만큼 세계적이다.

공연 외에도 주변을 두르고 있는 숲에는 코끼리 열차를 타고 구경할 수있는 사파리가 조성되어 있어 남미협곡, 고원, 인도삼림, 유럽관목림등을 지나면서 회색 시멘트 울타리가 아닌 수풀 속에서 호랑이, 코뿔소, 치타, 하마, 곰, 기린 등의 동물들을 볼 수 있다.


남해시의 종합 영화세트장, 남해영화촬영소  
광동성 남해시 송강진에 위치한 이곳은 "홍콩의 한 거리", "태평천국"등의 영화가 만들어진 곳이다. 이곳에 가면 찾아온 관광객을 위해 기마전이 볼만한 "삼영전여포", 수전(水戰)을 다룬 "정강수전" 등의 영화를 직접 촬영하며 보여준다.


▷ 가는방법 : 시내에서 44번 버스 이용
▷ 개방시간 : 9시 - 17시 30분

 

광주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월수공원(越秀公園 : 위에씨우꽁위엔) 
 광주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의 한 곳으로, 공원 내에 월수산(越秀山)이 있어 월수 공원이라 이름 붙여졌다. 기차역에서 동쪽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광주시에서 가장 큰 공원으로 면적은 92만㎡에 이른다. 광주 시가지를 한 눈에 내려다볼 수 있으며, 월수산을 제외하고도 주위 6개의 작은 산과 동수호(東秀湖), 남수호(南秀湖), 북수호(北秀湖) 세 개의 인공 호수를 포함하고 있다.

매년 봄과 가을 두 계절에는 성대한 '봄맞이 축제(迎春花會)'와 '국화축제(菊展)'가 열린다. 공원 내에는 3만명 이상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관과 국제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수준의 월수 수영장, 광주 미술관 등 문화,오락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으며, 볼 만한 명소로는 오양석조(五羊石雕), 진해루(鎭海樓), 중산기념비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 교통 : 2,5,6,10,12,22,21,24,33,58,63,101,122,127번 버스를 타면 월수공원 정거장에서 내릴 수 있다
■ 입장료 : 8원
■ 개방시간 : 6:00 - 21:00

 

활짝 핀 연꽃 모양의 연화산, 연화협곡
 
광주시 외곽에 위치하며, 그 생김새가 마치 연꽃이 핀 모습과 같다고 하여 "연화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연화산 북쪽에는 약 2000년의 역사를 가진 거대한 바위 협곡이 있는데, 그 풍광이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각종 암벽과 기이한 바위산이 장관을 이루고, 산 위에는 명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연꽃 모양의 탑과 마을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곳의 관음상은 높이 40.88m로, 세계에서 현존하는 금동 관음상 중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황비홍무술관(黃飛鴻武術館, 황페이홍우슈관)
 
영산이라 불리는 중국 광동 남쪽의 명산인 서초산(西樵山, 시치아오샨)에서 중국 무술계의 영웅, 황비홍 부자(父子)가 태어났다. 이들을 기념하기 위해 1996년, 황비홍의 출생지인 녹주(祿舟)에 기념관을 세웠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의 황비홍무술관이다.


이곳은 중국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까지 황비홍을 아는 많은 사람들의 지원하에 건설된 곳으로, 5.23핵타아르의 부지에 청(淸)나라 말기의 건축양식을 따라했다. 관내에는 <황비홍연공휴게실>, <황비홍사적진열영사실>, <황비홍공원>, <황비홍무술학교>, <관덕흥기념관> 등 주제에 따라 다양하게 설비되어 있다. 또한 근 반세기 동안 황비홍을 주제로 한 영화만 거의 1000여편에 다르고, 그 중 황비홍 무술의 대가인 관덕흥(關德興) 사부가 직접 참여한 영화만 77편이다. 또한 이 영화들을 통해 이연걸(李連杰)이라는 걸출한 영화스타도 배출했으며, 황비홍이라는 이름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황비홍무술관은 서초산 풍경구와도 인접해 있어서 주변에 운해연대(云海蓮臺), 황대선성경원(黃大仙聖境園), 금은주보옥기상업성(金銀珠寶玉器商業城) 등 관광지구와 연결되어 있다.

