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테크/종교이야기
生從何處來 死向何處去 생야일편부운기(生也一片浮雲起) 사야일편부운멸(死也一片浮雲滅) 부운자체본무실(浮雲自體本無實) 생사거래역여연(生死去來亦如然) 독유일물상독로(獨有一物常獨露) 담연불수어생사(湛然不隨於生死) 인생이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태어남은 마치 한 조각 뜬구름이 일어나는 것 죽음 역시 한 조각 뜬구름이 사라지는 것 뜬 구름이란 실체가 없는 것으로, 인생이 나고 죽는 것도 이 뜬구름처럼 실체가 없는 것이지만, 그러나 오직 한 물건이 있어서 생사에 관계없이 고요하여 항상 홀로 뚜렷하다. 무상하고 허무하고 나고 죽음이 있는 이 인생살이 속에 태어남도 없고 영원히 죽지도 않는 신령스러운 한 물건이 있습니다. 이 한 물건이 출생이란 옷을 입고 나들이 나갔다가 사망이라는 옷으로 갈아입고 또 다른 마을로 나들이 가는 것, 이것이 우리 범부들의 눈에는 슬픔과 기쁨이 교차하는 생사입니다. 근본에서 보면 인생이란 태어남도 죽음도 없습니다. 이런 진실한 도리를 바로 깨달으면 삶과 죽음은 나들이 갈 때 갈아입는 외출복과 같은 것입니다. 따라서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삶을 탐착하지도 않게 되어 생사에 걸림 없는 참으로 대 자유인이 되는 것입니다. 조상이 돌아가시면 사십구재를 지내는 것은 죽음을 슬퍼하고 돌아가신 영가를 위로하기 위해서만이 아닙니다. 영가로 하여금 부처님이 밝혀주신 이 생사윤회의 실상을 올바르게 깨달아 생사윤회의 굴레를 단절하고, 영원한 삶을 성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의 육체는 인연 따라 태어나고 인연이 다하면 죽지만 우리의 주인공, 보고 듣고 말하며 이 육신을 운전하고 다니는 주인공은 태어남도 없고 죽음도 없습니다. 그러나 이 신령스러운 존재는 업력에 이끌려 이 세상에서 저 세상으로 끝없는 여행을 하는데 이것을 우리는 윤회라고 합니다. 비유를 들자면 저 밤하늘의 달과도 같은 것입니다. 밤하늘에 두둥실 떠서 밤길을 훤히 밝히던 보름달도 아침이 되어 태양이 떠오르면 그 모습을 찾을 수 없지만, 그렇다고 달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반대쪽은 밤이고 그 곳에서 달은 여전히 그 모습을 드러내 은은한 빛을 토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생사는 바로 이 달이 뜨고 지는 현상과 같고, 우리의 본래 주인공은 달과 같이 죽는다고 해도 아주 없어진 것이 아니라 다른 세상에서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부처님 되세요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