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합리적 소비
남따라, 남과 다르게, 과시하려고… 모두 잘못
요즘같이 물가가 오르고 있을 때 어머니와 아버지들은 허리띠를 졸라맨다고 하십니다. 즉,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것만 구입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는 과연 합리적이고 모범적인 소비만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비합리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소비행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밴드 왜건 효과(band wagon effect)
밴드 왜건이란 미국의 서부개척시대에 흔히 쓰이던 운송수단인 포장마차를 말합니다. 서부영화를 보면 포장마차는 주로 무리를 이루어 여러 명이 함께 이동을 합니다. 그 당시에는 금광이나 신천지가 있다는 말만 믿고 무작정 다른 사람들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이 단어는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이 자신이 발표한 자료(Bandwagon, Snob, and Veblen Effects in the Theory of Consumers' Demand, 1950년)에서 처음 사용한데서 유래했습니다. 밴드 왜건의 무리들이 다른 사람들을 따라 이리 저리 이동하는 것처럼 자신의 주관이나 기호보다는 같은 또래의 친구들이나 모임 등에서 구매하는 것을 따라하거나, 새로운 스타일이나 패션을 따라가기 위해 구매하거나, 유명 스타가 나오는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행위 등을 지칭해 밴드 왜건 현상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밴드 왜건 효과는 '편승 효과'라고도 하는데 일종의 모방 심리와 일맥상통하며, 우리 속담 중 친구따라 강남가는 식의 소비성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행에 민감한 젊은 여성들이나, 연예인을 동경하는 10대 소비자들은 본인도 모르게 이러한 소비행태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노브 효과(snob effect)
스노브 효과는 앞서 언급한 밴드 왜건 효과와 정반대의 경우를 말합니다. 스노브(snob)는 아랫사람을 무시하고 윗사람에게 아부하는 속물을 뜻합니다만, 스노브 효과라고 할 때는 '다른 사람들이 구입하는 물건은 구입하지 않고 남들과 구별될 수 있는 특이하거나 특별한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다른 사람과 구별되려고 특별한 의상을 입는다든지, 진귀한 예술품이나 희귀한 스포츠카를 소유하고자 하는 행위를 지칭합니다.
다른 말로는 백로 효과 또는 속물 효과라고도 하는데 혼자서 고고하고 우아한 척하는 백로와 비슷하다는 의미와 속물근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말입니다. 스노브 효과 역시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이 위에 언급한 자료를 작성하면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는 이러한 행위를 하는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할 때 남과 다른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많이 사용할수록 구매 의사가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스노브 효과와 같은 소비행태를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 사치스러운 소비를 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만의 개성이나 새로움에 대한 추구 등으로 인생을 보다 아름답고 풍요롭게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 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입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베블런 효과라고 할 때는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행태로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급 자동차, 고가의 주택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돼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실례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가 발생하는 이유는 필요에 의해서 구입하는 사람도 일부 있지만, 단지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과시욕이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고가의 물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경우 상품의 값이 떨어지면 구매를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과시 효과'라고도 할 수 있는데 스노브 효과가 다른 사람들의 구매 여부에 따라 자신의 구매행위가 영향을 받는 것인데 비해 베블런 효과는 상품의 가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합리적 소비, 왜 중요한가
기업들이 상품의 매출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위에 언급된 효과들을 마케팅기법에 이용해 소비를 조장하기도 하지만 소비자들의 성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러한 비합리적인 소비행태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지금 외국 상류사회의 소비성향을 무조건 따라하려는 '밴드 왜건 효과'로 인해 이른바 '명품'이라고 불리는 제품을 찾아 다니는 소비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명품'을 만드는 국가에서도 우리나라처럼 이런 제품에 대해 대중적인 열풍이 부는 일은 없다고 하는데도 말입니다.
이런 소비행태가 사회에 널리 퍼지게 될 경우 자신의 소득에 비해 넘치는 소비를 하게 되어 신용불량 발생 등의 경제적 문제와 함께 소득 및 소비의 양극화로 인해 사회갈등 문제까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소비보다는 적절하고 합리적인 소비가 더 아름다운 모습으로 비쳐지는 사회일수록 건강하게 오래 유지될 수 있지 않을까요?
'부자테크 > 재테크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돈을 버는 사람과 돈을 못 버는 사람의 가장 큰 차이 (0) | 2008.08.02 |
---|---|
재테크실패이야기기 (0) | 2008.08.01 |
[스크랩] 최대효용 얻는 소비방법 (0) | 2008.07.31 |
[스크랩] 소비패턴 4P 뚜렷 (0) | 2008.07.31 |
[스크랩] 경제심리 급속악화 (0) | 2008.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