조묘 
 
 
 
조묘 
 
 

광동의 대표적 도교사당, 조묘(祖廟, 쭈먀오)
광주 남서쪽의 공예도시인 불산(佛山, 포샨)이라는 곳에 도교의 사당인 조묘(祖廟, 쭈먀오)가 있다. 송대에 창건되었다가 명 홍무제때 중건된 홍태제의 신묘로서 사용된 이곳은 면적이 3,000제곱미터에 이르며 전전(前殿), 정전(正殿), 후루(後樓), 금향지(錦香池)와 만복대(萬福臺)의 5개 곳으로 나뉘어 있다.

이곳의 건축물들은 대부분 당대의 건축양식의 특색을 살린 것으로 지방색이 농후하다. 그 중 정전내의 북제 동상은 명대에 주조된 것으로서 무게가 2.5톤에 달하며, 당시 주조기술의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 전전(前殿, 치엔디엔) : 궤종과 큰 북이 각각 이곳 문의 좌우에 놓여져 있다. 이 궤종은 이곳의 묘신을 깨워 향자(香者)를 맞기 위함이라고 한다.

- 정전(正殿, 쩡디엔) : 이 묘의 신인 진무제(眞武帝) 동상이 명조에 주조되었는데, 그 공예기술이 정교하고 깊다. 동상옆에는 작은 무제동상이 양쪽에 기대어 의장, 병기를 들고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매년 음력 3월 초3일은 진무제의 생일로 과거에는 이때가 되면 부근의 농민들이 의장을 들고 진무소동상에 나갔는데, 그때 그 의장대들이 들고 다니는 팻말에는 금언(禁言)이 쓰여있었다고 한다.

- 금향지(錦香池, 진샹츠) : 전전앞쪽에 있는 이 연못에는 거북이, 뱀의 석상이 있다. 이 동물들은 옛부터 사람들이 장수와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었고 지금도 이 연못에 동전을 던지며 장수와 운을 비는 사람들로 붐빈다.

- 만복대(萬福臺, 완푸타이) : 금향지 맞은편에 있는 이곳은 1658년도에 만들어진 연극무대로서 광동에 남아있는 가장오래된 무대이다. 옛부터 매년 진무제의 생일이 되면 사람들이 이곳으로 몰려와 이곳에서 상연되는 극을 보곤 했다고 한다.


▷ 가는방법 : 광주버스터미널에서 불산행 버스를 타고 시내에 하차.


정호산 
 
 
 
정호산 
 
 

열대 수풀림과 고찰의 어울림, 정호산(鼎湖山, 딩호샨)
정호산은 광동사대명산의 하나로 칠성암의 동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중국 정부가 지정한 국가중점 풍경명성구다. 열대의 수풀림과 고찰이 주된 풍경인 이곳은 주봉 높이가 1000미터로 산 절정(絶頂)에 정호(頂湖)라는 호수가 있는데, 이름이 정호(鼎湖)로 바뀌면서 정호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산 안쪽은 천계(天溪), 운계(云溪), 천호(天湖)의 3개 풍경구로 나뉜다. 또 천계구는 경운사(慶云寺), 영학비정(榮壑碑亭)이, 운계구는 백계표(百鷄潭), 욕불지(浴佛池) 등이, 천호는 인자폭(人字瀑) 등이 볼거리로 유명하다.


정호산은 또 당대초부터 저명한 불교성지로 알려져 왔고, 그래서인지 영남 사대불찰 중의 하나인 경운사와 찬선배불(參禪拜佛) 등의 불교흔적이 남아있다. 그러나 뭐니해도 이곳에서 가장 유명한 곳은 천계경구로 천계구는 경운사를 중심으로 비치색의 물과 눈이 부시도록 푸르른 수풀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손문의 관저였던 중산기념당(中山紀念堂 : 쭝샨찌니엔탕)
중산기념당은 월수산 아래 동풍로에 위치해 있다. 1925년 손중산(孫文 : 쑨원) 선생이 별세한 후에 그를 기리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설계자는 여안직(呂彦直)이다. 1931년 11월에 공사가 완공되었다.


