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거절감과 분노1.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2. 21:08

거절감과 분노1.

 

<거절감>

 

1. 거절감(rejection)이란 무엇인가 ?

 

1) 거절감이란 과거에 거절 받은 아픈 감정이 부적절하게 작용하는 마음이다.
과거 부당하게 거절당하거나 버림받은 경험이 감정의 형태로 속에 남아 있어서 유사한 상황
이나 혹은 전혀 다른 상황 속에서 부적절하게 튀어나오는 것이 거절감이다.

2) 모든 상처의 출발은 이 거절감인 경우가 많다.
거절감은 상한 마음이 되는 첫 출발이다. 어떤 형태든지 감당할 수 없는 거절이나 버림받음
을 경험했을 때, 그것이 내면의 상처가 되면서 다른 상처를 불러일으킨다.

 

3) 상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더 쉽게 거절을 느끼고 그로 인해 더 많은 거절감에 시달린다.
상처가 나름대로 악순환하는 이유는 이 거절감 때문이다. 상한 마음의 소유자는 더 많은 거
절감을 느끼고 그것이 더 심한 상한 마음의 상태로 몰아가게 된다.

 

2. 거절감을 갖게 되는 원인들

1) 원죄
죄를 짓고 에덴동산에서 추방된 것이 거절감의 시작이다(창 3:23-24).
- 하나님께서 거절하신 것이 아니라 인간이 거절당할 수밖에 없도록 한 것이지만, 인간은
거절당했다는 자체만으로 거절감을 느낀다.
- 어린 시절부터 모든 인간은 소외되고 버림받는 것에 매우 민감하다.
- 부모가 거절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녀에게 유전된다.

 

2) 경쟁적인 환경
죄가 세상에 들어오면서 우리에게 시작된 것이 경쟁이고, 이 경쟁은 모든 사람에게 거절감
을 안겨 주었다.
- 형제간의 경쟁과 따돌림, 부모의 편애가 거절감을 갖게 한다.
- 사회에서의 경쟁이 거절감을 갖게 한다(경쟁에서 이기든 지든지 관계없이 경쟁 자체가 거
절감을 갖게 한다).


 

3) 상처(거절감)를 가지고 있는 부모
부모는 자녀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있든지, 없든지). 그러므로 상처가 있는 부모는 자
녀에게 거절감을 줄 수 있다.
① 원하지 않는 임신과 남녀 차별 - 태중의 거절감과 출생시의 거절감.
② 부모의 부적절한 거절 -일관성 없는 행동 / 지나치게 권위적인 아버지, 지나치게 신경질
적인 어머니
③ 부모의 잘못된 배변 훈련
④ 부모의 과잉보호
⑤ 부모의 편애(편애를 받는 쪽이나 받지 못하는 쪽 모두 다 거절감을 가질 수 있다. )
⑥ 부모의 조건적인 태도 - ‘하면’ 보다는 언제나 ‘하지 못하면’이 더욱 깊은 상처를 준다.
* 부모와의 이별은 자녀에게 깊은 거절감을 준다(사별, 이혼에 의한 헤어짐, 환경적인 헤어
짐, 등등).

 

4) 주변 사람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우리에게 거절을 했을 때 우리는 심한 거절감에 시달리게 되고 상처
를 입는다.
- 이 경우에 대부분은 원죄와 어린 시절 이미 우리에게 주어진 거절감이 심하게 다시 느껴
지는 것이다.
- 거절감 가운데 가장 심한 거절감은 배신감이다.

 

 

3. 거절감의 증상들

* 우리 인간의 마음에는 벽이 있다. 이것은 자신의 내면을 지키기 위해서 있는 마음의 벽이
다(개성, 자아). 사람들은 이것을 의지하고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이 마음의 벽이 하나님
의 다림줄로 재어 보면 많이 기울어져 있어서 어느 날 무너지기도 하고, 또 그것에 의해 삐
뚤어진 반응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암 7:7-9).
이 삐뚤어진 마음의 벽은 사단이 하나님의 자녀의 삶을 파괴하기 위하여 숨어서 노리고 있
는 가장 위험한 곳이며, 이것은 마치 집안에 벽에 손을 대었다가 뱀에 물리는 것과 같은 것
이다(암 5:19).
* 이렇게 우리의 마음의 벽이 삐뚤어진 이유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권위의 존재
(Authority Figure)가 잘못된 영향을 우리에게 주고 바르지 못한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릴 때부터(유아기) 잘못 되어진 이 관계는 그의 평생을 힘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겔 18:2).
→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권위의 인물로는 누가 해당되겠습니까?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