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의 왕도를 아십니까? | |
‘책벌레’ 도서평론가 이권우씨의 인문학적 독서 제안 느리게·깊이 읽고 쓰고 토론하면 “당신도 호모 부커스” | |
![]() |
![]() |
<SCRIPT src="/section-homepage/news/06/news_font.js" type=text/javascript></SCRIPT>
이권우 지음/그린비·1만1900원
여기에, 마을이 하나 있습니다. 책 읽는 데는 도가 튼 ‘호모 부커스’들이 사는 마을이지요. ‘호모 부커스’들은 책을 읽어 마침내 참사람이 된 이들입니다. 이들은 정신적으로 성숙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도 갖추고 있지요. 공자처럼 책을 읽어서 마침내 ‘성인’이 된 사람들입니다. 마을에는 항상 책에 뿌리를 둔 다양한 아이디어와 문화 상품들이 넘쳐나 사람들을 즐겁게 합니다. 이곳에서 진보적인 삶, 곧 다양한 가치관을 지닌 개인이 더 많은 자유를 누리며 사는 삶은 책을 놓고 벌이는 토론에서부터 싹틉니다. ‘우리집 앞마당을 개발하네, 마네’를 놓고 말싸움하기보다는 책에서 끄집어낸 다양한 가치들에 대해 얘기를 나누며 타인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법을 먼저 배웁니다. 이들은 책을 읽으면서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상상력을 키운 사람들이기에, 나보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을 돕고 나와 완전히 다른 이들과도 한데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에게 혁명은 일상입니다. 책읽기는 기본적으로 새로운 것을 꿈꾸는 ‘혁명’이기에, 호모 부커스들은 한명 한명이 모두 혁명가입니다. 이들은 날마다 변신을 꿈꿉니다. “지배적인 것, 압도적인 것, 유일한 것, 의심받지 않는 것을 희롱하고, 조롱하고, 딴죽 걸고, 똥침 놓”을 줄 아는 이들입니다.
허무맹랑한 마을이라고요? 종종 ‘왜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구할 때는 그것을 했을 때 얻을 결실을 먼저 생각해 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 책읽기가 우리의 삶과 세계를 ‘이렇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얘기를 담은 <호모 부커스-책읽기의 달인>을 보니, 유토피아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상상만 해도 행복한 마을입니다. ‘호모 부커스’들이 득시글대는 유토피아를 만들려면, 사람들을 먼저 책으로 끌어와야 할 터. 그러려면, “뻥을 좀 쳐야 할 터.” 지은이가 조금 쳐놓은 뻥을 내친김에 더 부풀리면 이렇듯 행복한 유토피아가 그려지네요. 말하자면, <호모 부커스>는 ‘책벌레’로 소문난 도서평론가 이권우씨가 ‘책으로 만든 유토피아’에 이르는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 같은 책입니다.
그는 깊이 읽고, 겹쳐 읽으라고도 합니다. ‘독서의 후폭풍’을 즐기며 지은이가 쓴 책을 다 찾아내 읽거나, 매혹당한 주제를 다룬 다른 책들을 불러 모으는 게 ‘깊이 읽기’입니다. ‘겹쳐 읽기’는 책끼리 경쟁시키며 읽는 겁니다. 책이 지닌 한계를 깨닫게 해주고 책 너머에 있는 새로운 내용을 상상하게 해주는 방법이지요.
자신의 세계관과 감성을 옹호하고 보충하고 지지하는 ‘각주의 책읽기’와 ‘이크! 이것도 모르고 있었네’라는 생각을 하며 읽는 ‘이크의 책읽기’도 함께 병행해야 합니다. ‘각주의 책읽기’로 높이 쌓아 올린 자신만의 성채를 ‘이크의 책읽기’로 허물어야 더욱 넓고 단단한 세계를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지은이는 말합니다. 책 읽자는 운동은 지극히 정치적인 색깔을 띨 수밖에 없다고요. 여기서 ‘정치’는 정치적 이념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계층별 차이를 최소화하거나 철폐하자는 평등 운동의 성격을 띠는 말이라고, 그는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노숙인들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클레멘트 인문학 코스’ 프로그램이 세상을 바꾸는 전복적인 힘을 가질 수 있는 이유와도 비슷한 이치겠지요.
그는 주장합니다. 책 읽는 능력은 청소년 시절에 키워야 한다고요. 늦을수록 이미 벌어진 사회적 격차를 줄이기 힘들어지기도 하고, 빨리 익혀야, 사회가 급격하게 변해도 스스로 적응할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요. 그러려면, 어른들이 먼저 책을 읽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책읽기는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유산이라는 겁니다. 이렇게 세대에서 세대로 책읽기를 대물림하다 보면, ‘호모 부커스’들이 사는 마을을 만들 날이 언젠가는 오지 않을까요?
김일주 기자 pearl@hani.co.kr
|
'이야기테크 > 책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택근씨, 도법 스님 순례기 `사람의 길` 펴내…종단 현실도 성찰 (0) | 2009.04.14 |
---|---|
[스크랩] 2008 인드라망 추천 도서목록 (0) | 2009.04.14 |
[스크랩] 돈으로 산 권력이 정말 즐거울까 (부르지아의 지배) (0) | 2009.04.14 |
[스크랩] 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 / 이철 지음 / 다산초당 (0) | 2009.04.14 |
[스크랩] ‘모던보이’ 이봉창은 왜 폭탄을 던졌나 (0) | 2009.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