기념당 뒤에는 두 개의 2층 건물이 있는데, 현재 서쪽 건물은 '손중산사적진례관(孫中山史跡陳例館)'으로 손중산이 광주에서 혁명활동을 했을 때의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근처의 백보계단(百步梯)을 따라 올라가보면 손중산이 학문 수양을 기리는 기념비와 여언직이 설계한 중산기념비를 볼 수 있다. 이 기념비는 1929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가 37m이고 정방형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기념비 안의 나선형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기념당의 전모를 볼 수 있다.


☞ 개관시간 : 08:00-18:00

청평시장 
 
 
 
모든 먹거리가 모인 청평(淸平)시장 
 
 

먹을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모여 있는 청평시장(淸平市場 : 칭핑스창)
1979년에 생겼으며, 광주에서 가장 크고 번영한 재래 시장이다. 광동성과 그 외의 지방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을 판다. 이 곳에서 파는 품목은 야채, 고기, 과일, 꽃, 생선, 버섯 등 주로 요리 재료를 팔고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우리나라 시장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것들을 많이 판다. 예를 들면, 고양이, 토끼, 개구리, 전갈, 자라, 바퀴벌레, 말린 뱀 등이다. 세상의 거의 모든 것이 중국 요리의 재료가 된다는 소문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중국인의 실생활을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청평시장은 "광주의 창"으로 알려져 있으며, 매일 아침 6시부터 저녁 7까지 열린다.

 

백운산
광주시 북부에 위치한 백운산은 광동성 일대의 명산 중에 하나로 '광주 최고의 아름다움'이란 의미를 가진 "羊城第一秀"라고 칭해지기도한다. 30여개의 봉우리로 조성되어 있으며, 산에 올라가면 광주 전 시내의 모습과 주강(珠江)을 내려다 볼 수 있다.


비온 뒤 갠 후와 늦봄에 산 사이로 흰 구름(白云)이 휘감고 있는 모습에서 백운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백운산은 오래 전부터 뛰어난 경치의 풍경구로 유명하였으며 근래에는 산 정상과 공원을 새로 개척하여 정원식 산장과, 별장, 관조원(???)등을 만들었다. 백운산 위에는 필드 스키장과 1400미터의 활강로를 갖춘 패러 글라이딩장등 레포츠 시설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

■ 교통 : 백운산까지 가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월화로(越?路)에서 백운산 전용 셔틀버스를 탈 수도 있으며, 11번 버스를 타고 사하염천로(沙河濂泉路)에서 내려 산까지 올라갈 수 있다. 또한, 24번,199번,223번,36번,285번,540번 버스를 타고 운태화원(云台花?)에서 내린 후 케이블카를 타고 오를 수 도 있다.

■ 요금: 백운산 남문 초소 - 5원
운태화원(云台花?) - 10원
성해원(星海?) - 3원

불산(佛山, 포샨)
 
황비홍의 고향인 이곳은 인구 380만 정도로 광주에서 약 29㎞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옛부터 공예도시로 유명한 곳이다. 당나라때 발굴된 시내의 작은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불상에서 도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과거에는 한구(漢口), 주산(朱山), 경덕(景德)과 더불어 4대 명진(名鎭)으로 꼽히며 광주보다 더 중요한 도시로 간주되었지만, 지금은 전성기 때의 3분의 1에 불과한 인구만이 살고 있다.

