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테크/기독교자료

[스크랩] 러시아 정교회

명호경영컨설턴트 2010. 2. 6. 09:0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성당건물을 바라보면, 양파 모양의 황금색(또는 푸른색, 파란색 등) 돔 위에 특별한 모형의 십자가 표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다양한 십자가 표지들을 사용합니다. 그 표지들은 "사말(四末)의 그리스도 십자가 " 라 부르기도 하고 "팔단(八端)의 그리스도 십자가" 라고도 불리어 지고 있습니다. 이 십자가 표지는 마치 러시아 정교회를 상징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십자가는 예수님을 못박기 위해, 골고타 언덕에 미리 준비되었다고 합니다. 철학자이며, 순교자인 성 유스틴, 떼르뚤리안, 리용의 이레네오 등, 교부들이 이를 증언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 신도가 이 사말(四末) 또는 팔단(八端)의 십자가를 양손으로 모아 쥐고, 머리위로 높이 받들면, 그 사람은 바로 양파형 황금색 돔형태와 비슷하게 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묻히셨다가 3일 만에 부활, 승천 후, 성령께서 불혀 모양으로 교회(성모마리아, 사도들, 신도들)에 강림하심을 뜻 합니다. 사말의 십자가는 불혀 모양(양파모양)의 외부 돔에서, 성당내부의 회중석 중앙 천정에 설치된 샹데리아로 연결됩니다. 샹데리아 불 빛은 성령의 빛, 성령의 은혜로 상징되는 동시에 하느님의 영광을 알리는 태양, 달, 별들이 있는 하늘 그리고 땅, 천지만물을 상징합니다. 이는 바로 장엄한 창조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성당의 구성

정교회 성당의 형태는 여러 가지이지만, 대개는 십자가 형태로 건축 합니다. 알따르 라고 부르는 지성소를 머리로 하여, 동향(東向)으로 십자가형 성당을 짓습니다. 정교회의 모든 가르침과 신학이, 성당의 건축물과 장식으로 집약 표현 됩니다. 새로 지은 성당 안에 예루살렘이 있고, 타볼산이 있고, 게세마니동산, 골고타 언덕, 갈렐리아와 에덴도 있습니다.
신심 있는 이들에게는 교회의 가르침과, 역사와, 신학이, 과거의 일이거나, 어떤 한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바로 오늘 현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성당은 곧 궁전

성당은 왕중의 왕을 모시는 궁전입니다. 승리자이신 그리스도는 왕좌에 좌정하십니다. 알타르 안, 주님의 보좌(寶座) 위, 뒷면 중앙에, 왕좌에 앉으신 그리스도의 이콘이 안치되고, 그 우편에는 성모 마리아, 좌편에는 예언자 세례 요한이 주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께 겸손한 자세로 주 예수님을 흠승합니다.

그리스도는 존귀한 자신을 낮추시어 십자가에 달려 죽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도 그분을 높여 올리시고,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하늘과 땅 아래에 있는 모든 존재가 예수님의 이름을 받들어 무릎을 꿇고, 모두가 입을 모아 예수 그리스도가 주님이라고 외치며, 하느님 아버지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거룩한 보좌

일반적으로 알따르라 부르는 것은 지성소 안에 제단을 말하지만, 러시아 정교회 전통은 지성소 전체를 알따르라 부르고, 제단이라 부르는 것을 보좌(寶座)라고 표현합니다. 보좌에는 하느님이 내려 앉으시는 자리인 것입니다. 이 보좌 위에는 안티민숀 이라는 예수님 장례 장면을 묘사한 천으로 된 그림이 있고, 그 천 한 끝에는 성인의 유해가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교구장 주교님의 서명이 있습니다.

사제들은 이 안티민숀 위에서 성찬의 전례를 집전합니다. 옛날 초대교회 때에는 순교자들의 유해가 있는 곳에서 또는 지하 무덤에서 예배집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때로는 성인의 유해를 성당으로 모셔와 알따르(지성소)에 안치하고 거기서 예배를 집전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오늘날까지 정교회 안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복음 성경

보좌의 중앙, 안티민숀 위에 4복음으로 만 편집되고 장정된 복음 성경이 안치 됩니다. 말씀이 중심의 자리에 있는 것입니다. 성경 뒤에 황금 빛 감실이 있습니다. 그 안에는 축성된 성체와 성혈이 모셔져 있는데, 환자 방문 때, 봉성체 성혈 합니다.

