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 및 분포
몸은 긴 달걀 모양으로 몸 표면은 아주 매끄러운 것과 가시 모양 비늘을 가진 것이 있다. 입은 작고 위아래 두 턱에 각 2개의 앞니 모양의 엄니가 있고, 좌우로 있는 2개는 중앙 봉합선에서 서로 닿아 주둥이 모양을 이루고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짧고 높은 곳에 있으며 작은 아가미구멍이 그 바로 앞에 뚫려 있다. 배지느러미와 허리띠는 없다. 어느 지느러미나 모두 연조(soft ray: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져 있는 지느러미 줄기)로 되어 있고 가시 모양이 아니다. 위(胃)는 잘록해져서 등배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배쪽 부분을 팽창낭(膨脹囊)이라 하며 그 배면은 체벽에 달라 붙어 있다. 이 팽창낭에 물 또는 공기를 들여마셔 배를 크게 부풀릴 수 있는데, 마시는 물의 양은 몸무게의 4배에 이를 때도 있다. 놀랐을 때 배가 갑자기 커지는데 그것은 팽창낭에 의한 것이다. 배의 체측근(體側筋)은 오히려 퇴화하였고 그 대신 등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의 굴근(屈筋)이 잘 발달되어 있어 이들 근육도 배가 부푸는 것을 돕는다.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연해성 해산어로 주로 꼬리지느러미를 좌우로 흔들면서 헤엄치며 몸이 둥글어서 속도는 느리다. 움직이는 눈까풀이 있다. 육식성으로 단단한 이가 있고 턱의 근육도 발달되어, 새우, 게, 불가사리,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는다. 또 입에서 물을 뿜어서, 바다 밑의 모래 속에 있는 조개·털갯지네 등도 잡아먹는다. 낚싯줄을 잘 물어 끊는 것도, 낚아올렸을 때 끄륵끄륵 이빨 가는 소리를 내는 것도 이빨과 턱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복어목 참복아목 참복과에 속하는 어류 중 한국 근해에는 자주복·까칠복·검복·졸복·까치복·복섬·매리복·바실복·황복·흰점복·눈불개복·밀복·꺼끌복·별복·흰복·청복 등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분류학상 참복과와 더불어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에는, 개복치아목 개복치과의 개복치·물개복치가 있고, 파랑쥐치아목에는 은비늘치상과(上科) 은비늘치과의 은비늘치, 분홍쥐치과의 분홍쥐치가 있으며, 불뚝복상과 불뚝복과의 불뚝복, 쥐치복상과 쥐치복과의 파랑쥐치·갈쥐치·무늬쥐치·그물쥐치가 있고, 쥐치과에는 새양쥐치·쥐치·말쥐치·별쥐치·흑백쥐치·그물코쥐치·객주리·날개쥐치·물각쥐치가 있다. 또 거북복아목 거북복과에는 거북복·뿔복이 있고, 육각복과의 육각복이 알려져 있다.
주요성분
흰살 생선으로 성분적으로는 단백질의 함량(20.0%)이 많고, 지질의 함량(0.1%)은 극히 적다. 비타민은 지질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지용성비타민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복의 가식부의 성분은 대체로 수분 78.6~ 79.7%, 단백질 17.6~20.0%, 당질 0.1~0.4%, 섬유 0~0.3%, 회분 1.2~1.4%, Ca 13~32mg%, P 140~370mg%, Fe 0.6~0.8mg%, Na 140mg%, k 290mg%, 레티놀(retinol) 0μg%, 카로틴(carotene) 0μg%, Vitamin A효력 0IU/100g, B1 0.05mg%, B2 0.10~0.20mg%, 니아신(niacin)
4.0~13.5mg%, C 0mg%이며 육질은 탄력이 있고 단단하다
효능, 효과
복어는 저칼로리, 고단백질, 저지방과 각종 무기질 및 비타민을 함유한 건강 다이어트 식품이다.
특히 예로부터 수술전후의 환자회복 및 당뇨병, 신장질환의 식이요법의 처방으로 여겨졌으며 갱년기장애 혈전과 노화를 방지하고 여성의 폐경이 연장되는 등 각종 암, 종양, 궤양의 예방효과가 있다.
복어는 콜레스테롤 감소와 알콜중독에 해독작용이 있는 사실이 증명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수술전후의 환자회복과 각종 암 및 궤양에도 좋다.
특히 숙취예방에 좋은 성분이 복에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복어의 독인 테트로도톡신은 의약으로 쓰이는데, 신경통, 위경련, 피부의 가려움증, 야뇨증 등에 사용된다
근거자료
1. 식품위생학, 대학서림, 139p(1993)
2. http://home.dizzolife.co.kr/dabokjung/3.htm
3. http://100.naver.com/100.php?id=76789&cid=AD1057742420807&adflag=1
4. http://www.samminco.com/07.htm
5. http://fse.foodnara.go.kr/origin/
*본자료는 식품의약품 안정청 홈페이지에서 근거를 두고있습니다.**
내용출처 : 다음 오픈지식 본인작성 |
http://www.0808.or.kr/shopping/shopping-index.php?c=33
싱싱한 복어 구입문의 전복마을
전복마을 바로가기 클릭!클릭!
'코리아테크 > 부산토박이 요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요리예절 (0) | 2009.01.11 |
---|---|
[스크랩] 시원하고 담백한 복어 (0) | 2009.01.11 |
[스크랩] 요리의 기초가 되는 여러가지 육수 만들기 (0) | 2009.01.11 |
[스크랩] 김치 122가지, 맛있게 담그기 (0) | 2009.01.11 |
[스크랩] 도시락 요리법 모음 (0) | 200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