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특허정보의 분석
1) 특허정보 분석의 종류
(1) 정량분석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수량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특허정보의 경우 수량적으로 생각되는 것은 출원건수, 출원인수, 발명자수, 특허분류수 등 서지적 데이터에서 곧 바로 얻어진다. 이것들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첫째 수량적인 비교를 하는 방법이 있고, 그것을 많은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 순위 분석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출원건수 순위 (기술개발력을 파악)
- 발명자수 순위 (기술자층의 분포 파악)
- 특허분류수 순위 (다각화 경향을 파악)
다음 특허정보에 반드시 부여되어 있는 출원일을 이용함으로써 시간적인 경과 속에서의 변화를 보는 방법이 있는 데, 이것이 건수 추이 분석이다. 이 건수 추이분석에 있어서는 시간으로서 공개시점을 취하기 보다 출원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그 기술이 언제 공개되었느냐 보다 언제 출원된 기술인가(언제 발명된 개발기술인가)하는 쪽이 기술동향의 해석적인 의미에 있어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2) 정성분석
데이터를 내용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는 기술내용과 출원인, 발명자, 특허분류, 출원일 등과의 조합에 의해 분석하거나 기술내용 상호관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들 분석 방법에는
- 어떤 관점에서 기술내용을 시계열적으로 추구하는 Tempest 분석
- 시간축을 배제하고, 기술 데이터와 기술데이터를 직교좌표의 종축과 횡축으로 놓고, 그 양을 조사하는 Matrix분석
- 전체적인 기술의 흐름을 보는 기술발전도 분석
- 새로 발생한 분류나 Key Word를 어느 일정한 시간간격(기간)으로 추구하는 New Entry분석 등이 있다.
(3) 상관분석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어느 데이터 항목과 다른 데이터 항목간의 관계, 데이터 항목과 다른 인자간의 관계, 데이터 항목과 데이터 항목을 가공해서 얻은 데이터간의 관계 등을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등의 형태를 구하거나, 그래프화하여 그 Position을 명확하게 하여 장래 예측의 재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 분석방법에는 Portfolio분석, 신장율 분석, 신기술 계수분석 등 수량적으로 처리하는 것과, 기술상관관계분석, 기업상관관계분석, 발명자 상관관계 분석 등과 내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있다.
포트폴리오란 원래 종이 끼우개(클립), 둘로 접는 가방을 의미하고, 주식시장 용어로는 여러개의 유가증권의 조합을 말한다. 종축(Y축)에 특허출원건수의 신장율, 횡축(X축)에 최근 수년간의 출원건수를 잡고, 또 누적출원건수를 원의 크기로 나타낸다. 그래서 가령 기술개발의 Life Cycle과 출원건수가 비례한다고 보면 기술개발의 Life Cycle에 대응해서 출원건수는 다음과 같이 된다.
① 탐색기(기술의 싹 단계) : 출원건수는 적고 또 신장도 낮다.
② 성장기(유망화된 기술의 성장 단계) : 출원건수가 증가하고 신장도 상승한다.
③ 발전기(기술의 발전단계) : 출원건수는 많지만 신장은 멈춰서 보합.
④ 성숙기(기술의 성숙단계) : 출원건수는 많지만 신장은 저하된다.
⑤ 쇠퇴기(기술의 쇠퇴 단계) : 출원건수가 감소하고 신장도 저하된다.
'사람테크 > 킴스특허 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립스틱 이야기 (0) | 2008.08.02 |
---|---|
[스크랩] Patent Map의 작성 과정 (0) | 2008.08.02 |
[스크랩] 1. 특허맵(Patent Map) - 3. PM의 효과 (0) | 2008.08.02 |
[스크랩] 1. 특허맵(Patent Map)-2. PM의 작성목적 (0) | 2008.08.02 |
[스크랩] 1. 특허맵(Patent Map)-2) PM의 필요성 (0) | 2008.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