일곱 등불

보좌에는 일곱 등불이 켜져 있습니다. 성령의 칠은(七恩)과 정교회의 칠성사(七聖事)를 뜻 합니다. 그리고, 하느님의 현존의 표시 입니다.

십자가

보좌의 일곱 등불 바로 뒤에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상징인 십자가가 세워져 있습니다. 그 십자가는 양 손, 양 발에 못 4개가 박혔고, 오른쪽 옆구리에는 창에 찔린 상흔이 있습니다. 그러나, 머리에는 가시관이 없습니다. 주님의 머리 위에 쓰여진 표시는 "영광의 왕"으로 바꾸어 표기 되었습니다.

그분은 모든 것을 아버지께 맡겼습니다. 아주 평화로운 모습의, 죽음을 이기시고 승리자로 영광의 왕이 되신 것입니다.

원형대

주님의 보좌 뒤, 양끝에 원형대가 하나씩, 두 개가 있습니다. 그 원형 안에는 헤루 빔과 세라핌이 두 날개로 얼굴을 가리고, 두 날개로는 몸을 가리고, 두 날개로는 발을 가리면서 거룩하신 하느님을 찬양한다는 이사야 예언자의 환시를 조각한 것이 있는데, 성찬의 전례 대 입단시, 복사들에 의해 이동됩니다. 이동의 뜻은 여섯 날개 천사들이 골고타로 향하시는 주님을 호위하는 것입니다.

예비 제단

주님의 거룩한 보좌, 왼쪽 한 모퉁이에 작은 제단이 있습니다. 여기에 신도들이 가지고 온 빵과, 포도주가 성찬 예배 전에 준비되고, 말씀의 전례 다음, 성찬의 전례 중에서 봉헌물(쁘로스포라: 빵과 포도주)이 장엄한 행렬로 거룩한 보좌로 옮겨집니다.

주 예수님의 성탄으로, 임마누엘로 오신 주님이 우리 가운데 계시고,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우리는 그분의 삶과, 죽으심과, 부활하심과, 승천하심에 동참합니다

주교좌

지성소, 왕좌에 앉으신 그리스도 이콘 아래에 주교좌(座)가 있습니다. 주교좌라 하지만, 주교는 거기에 앉지 않습니다. 주님이 앉으시기 때문에 주교는 따로 마련한 의자를 사용 합니다.

성상격

이코노스타시스라 하는 성상격은 지성소(알따르)와 회중석을 분리시킵니다. 이는 구약의 성전 휘장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성상격 가운데는 두쪽 문이있는데, 임금문 또는 아름다운 문이라 합니다. 그 문의 맨 위 좌측에는 가브리엘 대천사 상, 우편에는 성모 마리아 상이 있습니다. 예수님의 잉태, 곧 하느님 말씀의 육화를 알립니다.

성모 마리아 이콘 바로 밑에는 성 마태오 복음사가 이콘, 그 밑에는 성 마르코 복음사가, 그 아래는 성 요한 복음사가의 이콘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임금문은 왕 중 왕의 출입문입니다. 소입당, 대입당 때, 모두 이문으로 들어갑니다. 사제가 축복을 할 때, 복음 성경을 읽고 설교를 할때, 모두 이 문을 통해서 합니다.

임금문 우측에는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경 책을 들고, 회중을 바라보면서 강복하시는 이콘이 있습니다. 세상 끝날까지 우리와 함께 하시는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을 표현합니다.