석만구에 도자기 공장이 많이 있어서 견학도 가능하며, 그 외에 종이재단기?비단?금속주물?도자기 등은 지금도 중국의 대표적인 명물로 꼽히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광주에서 불과 30분 거리에 있으며 홍콩에서도 직통으로 연결되는 열차가 있다. 송대에 창건된 도교의 묘당인 조묘(祖廟)가 유명해 많은 도교신자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손중산의 고향, 중산(中山, 중샨)
 
광주의 남쪽, 마카오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주해(珠海)로 이어지는 인구 175만 정도의 작은 도시로 광주, 불산 등에서 버스를 이용해 갈 수 있는 곳이다. 또 1990년에는 환경, 공기 등 여러방면에서 세계에서 사람이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지정이 되었다고 한다.


원래 향산현으로 불리던 이곳의 중산이라는 이름은 1925년 이후에 이곳에서 태어난 손중산(孫中山)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으로, 그래서 인지 시내 곳곳에는 중산이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시설물이나 공공시설 등이 있으며, 이 곳에서 가장 번화한 곳도 손문서로(孫文西路)라는 거리다.


이곳은 남송때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시내에서는 고탑(古塔)이나 사적(史迹) 등도 볼 수 있다. 또한 시내에서 남쪽으로 29km 떨어진 취헝춘이라는 곳에는 손중산의 생가가 보전되어 있다.

번우(番愚, 판위)
 
광주시 남쪽에 위치한 번우는 최적의 위치인 주강(珠江) 삼각주의 명주로서 아름답고 부유한 곳이다. 광주에서 17km 떨어져 있으며, 홍콩과 64해리를 사이에 두고 있다. 주해(珠海), 마카오와 인접해 있어서 홍콩, 마카오, 중국대륙이라는 삼각지대를 연결하는 중심지에 있다.


총 1313.8평방킬로미터의 면적인 번우시에 거주하는 시민은 총 84만명으로, 그 중 화교와 홍콩, 마카오 계열이 30%를 차지한다.


남산사(南山寺, 난샨스)
 
남산사는 400핵타아르의 부지에 미륵보살의 개광일을 기리기 위해 1995년 11월에 세워진 불교사원이다. 인왕문(仁王門), 금당(金堂)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왕문은 남산사의 입구에 세워져 있는 대문으로 일반적인 사묘(寺廟)의 산문(山門)과 같으며, <<인왕호국경(仁王護國經>>에 나오는 '인왕'이라는 불법(佛法)에서 그 이름을 따온 것이다.


사각 대나무 공원, 사방죽원(四方竹園, 쓰팡주위엔)
 
사방죽원(四方竹園)은 사방형의 죽원으로 도화원(桃花園), 보봉승처(寶峰勝處), 구용암(九龍岩) 등의 다양한 풍경구가 함께 있는 공원이다.


공원내의 사방죽원은 이곳 특산이기도 하며, 국가 중점 보호의 귀한 관상식물인데 이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져 3년 정도 보이지 않았고, 대나무대가 원형으로 변할 수 있다고 한다. 공원내의 보봉승처는 높이 2미터의 돌을 깍아 만든 것으로 보봉산위에 풍경이 아름다운 춘풍정(春風亭)이라는 정자가 있고, 보봉사라는 사찰이 있는데 수리를 통해 지금처럼 운치있는 모습을 갖게 되었다.


또 도화원은 이름 그대로 4000그루의 복숭아나무가 심어져 있으며 복숭아꽃이 필 무렵에는 온산이 붉게 물들어 그 경치가 이루 말할 수 없이 아름답다. 그 밖에 사방죽원에는 백죽원(百竹園), 단주원(丹桂園), 노차림(老茶林)、고묘(古墓)、옥지당(玉池塘)、구룡당(九龍塘)、구룡암(九龍岩)、심자강학암(湛子講學岩)、석동고(石冬菰) 등의 볼거리들이 있다.

광동의 아름다운 종합풍경구, 남해관음문화원
 
남해관음문화원은 서초산(西樵山)을 배경으로 관음좌상이 있는 일대의 풍경구를 말한다. 서초산은 광동의 명산으로서 남해시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국가급 중점 풍경성지로서 산 아래에는 운해연대(云海蓮臺), 황대선성경원(黃大仙聖景園), 무엽정(無葉亭), 백운동(白云洞), 천호공원(天湖公園), 석연암(石燕岩), 사방죽원(四方竹園) 등의 특색있는 풍경구가 아름답게 자리하고 있다.

