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가족상담 4.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25. 19:34
목회상담에서 가족상담1 -

가족건강을 촉진하기

 

가족들은 관계의 문제들이 생겼기 때문만이 아니라

튼튼한 가족들의 적극적인 특성들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가족상담을 받으려고 한다.

 

본장에서 검토한 연구조사의 발견들은 건강하고 적응력이 있는 가족기능의 모델을 제공한다.

반대로 2장은 가족상담자가 검토해야할 공통적인 가족문제들의 개요를 소개했다.

상담자는 일반적으로 가족들이 갖고 있는 장점들과 약점들을 점검해야 한다.

더 적응력있는 가족이 되기 위하여는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확인하고

그 장점에 근거하여 약점들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가족상담자가 해야할 일이다.

이러한 방법은 과거에 가족의 문제들에만 초점을 맞추던 가족상담보다

더 나은 전략이다.

과거의 방법은 잘못된 점을 지적하므로 테니스를 가르치려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이다.

스티네트가 지적한 대로, 당신이 어떻게 테니스를 칠 것인지 배우고자 한다면,

코우치가 당신에게 이런 식으로 가르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래 이것은 테니스 못 치는 사람들이 라켓 쥐는 법이야.

이것이 볼이 날아올 때 그들이 움직이는 방법이야.

이런 것은 테니스 못 치는 사람들의 방법이지.”

 

당신이 테니스를 잘 치기 위하여 코우치에게 배워야 할 것은

성공적인 테니스 선수가 어떻게 라켓을 잡는지,

성공적인 선수가 바르게 하는 모델이 무엇인지 등 적극적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족들을 돕기 위하여 상담자는

건전하고 적응력있는 가족기능의 모델을 보여주고

이것을 상담받으러 온 가족의 문제와 비교해주는 것이다.

 

가족상담자가 취하여야할 가장 건설적인 접근은 위에서 제시한

연구조사에 근거한 가족건강의 모델을 상담의 목표와 방법에 활용하는 것이다.

3장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가족상담과정에서 목표들을 상호협의하는 것은

가족상담의 초기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가족상담자는 문제가족이 갖지 못한 가족장점들이 무엇임을 확인할 수 있게 가족을 도우며,

가족건강을 촉진시키는 특성들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담해야 한다.

다행히 가족은 단순히 스트레스를 주는 가족문제를 제거하는

일시적 전략에 만족하지 않고 튼튼한 가족의 특성들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을 것이다.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