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조란 장구반주에 맞추어 다른 악기를 독주형태로 연주하는 것을 말하며, 4∼6개의 악장을 구분하여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 순서로 연주한다. 대금산조는 대금으로 연주하는 산조를 일컫는다.
산조연주에 쓰이는 대금은 시나위나 남도무악 등 다양한 가락을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음의 변화가 없어 합주에 사용되고 있는 정악대금과는 크기, 잡는 방법, 음높이가 다르다. 대금산조는 20세기 초 박종기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하며, 음악적 특징으로는 가락에 리듬과 장단을 더하기 위한 장식법(바로붙임, 엇붙임, 완자걸이, 잉어걸이), 농음(꺾고, 평으로 내고, 흘러내리고, 밀어 올리고, 질러내고 하는 표현법), 틀(형식), 즉흥성을 들 수 있다.
대금산조는 오랜 세월동안 독특함을 간직한 채 전승되어 왔으며, 더욱 듣기 좋게 편곡되어 기교어린 연주 속에 긴장과 흥겨움을 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 본문설명
산조란 장구반주에 맞추어 다른 악기를 독주형태로 연주하는 것을 말하며, 4∼6개의 악장을 구분하여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 순서로 연주한다. 대금산조는 대금으로 연주하는 산조를 일컫는다.
산조연주에 쓰이는 대금은 시나위나 남도무악 등 다양한 가락을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음의 변화가 없어 합주에 사용되고 있는 정악대금과는 크기, 잡는 방법, 음높이가 다르다. 대금산조는 20세기 초 박종기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하며, 음악적 특징으로는 가락에 리듬과 장단을 더하기 위한 장식법(바로붙임, 엇붙임, 완자걸이, 잉어걸이), 농음(꺾고, 평으로 내고, 흘러내리고, 밀어 올리고, 질러내고 하는 표현법), 틀(형식), 즉흥성을 들 수 있다.
대금산조는 오랜 세월동안 독특함을 간직한 채 전승되어 왔으며, 더욱 듣기 좋게 편곡되어 기교어린 연주 속에 긴장과 흥겨움을 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 보충설명
대금산조는 산조대금으로 연주하는 산조음악을 말하며 가야금에 풍류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의 두가지가 있듯이 대금에도 정악을 연주할 수 있는 정악대금과 시나위나 남도 무악에 주로 쓰이는 산조대금의 두 가지가 있다.
산조대금은 원래 정악에 쓰이는 대금과 크기와 지법면에서 다르다. 즉, 산조대금은 다양한 가락의 운지(運指)에 편하도록 짧게 만들고 취구(吹口)가 커서 요성(搖聲)의 폭을 넓게 한다. 정악에서는 합주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음의 변화가 많지 않으나 독주를 위주로 하는 민속악의 산조나 시나위는 연주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개 정악대금보다 단3도 정도 높은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
산조란 민속음악의 하나로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과 선율을 속도가 느린 장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빠른 장단 순으로 대개 3부분의 특징적인 악장으로 구성되는 기악독주음악 중의 하나이다. 산조는 처음에는 악보 없이 연주자의 마음 내키는 대로 즉흥적인 기교로 멋을 부려 연주했던 까닭에 '허튼가락'이라고도 일컬었으나 지금은 점차 정리되어 악보화되고 있다. 산조의 성립시기의 정확한 연대는 불명확 하나 대략 백년 전후 김창조(金昌祖; 1860~1918)에 의하여 가야금의 독주곡이 장구반주에 얹어져 처음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어서 백낙준(白樂俊; 1896~1926)의 거문고 산조가 나오고 뒤이어 대금, 퉁소, 단소, 피리, 아쟁 등 각 악기의 산조가락이 각각 특색을 갖고 만들어져 연주되기 시작했다.
