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당대출담보부증권이라고도하고 주택저당채권이라고도하는 MBS는 채권을 발행할 때 모기지를 담보를 하여 원리금상환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권은 담보의 종류에 따라 ①발행기관의 순수한 신용에 의한 경우(일반채권). ②금융기관의 지급보증을 담보로 하여 발행하는 경우(보증부 채권). ③자산을 담보로 하여 발행하는 경우(ABS)가 있는데 MBS는 ABS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ABS중에서 담보력이 가장 확실한 것이 저당대출이며 따라서 가장 활성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물론 금융기관에서는 국제기준인 BIS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
즉 일반시중은행이 부동산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할 경우 은행은 이 자금을 대출자로부터 돌려 받기 전까지는 이 자금을 다른 용도로 쓸 수 없다. 그러나 이 은행이 부동산을 담보로 한 사실을 다시 담보로 하여 자금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제도가 바로 MBS이다. 예를 들어 A란 사람이 은행에 자기가 사려고 하는 집을 담보로 20년 상환으로 1억원을 빌리면 은행은 정부가 보증하는 기관(유동화 중개기관)을 통해 이 1억원을 잘게 쪼개 증권으로 발행 하여 투자자들의 투자상품으로 내놓는 것이다. 은행은 돈이 묶이지 않아 다시 대출을 해 줄 수 있는 여력이 생기며, 투자자들은 이 증권으로 수익을 올리려 할 것이다.
2. 등장배경 및 현황
미국의 경우 1930년대에 일반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도입되어 주요한 주택금융제도로 정착되었다.
우리 나라는 1998년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1999년 '주택저당채권 유동화회사법'의 제정을 통해 공공적 성격의 유동화 중개기관인 한국주택저당채권유동화㈜ (KOMOCO)가 설립됨으로써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KOMOCO는 자본시장의 여유자금이 주택금융시장으로 유입되도록 은행과 같은 대출금융회사와 MBS 투자자 사이에서 중개역할을 하고 있다.
3. 주택저당채권 발행효과
투자자 측면
안정적 수익을 주는 투자상품 : 높은 신용도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가진 MBS를 기초로 발행
다양한 투자상품 : 투자자의 투자요건에 적합한 다양한 만기와 금리구조를 가진 투자상품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