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역사이야기

[스크랩] 지방쓰는법

명호경영컨설턴트 2011. 9. 14. 07:56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다.
문안을 쓸 때에는 붓을 사용하여 한자로 쓰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당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6㎝, 세로 22㎝의 깨끗한 한지에 먹으로 쓴다.

한 장의 지방에 한 분의 신위만을 쓸 때는 중앙에, 한 장에두 분의 신위를 모실 때에는 좌고우비(고서비동) 즉, 고위(돌아가신 부친)는왼쪽에, 비위(돌아가신 모친)는 오른쪽에 쓴다.
일반적으로 남자고인의 경우 ‘顯考官學生府君神位’를 쓰는데, ‘학생’이란 말은 과거를 준비 중인 사람들을지칭하던 용어이다.
따라서 벼슬이 있으면 ‘學生’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 ‘崇祿大夫’등)을 쓰고 그 부인은 ‘孺人’대신에 貞敬婦人을 쓴다.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여성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는 남편의 벼슬에 따라 봉작을 사용하였으나 오늘날에도 남편의 관직 급수에 해당하는 부인의 벼슬 관작을 사용하는 것은 예법에 맞지 않는다.
고위는 성씨를쓰지않지만, 비위는 성씨를 쓴다.
이는 아버지는 두 분일 수 없지만, 어머니는 아버지가 재취(再娶), 삼취(三娶)했을 경우 두 분 이상일 수 있기에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한 분이라도 의례의 통일성을 위해서 성씨를 쓴다.
일정한 직함이 없는 여성은 유인(孺人)이라고 쓴다. ‘考’는 사후의 ‘父’를 뜻하며 ‘비’는 사후의 母 를 뜻한다.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 것이 기본이다.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한 할아버지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현 현
고 고
조 조
고 비
학 유
생 인
부 전
군 주
신 이
위 씨

현 현
증 증
조 조
고 비
학 유
생 인
부 김
군 해
신 김
위 씨
신 위
현 현
조 조
고 비
학 유
생 인
부 밀
군 양
신 박
위 씨

현 현
고 비
학 유
생 인
부 진
군 양
신 강
위 씨

               
백(숙)부모   남 편   아 내    
현 현
백 백
(숙)
(숙)
부 모
학 유
생 인
부 김
군 해
신 김
위 씨

















현 현
형 형
학 수
생 유
부 인
군 파
신 평
위 윤




기제사 축문

서식1) 아버지,어머니 모두 사망하신 경우

1. 아버지 기제사축
維 歲次  干支年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  간지년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孝子 某名 敢昭告于
효자 모명 감소고우
顯考 某官府君
현고 모관 부군
顯비 某封 某貫某氏 歲序遷易      *비=女+比 입니다.
현비 모봉 모관모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풀이) 몇년 몇월 몇일 효자 0 0는
아버님,어머님영전에 감히 고 하옵니다.
해가 바뀌어 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지난 날의 감회가 깊어 하늘 같은 크고 넓은 은혜잊을 길이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을 공손히 전을 올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 하시옵소서.

2. 어머니 기제사축
維 歲次 干支年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 간지년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孝子 某名 敢昭告于
효자 모명 감소고우
顯考 某官府君
현고 모관부군
顯비 某封 某貫某氏  歲序遷易
현비 모봉 모관모씨  세서천역
顯비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비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서식2) 부친 기제사축(모친 생존한 경우)

維 歲次 干支年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 간지년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孝子 某名 敢昭告于
효자 모명 감소고우
顯考 某官府君  歲序遷易  諱日復臨
현고 모관부군  세서천역  휘일부림
追遠感時 昊天罔極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서식3) 모친 기제사축(부친 생존한 경우)

維 歲次 干支年 某月干支朔 某日干支
유 세차 간지년 모월간지삭 모일간지
孝子 某名 敢昭告于
효자 모명 감소고우
顯비 某封 某貫某氏  歲序遷易
현비 모봉 모관모씨  세서천역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서식4) 조부모 기제사축

효자(孝子) =>효손(孝孫)으로
현고(顯考) => 현조고(顯祖考)로
현비(顯비) => 현조비(顯祖비)로
"昊天罔極 " 을 "不勝永慕" 로 고쳐 쓰면 된다.
 

출처 : 잃어버린 나를 찾아서..
글쓴이 : 은빛바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