대금산조는 20세기 초에 박종기(朴鍾基)에 의하여 처음 만들어졌다고 하며 그의 가락은 한주환(韓周煥)이 이어받았다. 그 후 한범수(韓範洙)를 거쳐 이생강, 서용석등에 전하여 각기 독특한 유파를 형성하고 있다.
대금산조의 음악적 특징은 음의 장식법, 농음(弄音; 꺾고, 평으로 내고, 질러 내고, 흘러내리고, 밀어 올리고 하는 표현법), 틀(형식), 즉흥성을 들 수 있다. 산조의 장단은 대개 진양, 중몰이, 자진몰이가 큰 기둥이 되며 중몰이와 자진몰이 사이에 중중몰이가 낀다. 장단은 리듬과 한배를 가지며 악장(부분)의 이름이 되기도 한다. 가락의 붙임새에는 바로붙임, 엇붙임, 완자걸이, 잉어걸이 등이 있으나 이러한 용어는 가락 즉 장식적 방법을 형용한 용어이다. 민속기악의 산조에서 음악적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긴장과 이완의 대비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관련 자료
<출처;paran 백야>
이생강 대금 연주곡모음 / 국악과 째즈의 만남
이생강 대금 연주곡모음 / 국악과 째즈의 만남
앨범 : 희망가
발매연도 : 1998.12
대금 : 이생강 - 피아노,편곡: 신관웅
드럼: 김희현 - 베이스: 장응규
이 음반은 일종의 퓨전앨범...크로스 앨범입니다....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세개의 요소...뽕짝..대금..그리고 재즈가 모여 기막힌 하모니를 이루어내는군요...
이생강님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사람이고... 신관웅씨를 빼 놓으면 우리나라 재즈계 애기를 할 수 없는 재즈계의 대부죠
선곡 자체는 '목포의 눈물'을 비롯하여 상당히 대중적인 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마 이 부분이 대금과 재즈라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시키는 크로스라는 장르를 편히 대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아닐까 합니다.
또 한가지 이생강님은... 이런 작업을 계속 해 왔기때문에 이 앨범에서 전혀 어색함이나 서투름없이 원숙한 연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악과 재즈..트로트와의 첫 만남.... 국악을 비롯한 세 음악장르의 만남...이런 시도는 본 음반이 최초다. 그간 흘러간 가요를 양악기 트로트반주에 반춰 대금으로 연주한다든지, 국악이나 트로트를 재즈로 연주한 경우는 빈번했다.
그러나 이번 음반처럼 국악과 재즈..트로트가 한꺼번에 만나는 일은 전무했다. 그래서 이번 작업은 1960년대 후반 이동기 악단이 한국민요와 트로트를 재즈화한 것이나 1980년대 중반 박성연과 재즈 앳 더 야누스가... 한국민요를 재즈로 연주했던 단계에서 벗어나 이 음반에서 그 모두를 어우러서 색다른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본 작품집은 높이 평가된다 하겠다..
그 배결 중 하나로는 우선 신광웅의 뛰어난 편곡을 꼽을 수 있는데 국악, 재즈, 트로트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각각의 개성을 모두 살리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은 그저 경이로움 따름이다.
그리고 이생강과 슈퍼트리오 개개인의 우수한 연주력 또한 이 작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데 있어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작용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한국적인 재즈를 추구하고자 결성된 슈퍼트리오의 탄생 취지와 그같은 작업을 위해 다년간 노력해 온 이들의 국악에 대한 깊은 탐구와 이해도 큰 몫을 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생강 또한 두말할 나위없이 이와 유사한 작업들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해 온 결실이 바로 이 음반 곳곳에 녹아들었다 할 것이다.
실로 놀랍고도 빛나는 이 음악작업을 위해 적지 않은 시간 동안 함께 애쓴 이 거장들에게 박수를 보내며 이 작품집은 20세기 후반 한국 음악의 한 장을 새롭게 연 의미있는 기록물로서 두고두고 기억될 것이라 확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