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남동쪽 해안에서 남동쪽으로 약 19.7㎞ 지점에 있다. 주위에는 장도·지초도·항도 등의 부속섬과 대모도·소모도·여서도 등이 있다. 산과 물이 모두 푸르다 하여 청산도라고 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서남해안 바닷길의 요충지로, 임진왜란 당시에는 이 일대가 전란에 휩싸여 거주하는 사람이 없다가 효종 때 다시 입도(入島)했다. 1866년(고종 3) 당락리에 청산포진이 설치되었고 1895년 진이 폐지되고, 1896년 완도군이 신설되면서 이에 속하게 되었다.
최고봉인 매봉산(385m) 이외에 대봉산(379m)·보적산(330m) 등 300m 내외의 산이 사방에 솟아 있다. 이들 산지에서 발원해 사방으로 흐르는 소하천 연안을 따라 좁은 평야가 발달했으며, 중앙부와 서부 일부지역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동쪽 해안 만입부에 간석지가 있을 뿐 대부분 암석해안을 이루며 해안선이 복잡하다. 특히 남부 해안에 해식애의 발달이 탁월하다. 기후는 비교적 온화하고 비가 많다. 주민은 농업과 어업을 겸하나 농업에 더 많이 종사한다. 농산물로 쌀·보리·참깨·콩·마늘·고구마·감자 등이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삼치·갈치·고등어·멸치·문어 등이 잡히며, 김·미역·다시마·톳 등이 양식된다. 취락은 중앙부와 서부 평야지대에 주로 분포하는데, 중심지는 서부의 도청리이며 이곳에 도청항이 있다. 청산도-완도 간 정기여객선이 운항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어 자연경관이 수려한 관광명소로 꼽힌다. 유적으로는 당락리에 1800년대에 축조한 당리성터와 당리마을 사당이 남아 있으며, 사당에서는 매년 음력 1월 3일에 당제를 올린다. 그밖에 읍리에 읍리성터와 남방식 고인돌, 부흥리에 백련암이 있다. 면적 33.28㎢, 해안선 길이 42.0㎞, 인구 2,892, 가구 1,374(2004).
완도항을 뒤로하면서
섬위의 해와 바다의 노을을 바라보면서
이제 청산도 항구입니다
표지석이 너무 다듬어진게 약간은 거부감을 느끼지만 ................
이렇게 지도가있네요
서편제와 봄의 왈츠 가는 길목있는 소나무 숲이죠
밑에 지석묘에 대하여..........
중간 오른쪽에있는게 하마비입니다
이배가 여서도 가는 배인데 전 가보질 못했네요 바람이 세게 불어서 배가 결항이라 하네요
다음 기회에 다시 와야겠죠
이곳에도 돌담들이 제법있답니다
요즈음이 마늘 수확철이라서 이렇게 한가한 도로에는 ㅁ바늘을 수확후 야간 말리네요
출처 : 오지여행
글쓴이 : 카알 원글보기
메모 :
'사람테크 > 파랑새의원( 제주도)과 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만재도-2--------전라도 (0) | 2010.01.21 |
---|---|
[스크랩] 만재도 -4-전라도 (0) | 2010.01.21 |
[스크랩] 청산도의 소나무들-3---전라도 (0) | 2010.01.21 |
[스크랩] 청산도의 해변들(장기미)-4-전라도 (0) | 2010.01.21 |
[스크랩] 청산도6 (0) | 2010.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