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근대적 도시기능에 부응하기 위한 계획 신도시의 개념은 산업혁명과 더불어 노정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된 영국의 '새로운 지역공동체(new community)' 건설로부터 비롯 하워드(Ebernezer Howard)의 전원도시론(1898)은 현대적 신도시의 개념을 정립하는 전환점 - 본격적인 신도시 개발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전후 복구사업의 일환으로 범세계적으로 이루어짐 세계 여러 나라의 개발 여건 - 목적이 각국마다 다양하게 됨으로써 한마디로 신도시 개념을 확정 짓기는 어려운 실정 |
|
|
|
|
|
1. 우리나라 신도시의 특성 |
|
|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가 본격화된 것은 ‘60년대 이후.우리나라 신도시는 대체도 두 가지 정책목표에 의해 추진 - 국토 및 지역개발 목적의 신도시 - 대도시 문제해결 목적의 신도시 |
|
|
2. 우리나라의 신도시 건설약사 |
|
|
해방이후 ‘50년대 |
|
|
- 전후복구 시기로서 비계획적 시가지 확장형태의 도시개발 -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환지방식 사업 위주 |
|
|
‘60년대 |
|
|
- 공업화 및 경제개발정책의 본격가동과 더불어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 최초 건설 -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 신도시는 울산신시가지(인구 15만) * 개발사례 : 광주대단지(성남), 영동지구 및 여의도 등 |
|
|
‘70년대 |
|
|
- 화학공업 육성정책에 따라 임해지역에 산업기지도시 건설 - 신공업도시인 창원(인구 30만) 계획때 신도시라는 용어 사용 * 개발사례 : 대덕연구학원도시, 창원과 여천 공업도시, 구미공단 배후도시, 서울강남 신시 가지, 과천과 반월 등 |
|
|
‘80년대 |
|
|
- 목동과 상계동에 주택중심의 도시내신도시(Newtown in town) 건설 - 주택 200만호 건설의 일환으로 수도권 5개 신도시 <제1기> - 대전둔산 및 계룡지구 등 일부 행정기능 이전을 위한 신도시건설 - 신도시 개발수법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공영개발이 주로 활용됨 |
|
|
‘90년대 |
|
|
- 대규모 신도시 일시개발에 대한 비판에 따라 소규모 분산적 택지개발과 준농림지 개발 허용으로 정책방향 선회 - 무임승차(Free-riding)에 의한 기반시설 부족 등 심각한 난개발 초래 |
|
|
‘2000년대 |
|
|
- 과거 신도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전환 및 소규모 분산적 개발을 대체하는 ‘계획도시’ 개념 의 신도시 건설 * 개발사례 : 화성동탄, 성남판교, 김포양촌, 파주운정 등 수도권 4개 신도시 <제2기> - 지방 신도시 건설 추진 * 개발사례 : 남악(276만평), 대구달성(170만평), 부산(약400만평), 광주수완(142만평), 대전서남부(132만평), 천안(316만평), 전주서부(87만평) 등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