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원생활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
- 주어진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경제적이지요.
- 농사도 과학적 합리성과 기술을 요하므로 공부를 해야
되는데
- 그러려니 무언가 체계를 세우면 보다 간편하게 기억하고
정리하기 쉽습니다.
-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하얀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듯이 이쁘게
관리하면 보기도 좋습니다.
-
- 농사짓기 편하고 보기 좋은 전원을 만들면 애착이 생기고
재미가 붙습니다.
- 나도 수월하게 귀촌에 정착하고 이를 보는 타인들도 흥미를
가지고 귀촌에 용기를 얻을 것입니다.
-
- 아래 자료는 아주 유치한 체계로 뼈대만
소개했습니다.
- 다른 카페에 한 번 올렸더니 비교적 구경거리가 되기에 우리
카페에도 올려봅니다.(註)
-
-
-
-
- 전원생활을 하게 되면 으례히 농사나 정원을 배제할 수 없다.
- 결국
밭이나 정원을 관리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
-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경영과는 다르지만
- 경우에 따라서는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 단순한 먹거리 생산에 머물지 않는다.
- 따라서 농업경영인이라는 말이 그리 어색치 않게 들린다.
-
- 그리고 비록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더라도
- 주어진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
- 나는
관리 대상을 4개 군(群)으로 나눠
- 가급적이면 종합적이고 유기적인 체계를 갖추려고 한다.
- 그리고 스스로 4군 총사령관이라고 칭한다.
-
- 1군은 초(草)군이다.
- 그리고 초군내에는 (1) 일반 작물군
- (2) 약초군
- (3) 화초군
- (4)잡초군으로 세분하였다.
-
- 2군은 목(木)군이다.
- 그리고 목군내에는 (1) 유실수군
- (2) 조경수군이 있다.
-
- 3군은 석(石)군이다.
- 그리고 석군내에는 (1) 조경석군
- (2) 잡석군으로 나눈다.
-
- 4군은 동물군이다.
- 그리고 동물군은 (1) 짐승군
- 1) 가축군
- 2) 야생동물군
-
- (2) 곤충군
- 1) 익충군
- 2) 해충군 등으로 구별해본
것이다.
-
- 우선
초군을 보자.
- 일반
작물이나 약초, 화초 중에서 내가 꼭 재배해야 할 것들을 선택하는 일이다.
- 내
농지의 특성에 맞는 작부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다.
- 무엇을 어디에 심을 것이며 작물끼리의 상호작용은 무엇인지를 염두에 둬야 한다.
- 때로는 화초도 일반 농작물이나 약초 근처에 심을 필요도 발생한다.
- 화초라고 꼭 정원이나 꽃밭에 있어야 하는 법은 없다.
-
- 잡초라고 늘 제거 대상은 아니다.
- 어느
곳에는 임의로 잡초를 키우기도 한다.
-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의 논이나 밭은 관행농이기 때문에 제초제나 농약을 살포한다.
- 따라서 경계지에 있는 배수로나 둑에는 잡초를 놔두어 방풍림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
- 목군
관리 역시 유실수와 조경수를 나누어 나름의 특성을 살린다.
- 그러나 유실수라도 관상수 처럼 그 위치와 배열을 보기 좋게 할 필요가 있다.
- 울안의 가로수로 앵두 나무와 은행, 감나무, 사과나무 등을 곳에 따라 적절히 배열한다.
-
- 석군도 아주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 잡석이라고 버릴게 없다.
- 밭에서 걷어 낸 돌들을 모아 보기 좋게 쌓으면 조경석이 되기 때문이다.
- 기왕이면 돌화분이나 돌 상들을 만들면 실용적이다.
- 돌
상은 밭일을 할 때 물병이나 농기구 등을 적당히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하다.
-
- 동물군은 물론 가축 뿐이 아니다.
- 농작물을 해치는 야생동물들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중요한 농사 관리이다.
- 멧돼지가 습격할 시기가 가까우면 미리 군청에 연락하여 엽사를 지원받아
- 멧돼지 사냥을 하게 되면 익어가는 옥수수와 고구마를 제대로 수확할 수 있다.
- 아직
닭이나 토종벌을 키우지 않고 있지만
- 때가
되면 적지 않은 관리 부담이 따를 것이다.
- 곤충도 익충과 해충에 대한 종합관리가 있어야 한다.
- 부비트랩도 만들고 먹이사슬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
- 이
모든 대상도 서로 관련지어 살펴야 한다.
- 토종벌통 하나도 아무렇게나 세우지 않는다.
- 토종벌의 특성을 우선 고려하지만 조경도 생각하는 것이다.
- 화초도 기왕이면 밀원효과가 큰 것을 선택한다.
-
- 전원은 전원다워야 맛이 난다.
- 너무
인공적인 것도 식상하기 쉽다.
- 나무와 돌, 농작물과 화초가 가축과 더불어 조화로운 모습을 보일 때
- 전원생활하는 우리 인간도 그 자연의 한 부분이 되어 아름답지 않을까 싶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