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감 없는 아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실 /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클리닉
# 자신감 없는 아이들은 보통 아이들과 어떻게 다른가?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은 앞에서 설명한 모습이 자신이 어떤 일을 혼자 스스로 해야 되거나, 또래와 경쟁해야 되는 상황, 혹은 남에 의해서 평가를 받게 되는 경우에 이러한 모습이 강하게 또는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보통 아이들의 일시적인 행동과는 다르다.
# 가정 분위기, 가족에서의 위치와 자신감
혼자 해보도록 허용해주고 격려해주는 분위기의 가정이나, 실패를 하더라도 따뜻하게 감싸주고 다시 해보도록 위로해주는 분위기의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자존심이나 자신감이 있다. 대개 맏이의 경우 어떤 일을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기 때문에 자율적이고 독립적이라고 생각되지만 형제의 순위에 의해서만 자신감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 자신감이 없는 아이를 어떻게 도와줄까?
부모나 교사가 아이의 긍정적 측면을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아이가 잘하는 것을 찾아보고 아이에게 가르쳐 준다.
아이가 잘할 수 있는 쉬운 일을 자주 하게 기회를 주어서 긍정적 경험을 자주 하게 만들어준다. 학습에 문제가 있는 고학년 아이에게 저학년 아이를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주어보는 것이 그 예가 된다.
아이가 잘하게 되면 그에 대한 보상을 해준다.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머리를 쓰다듬어주거나, 껴안아주거나, "참 잘했어"라는 말 한마디, 어른들의 밝은 미소, 이런 보상만으로도 아이들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데는 충분하다.
# 자신감 있는 아이로 자녀를 키우려면?
합리성과 자기통제 능력을 키워준다 : 스스로를 자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는 아이가 자신감이 있다. 규칙, 해서는 안 되는 한계 행동,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책임지는 능력을 배양시켜 주어야 한다. 지나치게 허용적 이거나 너무 엄격한 태도 모두 아이의 합리성과 자기 통제를 해친다. 부모의 현실적인 기대, 명확한 규칙, 이성적인 결과가 중요하되 따뜻함, 배려, 그리고 받아들여주는 태도를 같이 가져야 한다.
적성을 계발해주고, 즐거움을 가르친다.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부모가 잘 파악해서 아이가 스스로 자신을 계발해 나가도록 도와야 한다. 그리고 그 적성에 맞는 행동의 결과가 즐겁다는 것은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뜻한 태도로 받아들여준다 : 우리가 잘 아는 바대로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실패에 대해 부모가 침착하고 상냥하게 다독여주고 다음 기회를 기약하는 태도를 가진다면 아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신감이 생긴다.
책임감을 키워주고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을 시킨다
: 예를 들어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는 가족의 저녁식사를 위해 수저 젓가락 준비하기,
유치원 아이에게는 자신이 벗은 옷을 빨래통에 집어넣기 등을 통해서 가족 안에서 어떤 기여를 했다는 긍정적 경험을 하게 도와준다.
자신이 할 일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예를 든다면, 진료실에서 두려워하는 아이에게 눈을 먼저 검사할 것인지
.... 청진을 먼저 할 것인지를 자신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면, 아이 자신이
그 상황을 주도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게 되어 쉽게 검사를 할 수도 있다.
아이에게 자주 선택의 기회를 주어보자.
자주 격려하고 자신이 "특별한 아이"라는 느낌을 가지게 한다.
실패와 좌절을 다루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 실수를 하지 않을까, 그 결과 창피를 당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자존심을 해친다. 그러므로 아이가 실수를 하더라도 "누구 머리를 닮아서 그 따위냐?", "돌대가리 같은 ..." 식의 감정적인 말은 절대로 피한다. 부모 자신의 실패담... 그리고 그 실패를 어떻게 이겨냈는지를 말해주는 것은 좋은 태도다.
# 자신감이 없는 청소년을 위한 도움말
자신을 받아들이기 :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단점마저도 자신의 것임을 받아들인다. 모든 사람에게 약점은 있다.
스스로를 격려하기 :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자신에게 자주 말한다.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보다 구체적인 시간계획을 수립해서 하나하나씩 정복해나간다.
자신에게 칭찬하기 : 큰 것이든 작은 것이든 자신의 성취에 대해 스스로 자랑스러운 마음가짐을 가진다. 자신의 경험은 나만의 것이다. 남의 것이 결코 아니다. 스스로에게 선물을... 그리고 상을 주어라.
도움을 받기 : 책을 통해서, 주위의 친구나 친지에게서... 새로운 기술을 배운다. 도움 받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감추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혼자만의 시간 갖기 :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정리할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진다. 그리고 이 시간에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혼자서 즐겨본다.
자신에 대한 믿음 : 자신의 느낌이나 감정에 귀 기울인다. 자신이 옳다고 하는 것은 과감하게 실천한다. 즐거운 느낌, 충만감을 주는 행동을 스스로 선택해서 행동한다.
자신을 존중하기 : 남을 흉내 내지 말아라. 지금 현재의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자. 자신의 고유한 재능을 찾아보고 스스로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진다.
스스로를 사랑하기 : 자신의 실패를 용서하자. 실수에 대해 과잉반응을 하지 않고 실수를 통해 한수 배웠다는 자세를 가진다.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 남도 사랑할 수 있고, 매사에 자신감이 있다.
'건강테크 > 내적치유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인관계 (0) | 2009.04.12 |
---|---|
[스크랩] 자신감 없는 아이 上. (0) | 2009.04.12 |
[스크랩] 왜 내적치유를 해야만 하는가 (0) | 2009.04.12 |
[스크랩] 편집성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0) | 2009.04.12 |
[스크랩] 공황장애(Panic Disorder) (0) | 2009.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