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테크/버섯이야기

[스크랩] 버섯이란?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9. 9. 23:10
버섯이란 계통 분류학적 관점이 아닌 인위적인 분류군으로서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자실체를 크게 형성하는 균류로 대부분의 담자균류와 일부 자낭군류가 이에 속한다.
 
버섯의 생활사
자실체 부위와 명칭
 
 
버섯 자실체의 미세구조
 
 
버섯의 자실체 모양
 
 
자연계에서 버섯의 역활
 
생태계의 개념을 자연관에 입각하여 4개의 기본단위로 구성되었다고 하며, 첫째 물,탄산가스, 산소,아미노산 등 기초적 무기물 및 유기화합물로서 무생물적 물질이고, 둘째 기초적 무기물질을 합성하여복잡한 유기물질, 원형질 등을 만들 수 있는 녹색식물로서 생산자라하며, 셋째 식물(생산자)에 의해 만들어진
복잡한 유기화합물체인 식물을 먹는 곤충, 어류, 동물등으로서 소비자라 하고, 넷째 식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원형질 등의 복잡한 화합물을 단순한 화합물로 분해하는 즉, 유기물을 무기물화 하는 세균, 진균 등 미생물로서 분해자 또는 환원자라 한다.
 
제 1단위는 무생물적 환경이고 기타 3개 단위는 생물군집을 구성하고 이 구성원이 상호 적당하게 관련하므로서 자연계의 조화가 유지된다고 제창하였다. (E. P. Odum 1953)
이와같이 자연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적 요소는 생산자인 식물, 소비자인 동물, 분해자인 미생물 등 3가지이다. 생태계중에서 미생물의 역할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환원하는 것이며 미생물중에서 유기물 분해의 주역은 진균류이다. 특히 산림에는 담자균류의 버섯류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기후대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산림내의 년간 ha당 낙엽량은 한냉지역 1톤에서 적도열대지역에서는 7톤(10톤)이고 열대강우림에서는 12톤(최대 23톤) 등으로 대단히 높은 수치다. (Bray 1964, 吉良 등 1967)
이러한 낙엽 퇴적물은 균류에 의해 분해되며 식물조직으로 인정할 수 없는 유기물층으로 완전 분해되기 까지는 약 10년이 걸린다 (Kendrick 1959). 낙엽의 분해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분해의 진행과정에 의해 종이 달라진다(Tubakio 등 1969, Saito 1969)고 하였으며, 주로 낙엽버섯류로서 낙엽 분해력은 타균에 비해 강력하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을 분해하며, 낙엽을 황색∼백색화시키는 백색부후균과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루로스는 없어지고 리그닌만 남는 갈색부후균이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버섯이 자연생태계에서 낙엽이나 목재를 부후하는 분해자(환원자) 로서의 역할은 전형적인 활동이나, 또 하나의 다른 중요한 식물뿌리에 공생하여 기주의 생육을 조장하며 수목, 식물 또는 일반 작물 등에 여러가지 형태로 공생한다. 이러한 형을 균근균이라 한다. 이러한 균이 식물에 공생하면 인이나 기타 무기염류를 흡수하여 기주에 전달하고 토양 병해, 한발 등에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 균근균의 종류
VA 균근균 : 공생균은 접합균 기생은 이끼류, 양치류, 나자, 피자식물
외생균근균 : 담자균, 자낭균, 접합균 나자, 피자식물
내생균근균 : 담자균, 자낭균 나자, 피자식물
Arbutoid공생균 : 담자균 철쭉, 진달래
Orchid공생균 : 담자균

 
이상 자연계에서 버섯이 없었다고 하면 낙엽, 목재에 덮혀 광합성 원류인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결핍으로 생물이 살아갈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식물, 동물, 균류의 상호 안정된 물질순환 [ 합성 분해 합성]으로 생태계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섯(균류)가 자연계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출처;http://mushbank.niast.go.kr>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