임금문 좌측에는 아기 예수님을 품에 안으신 성모 마리아 이콘이 있습니다. 임마누엘,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느님을 겸손한 자세로 품에 안으신 성모 마리아는 성령으로 충만한 가운데, 아기 예수님의 눈 빛, 손 동작 등, 모든 행위를 가슴에 새깁니다. 이 이콘을 잘 살펴보면 아기는 어른의 모습이고, 후원 안에 새겨진 글자 표시와 O.w.N의 글자는 본래부터 계시는 구세주 하느님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콘 우측에는 성 미카엘 대천사 이콘이 있습니다. 그 이콘은 한 쪽의 문입니다. 성 미카엘은 하느님을 호위하시고, 악의 세력을 물리치는 대천사입니다. 지성소로 들어 갈 때는 모두 이 성 미카엘 문(동문)을 통해서 들어 갑니다.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님 이콘 좌측에는 성 가브리엘 대천사 이콘이 있습니다. 그 이콘도 한쪽의 문입니다. 성 가브리엘 대천사는 기쁜 소식, 곧 주 예수님의 잉태를 성모님께 알리는 사명을 수행합니다. 지성소에서 회중석으로 나올 때는 이 문(서문)으로 나옵니다.

(비잔틴 성화에서 성 미카엘은 적을 물리치는 상징의 칼을 쳐 들고 있습 니다. 하지만, 15세기 이래 러시아 전통의 성 미카엘은 아주 순결하고, 겸손하게 그리스도를 받들어 모시는 표현으로, 칼 대신 그리스도(XC)라고 새겨진 수정 원 같은 모양을 받들고 있습니다. 성 가브리엘 대천사도 마찬가지로 표현 됩니다 )

성상격의 윗 부분에는 최후의 만찬 이콘 중심으로 예수님의 삶 안에서 주요 사건을 그린 이콘들, 성모 희보, 예수 성탄, 예수 입당, 예수 세례, 타볼산에서의 거룩한 변모, 성모 안식, 예루살렘 입성, 겟세마니의 기도, 십자가 처형, 예수님 장례, 예수 부활, 예수 승천, 성령강림 등이 배열 됩니다.

그리고, 성당 내부의 기둥 옆이나 코너에, 그 성당에서 선택된 이콘들, 주로 기적의 이콘들이 안치 됩니다. 각 이콘 앞에는 등불이 켜져 있고, 대형 촛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중앙 등불 중심으로 작은 촛불들이 주변으로 밝혀 집니다.

축일 이콘(성화상)대

이코노스타시스(성상격) 앞, 회중석에는 축일 이콘 대가 한 개, 혹은 두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거기에는 축일과 연관된 이콘들이 안치되고, 촛불이 밝혀 집니다. 이콘 대는 꽃으로 장식되기도 합니다.

신도들은 축일 이콘대 앞으로 다가와, 해당 이콘에 입맞춤하고, 전구지향 기도를 하면서 촛불을 봉헌하고, 성호를 그으면서 부복, 반 부복 배례를 합니다.

참여 자세

신도들은 성당 입구에서 양초를 구입하여, 이콘 가까이와서 촛불을 켜고, 성호를 그으면서 부복, 또는 반 부복 배례를 하면서 지향하는 기도를 합니다. 그리고, 한쪽으로가 서서 예배에 참석 합니다. 러시아 정교회 성당 안에는 신도용 의자는 없습니다. 모서리에 노인들과 장애자들을 위한 긴 의자가 몇 개 있을 뿐입니다. 신도들은 하느님 앞에 나아가 서있는 것입니다.

성화상(이콘)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나라로 나아가는 길 위에 있는, 한 순례자임을 깨달을 필요가 있습니다. 예배 드리는 사람들에게 구원의 역사에 중요한 면을 표현하기 위함이며, 작고, 큰 교회(하느님의 백성)는 천사들과 성인들의 친교 안에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전례 집전자들은 예식 중에 성화상에 먼저 분향하고, 그 다음에 회중들에게 분향 합니다. 이는 살아있는 그리스도의 신비체(그리스도의 몸)에 분향하는 것입니다.

문간 방 (나르텍스)

아직 그리스도에 대한 신심이 부족하거나 없는 이들이, 말씀의 전례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진리와 신앙심을 얻는 은혜를 받아 들이는 예비자들의 공간 입니다 (세상과 같은 곳). 구원의 배를 타기를 원하는 이들이 교회에 입문하는 곳 입니다.

[출처: 바오로 urusa 0303]

출처 : 창골산봉서방http://cafe.daum.net/cgsbong
글쓴이 : 둥근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