 

중국 대주점에서 묵으신다면 근처에 광동성에서 제일 큰 월수공원(越秀公園)이 있으니까 거기서 산책을 하시는 것도 괜찮고, 또 바로 옆에 란푸라는 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차를 마시면서 중국 전통음악과,이쁘게 자란 난초들을 구경하는것도 괜찮을꺼에요.이곳은 jiefangbeilu(解放北路)에요.

지하철은 越秀公園 역에서 내리시면 되요~(2호선이에요)

맛있는 식당들은 대부분 jianshe liu malu(建設六馬路)에 모여있는데요~

가든 호텔 바로 옆이니 찾기 쉬울꺼에요~

한국식당부터 일식,중식,양식 없는게 없답니다~

거기에 가면 스타벅스도 있어요~ ^^

여기는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게 나아요~지하철이 없고,버스 노선도 복잡하거든요.

그리고 지하철을 이용해서 chenjiasi(陳家司)라는 곳도 가보세요~

서원인데~ 나름대로 볼 만 하답니다~

진가사 구경을 마쳤으면 근처 쇼핑거리 shangxia jiulu(上下九路)를 구경하세요

예전에 제국주의때 유럽열강들이 거주하던 곳들이라 건물들이 유럽식이구요,싼 물건들이 무척 많답니다.

역시 陳家司라는 지하철 역이 있답니다~

 

구경을 마쳤으면 역시 근처 shamian(沙面)으로 가세요~

역시 유럽식 건물들이 있는 곳인데~

광주에서 보기 드물게 한적하고 운치있는 곳이랍니다.

沙面도 역시 지하철 역이 있어요~

 

광주에서 가장 유명한 쇼핑거리 beijing lu(北京路)도 한번 가보시구요.

北京路에 가실려면 지하철을 타고 gongyuanqian(公園前)에 내리세요~

 

liurongsi(六容寺),guangxiaosi(光孝寺)와 같은 사원들도 꽤 유명하답니다.

여기는 택시를 이용~~

 

광주에서 부르주아들이 살고 있는 ershadao(二沙島)에는 미술관,음악당 같은 곳이 있으니까 그곳으로 구경을 가도 괜찮구요~

음악당 내에 있는 프랑스 식당 음식이 꽤 맛있답니다.

여기 역시 택시를 이용~

 

~ 밤엔 주강 유람선도 타보세요~

dashatou matou(大沙頭 馬頭)에 가면 유람선을 탈 수 있는데요~

식사를 할껀가 안할껀가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져요~(식사는 가급적 안하는게 나을듯.. ^^;)

좀 지루하긴 하지만~ 하루쯤은 광주의 야경을 구경하는것도~ 괜찮겠지요?

택시를 이용하셔두 되지만,이곳이 종점인 버스들도 꽤 되요~~

 

그리고 다른 날엔 fangcun jiubajie(芳村 酒巴街)에 가서 목을 축이는 것도 괜찮을꺼구요~ ^^괜찮은 바랑 카페들이 많거든요~

치하철 2호선 芳村 역에 내려서 택시를 이용하면 저렴~ ^^

 

yanjianglu(沿江路)에 가면 나이트도 꽤 있는데 'baby face'물이 제일 좋다네요~

여기도 택시이용~

 

그리고 마천루들이 많이 있는 tianhe(天河)쪽도 한번 가보세요

그곳에는 광주에서 꽤 유명한 쇼핑센터 tianhecheng(天河城)이랑 서점이 있어요.

이곳은 지하철 1호선을 타고 tiyuxilu(體育西路)에서 하차

 

지하철 2호선을 타고 lieshilengyuan(烈士陵園)에 내리면 역시 zhonghuaguangchang(中華廣場)이라는 큰 쇼핑센터가 있어요~

 

그리고 하루정도는 기차를 타고 심천으로 가세요.

