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보유기간이 2년이상이냐 2년미만이냐에 따라서도 양도소득세 부담액이
크게 달라진다. 왜냐하면 보유기간이 2년이상이면 양도소득의 크기에 따라 9% ~ 36%까지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보유기간이 2년미만이면 무조건 40%의 세율이 적용되며, 특히 보유기간이
1년미만이면 50%로 높은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예) 3,000만원의 양도차익을 남긴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
1) 보유기간이 2년1개월 (2년이상)일 경우 : 364 만원 (18% 세율적용)
2) 보유기간이 1년9개월 (2년미만)일 경우 : 990 만원 (40% 세율적용)
3) 보유기간이 9개월 (1년미만)일 경우 : 1.237 만원 (50% 세율적용)
양도시기는 잔금청산일로 하되 잔금청산일이 불분명하거나 잔금을 청산하기 전에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경우에는 소유권이전등기일을 양도일로 보므로, 잔금청산약정일 기준으로 보유기간이 2년
또는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실지 잔금청산일을 2년 또는 1년이 지난후로 하고 등기 또한 2년 또는
1년이 지난후에 이전해 주면 된다.
실무적으로는 기준시가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경우에 잔금청산일을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등기부등본을 보고 1~2년 이상 보유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또한 보유기간이 1년 미마니면 실지거래가액으로 계산하여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실지거래
가액으로 계산하면 기준시가로 계산하는 것보다 세금부담이 큰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부동산을 취득한 후 부득이 1~2년 이내에 양도해야 하는 경우에도 보유기간이 1년 또는
2년이 지나도록 양도시기를 조절하면 세금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명호테크 > 회계와 세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동산을 등기하지 않고 양도하는 경우 불이익이 있을까? (0) | 2008.09.07 |
---|---|
[스크랩] [사업타당성 분석] 회사의 재무능력분석 (0) | 2008.09.07 |
[스크랩] [세금] 각 국 관세율 조회 방법 (0) | 2008.09.07 |
[스크랩] [회계]현금흐름법 시리즈~ (0) | 2008.09.07 |
[스크랩]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외 지역이전 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0) | 200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