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거절감과 분노3.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2. 21:07

거절감과 분노3.

 

 

<분노하는 마음>

1. 분노하는 마음이란 무엇인가 ?

 

1) 분노하는 마음이란 마음속에서 부적절한 분노가 자주 일어나는 마음으로서

그것 때문에 내면적으로, 관계에 있어서 고통 받는 마음이다.
- 권위의 존재로부터 부적절한 대우를 받았을 때에, 혹은 권위의 존재와 잘못된 관계 속에 있을 때,

이에 대하여 반항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분노이고 이것은 부적절한 분노가 된다.
그러므로 분노는 상한 마음이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표출로서 자신의 내면과 관계에의 어려움을 갖게 만드는 것이다.

2) 분노하는 마음은 분노를 억압했을 때 갖게 되는 것이다.
- 자신보다 힘센 대상에 대하여 분노할 때 억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억압은 분노를 자신의 내면에 쌓아두는 것일 뿐, 적절한 처리가 되지 못한다.

3) 분노하는 마음에는 반드시 두려움이 뒤따른다.
- 억압되었던 분노를 발하거나 혹은 속으로 분노했을 때

이제 이 분노에 대한 벌을 받게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뒤따르고

그러므로 분노하는 마음은 필연적으로 두려워하는 마음을 갖게 만든다.

 

2. 분노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원인들

1) 원죄
죄의 결과로 하나님과 단절되면서 인간은 하나님에게 반항하는 마음을 계속 갖게 되고

이것은 인간에게 있는 지속적인 죄와 분노의 원인 된 것이다.
-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하면서 갖게 된 버림받은 마음과 굶주린 마음이 분노의 원인이 되었다(가인의 경우).
- 원죄의 유전 가운데에는 분노의 유전이 뚜렷하게 들어가 있다(가인의 후예/창 4:23-24).

2) 가정환경
① 분노하는 부모 : 분노는 내리 분노이다.

왜냐하면 억압된 분노는 자기보다 힘센 대상에게 가졌던 분노의 감정을 억압한 것이기에

자기보다 약한 대상인 자녀에게 표출하게 되고,자녀는 역시 그 분노에 의해 분노를 갖게 되지만,

어쩔 수 없이 억압하면서 분노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이다.
② 결손 가정 : 부모가 없음으로 인해서 오는 어려움을 겪을 때, 막연한 대상에 대하여 분
노를 품게 된다. 그러나 그 상황이 분노할 상황이 아니기에 억압을 하게 된다.
③ 사랑을 주지 않는 부모 : 부모가 사랑을 주지 않으면 굶주림이 오고 필연적으로 분노를 갖게 된다.

그러나 부모이기에 억압하거나 망각 속에 넣을 수밖에 없다.

특히 부모가 편애를 하는 경우 분노가 심하게 된다.
④ 왜곡된 사랑 : 왜곡된 부모의 사랑은 대부분 자녀를 무시하고 자기 식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자녀의 마음속에 직접적인 분노가 있을 뿐 아니라 거절감과 굶주림에서 발전한 분노를 갖게 된다.

그러나 부모가 힘이 있으므로 억압할 수밖에 없고 이것이 분노하는 마음이 된다.

3) 주변 사람들
유아기의 거절과 억압은 분모의 마음을 갖게 하지만,

그 분노는 나중에 만나는 사람들에 의해 강화될 수 있는 상한 마음이다.

즉, 주변에서 거절과 억압을 자꾸 느끼게 할 때 분노가 강화되는 것이다.

 

3. 분노하는 마음의 증상들
* 권위의 인물이 부적절하게 주는 영향력에 대하여 수동적이 아니라

공격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분노의 감정이 그 저변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반항/Rebellion>

1. 감정적인 경우(Emotional)

1) 적개심
- 분노가 그의 내면에서 개성 발달의 장애로 나타난 경우이다.
- 분노가 적절히 해결되지 못하고 내면에 깔리는 것이 반복되면 그것은

 내면에서 과잉-억압의 악순환을 하다가 삐뚤어진 감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이러한 감정이 수시로 튀어나오는 것이 적개심이다.

2) 자만심
- 노골적인 공허함과 자기 중심주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 거절당한 상처에 대하여 상대를 얕보거나 평가절하하는 식으로 덮는 방어기재이다.

3) 비속화(궤변)
- 상처를 직시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변형시키는 궤변적인 방어기재이다.
- 여러 가지 잡다한 것을 섞음으로써 거절감에서 오는 상처를 덮으려는 시도를 한다.

4) 의기 양양(Elation)
- 실의(Depression)보다 더 심한 같은 부류의 방어기제이다.
- 실망과 저조함을 견딜 수 없어서 인위적으로 계속 자기 기분을 최고조로 올려놓는 행동이다.

 

2. 지적인 면(Mind)

1) 우월의식
- 열등의식을 감추거나 보상하기 위한 방어기재이다.
- 스스로 우월한 것들을 자기 안에 수집함으로써 그런 의식을 만들어 간다.
- 남을 경멸하거나 비하함으로써 모든 관계가 단절되는 그런 피해를 가져온다.

 

2) 경쟁의식
- 편애에 의한 거절감과 결핍에서 오는 상처가 굳어진 상태이다.
- 항상 거절당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바닥에 깔고 있는 의식이다.
- 다른 사람의 어떤 것도 인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인다.

3) 군림
- 거절 받지 않기 위해 비정상적인 관계만을 맺으려는 것이 굳어진 상태이다.
- 자기중심적인 생각이 굳어진 내면 상태이다.
- 관계 맺는 방식이 일종의 횡포이다.

 

4) 견고성(완고함)
- 심한 열등감에서 나오는 공격적 반응이다.
-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다는 것은 자기가 무너지는 것이라는 내면적인 의식 상태의 표출이다.
- 고집불통, 배우기를 싫어하는 것 등이 다 여기에 속한다.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