심천역에 내려서 나오면 세계의창(世界之窓)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세계의 창이나 금수중화(錦秀中華),민속촌 같은 곳을 구경가세요~

민속촌에서 있는 저녁 민속공연이 정말 볼만 하답니다~

 

아니면 하루 정도는 광주를 보시고, 나머지는 광주 여행사를 통해서 zhaoqing으로 가보세요~

소계림이라 불리는 곳인데~ 꽤 이뿌다고 들었거든요~

 

* 절경의 대표, 구이린(桂林) 여행
화난지방의 최대의 볼거리는 역시 구이린. 리강을 따라 불쑥불쑥 솟은 기묘한 산들의 퍼레이드를 관광하면 과연 이곳이 별천지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구이린 시내 관광과 리강 유람을 1박씩 잡아서 여행하는데, 홍콩으로 들어가 1박하고 광저우에 잠깐 들러 구이린으로 가는 코스로, 돌아오는 시간까지 해서 3박 4일에서 4박 5일 정도면 OK.


* 도자기의 고향으로의 여행
전국 공예미술품 중점생산구로 지정되어 있는 광저우를 비롯하여 중국 최대의 도자기 생산지인 징더전(景德鎭), 당나라 초기부터 유명했던 벼루 산지인 자오칭(肇慶) 등을 돌아보는 코스. 중국 여행은 역시 역사적인 주제를 갖는 코스나 산수를 즐기는 코스가 적격.


* 화난의 절경 순례 코스
이곳을 여행해 본 사람이면 다른 어떤 곳보다도 화난지방의 기막힌 절경이 볼 만하다고 추천한다. 리강의 구이린, 동정호가 있는 웨양, 동진(東晋)의 문인 도연명(陶淵明)이나 당대의 문인 이백(李白), 백거이 등이 극찬한 루산(盧山) 등을 돌아보는 코스. 역시 일품.

 

西湖灯光夜市

 

广州市西湖路

2214在广路站下。或乘坐地在公前站下

芳村小巷灯光夜市

:服装、小商品、小百

居路--芳村站

站直达线路:52、207、275,其它线路:19、57、64、70、71

沙河灯光夜市

:服装、小商品、小百

沙河大街--沙河大街站

站直达线路:122、201、209、257,其它线路:11、27、65、236、246

育路灯光夜市

:服装、小商品、小百

育路--北京路站

站直达线路:7、529、864,其它线路:12、14、65、70、102、104、107、182、264

灯光夜市

:服装、小商品、小百

大道沙大街--沙

站直达线路:202、266,其它线路:9、10、26、59、69、75、220、249

珠光灯光夜市

:服装、小商品、小百

珠光路--北京路站

站直达线路:7、529、864,其它线路:1、10、12、64、65、70、102、107、125

 

 

이 글 모두 제가 가지고 참고했던 자료들입니다.

그리고 여행책자보면 광동 위험하다는데...당췌...위험하지 않았습니다. 나 외국인이야~!무식한 짱께들아~! 이런식으로 티내시고 뎅기시지만 않으시면 절대 안 위험합니다. 개인적으로 광저우...사람도 착하고 보통화도 잘 알아듣고 순진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저기 자료보시다보면 중간중간에 민박이나 그런거 나올지도 모르겠는데...비쌉니다.

가지마세요. 걍 역전이나 그런데 여관가서 주무세요. 싸고 좋습니다. 외국에서까지 바가지 쒸으는건 한국인이랑 조선족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민박집 돈이면 여관에서 편하게 먹고자고 2일3일은 할 수 있음.단...음식 안가리시는 분에 한해서요..ㅋㅋㅋ

그리고 광주 지하철 좋아요. 표가 없고 코인처럼 둥근거 주는데...만약 천진에 계셨던 분이라면 천진지하철과 같습니다. 시설 좋습니다.

 

-큐-

 

출처 : 네이버 블로그 Q's Story

 

출처 : 중국여행동호회
글쓴이 : 커뮤니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