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이익률
기업의 경쟁력을 알아보는 지표중 하나이고 기업이 어느 정도의 돈을 투자하여 얼마 만큼의 이익을 올리는지 알아보는 지표이다. ROI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관리적 목적에서의 재무계획 또는 통제기능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ROI는 수익의 창출원천인 투자액을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으로 조달한 전체자산으로 정의하는데 반해 수익을 이자비용이 이미 차감된 당기순이익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자산에 대한 수익률이 부채비율에 따라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투자 대비 이익율(ROI) = 당기순이익/총자본x100
총자본은 채권자의 부채를뺀 주주들의 몫을 이야기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당기순이익/총자산x100
(자산 = 자본 + 부채)
자산은 자본(주주들의 몫)과 부채(채권자의 몫)을 합한 개념
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이다.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경영자 입장에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낸다.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특정 금융기관이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금융기관이 보유자산을 대출, 유가증권 등에 운용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순익을 창출했는지를 가리킨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율
투자수익률을 측정하는 성과지표 중 한가지로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우리말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한다.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I나 ROA에 비해서 주주중심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OE는 자기자본의 크기와 당기순이익을 비교하기 때문에 자기자본에 정확히 대응하는 수익률을 측정할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평균 자기자본 ×100
위 공식에 의해 ROE 가 산출되며,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
따라서 ROE 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투자자의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
주주(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ROE가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기업투자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ROE가 시중금리를 밑돌경우 투자자금을 은행에 예금하는 것이 더 낫기 때문이다.
'명호테크 > 경영지도사,기술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등업을 위하여)워렌버핏의 9가지 충고 (0) | 2008.09.07 |
---|---|
[스크랩] (등업을 위하여)말잘하는 CEO들이 전하는 스피치10계명 (0) | 2008.09.07 |
[스크랩] [등업]한비자에서 찾아낸 성공 리더의 7가지 조건 (0) | 2008.09.07 |
[스크랩] [등업]재(才)보다 중요한 덕(德) (0) | 2008.09.07 |
[스크랩] [등업]창의성을 꽃피우는 상사 (0) | 200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