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테크/부동산정보

[스크랩] 10년 후 한국 부동산 트랜드 분석 - 8.선거와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6. 23. 22:01

[8].선거와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과거 시행한 부동산역사(수요 & 공급, 세금, 금리, 부동산 정책)에 의해 결정됨.

◆.07년 4월 기준 :

-.공급량 ↑, 분양가격 ↓, 금리 & 새금 ↑, 부동산 정책 강화

-.청약가점제 공공-민영 도입 (가수요 즉 투기수요 1차적 차단)

-.분양권 전매 및 당첨 금지기간 강화 : (투기 수요 2차 차단)

-.자금출처 및 거주여부 파악 : 증여.상속세 강화

-.대출억제 및 개인별 1채이상 만기시 상환 (단기적 차단)

◇대선-집값 상관관계 : 적음

대선

당선

후보

주요 내용

선거전후 동향

11개월전

1년후

선거 동향

(종합)

선거 자체 변수보다는 입주량, 금리, 그리고 정부 정책 등이 더 큰 변수로 작용한다.

3↑1↓

2↑2↓

1

13대 대선

(`87년 12월)

노태우

후보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그해 1월부터 선거 전 달까지 11개월간 : 전국 아파트값은 9%↑

-.선거 이후 1년 동안: 2배가 넘는 20%↑

◆부동산 동향

선거 직전 유가, 금리, 환율 등 '3저(低)'호황에 따른 통화 팽창으로 집값이 크게 올랐고, 이후에도 88년 올림픽 개최 특수상승폭이 더 커진 것.

◆대선 후보로 나선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은 집값이 크게 오르자 '반값 아파트'를 공약으로 내세우는 등 부동산 정책대결도 뜨거웠다.

9%↑

20%↑

2

14대 대선

(`92년 12월)

김영삼

후보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그해 선거 전 달까지 11개월간 : 전국 아파트값이 4.2% ↓

-.이후 1년 역시 2.8% ↓ : 하락세를 이어가 '선거 특수' 없음.

◆부동산 동향

당시 '주택 200만호 공급' 계획에 따라 1기 신도시 분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집값이 약세를 보인 것이다.

4.2%↓

2.8%↓

3

15대 대선

(`97년 12월)

김대중

후보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선거 직전 11개월간 : 5.3%↑

-.1997년 말 외환위기가 터지며 이후 1년간 : 13.6%↓.

◆부동산 규제 완화 공약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양도세 등 주택 거래세 인하, 서민주택 공급 확충

고금리 속에서 집값 하락은 불가피했던 셈.

5.3%↑

13.6%↓

4

16대 대선

(`02년 12월)

노무현

후보

◆부동산 가격 동향 분석

-.선거 직전 11개월간 : 22.3%↑ (폭등) -.이후 1년간 : 9.6% ↑

◆부동산 공약

행정수도이전 공약이 선거 1-2개월 전에 발표된 것임을 감안할 때

98-99년 외환위기 당시 주택공급 감소로 입주량이 부족하고,

사상 초유의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주택에 대한 투자수요가 증가한 때문. 부동산가격 이후 폭등세 (공급보다 가수요 차단정책으로)

22.3↑

9.6%↑

자료:국민은행의 주택가격 시계열 통계를 이용해 과거 13-16대 대선과 집값 변동 분석(12일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출처 : oneroom-i-love
글쓴이 : pillsong-ko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