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 주 기 물주기는 단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우나 분토의 질, 양, 알맹이의 크기, 분의 질, 분의크기, 분수의 상태분이 있는 장소(일조, 통풍), 공중습도의 상태에 따라 관수의 양은 달라진다.
월 동(겨울관리) 대부분의 분재수종은 온대성식물로서 야생수는 노지에서 월동이 되지만 분재로 가꾸어지면 뿌리와 가지가 가늘고 약해져서 내한성이 약하므로 겨울에는 보호실(가온하지 않으며 햇빛이 잘드는 장소)에서 관리해야 한다. 분 갈 이 분갈이는 뿌리가 너무 많이 말라죽거나 서로 엉키고 흙이 산성으로 굳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뿌리의 생성을 도와 활력을 주기위한 방법이다. 분 갈 이 횟 수
분갈이 시기 3월 : 매화, 모과, 산사(잎이 일찍 나오는 수종) 4월 : 대부분의 수종 5월 : 석류, 치자, 동백(잎이 늦게 나오는 수종) 6월 : 철쭉(꽃이 지고난 후) 9월 : 명자나무, 장수매등 분갈이 후의관리 요령 뿌리가 적거나, 적기를 벗어나 분갈이 한 것은 바람이 없는 그늘진 곳에서 관리하고 엽수를 자주준다 시 비 시비는 깻묵거름 등 시중에 나오는 것을 주되 분갈이 한 것은 15 ~ 30일 이내에는 주지 않는다 배 양 장 소 분재로 가꾸어진 수종들은 햇빛이 충분하고 통풍이 잘되는 자연환경에서 가꾸어지는 것이 최적이며 실내나 온실에서 관리하는 것은 좋지 않다 |
병해와 병충등에 관하여
병 명 | 증 상 및 피 해 | 방 제 법 |
적 성 병 | 잎에
벌어지는 시기에 잎에 적갈색 반점이 생기며 그 주위에 모든 잎에 생성 |
디프 테렉스를
광범위하게 살포 |
살 균 제 | 보르드 석회 유항 합제 : 살균, 살충, 예방소독에 사용 우스플룬 : 씨나 구근등을 소독 살균 할때 |
|
백 분 병 | 잎 전체에
흰가루 같은 병반이 생김 (봄에서 여름에 걸쳐 수회 발생) |
다이젠이나
카라센을 골고루 살포 |
(모 충 류) 잎말이 벌레 흰불나방 송 충 |
잎이 갉아
먹는 큰 피해 새잎이 나올때 쯤 하여 잎을 2 ~ 3장을 실로 감아 그 속에서 잎을 안쪽부터 갉아 먹는다.(봄 ~ 가을) |
이상의
모충류에는 스미치온 레나뽕,디프테렉스 등을 2 ~ 3 회 연속 빠짐없이 살포 |
개 각 류 충 | 증상은
수목과 잎이 말라죽으며 그을음 병을 일으켜 미관을 손상(봄 ~ 가을) |
겨
울(기계유유제) 봄 - 가을(다이아지논) |
응 애 류 | 잎과
뿌리에 발생 미소한 점같은 벌레로서 잎 빛갈이 나빠지며 허옇게 말라죽는다 |
마라손, 스미치온, 유산 니코틴 |
바이러스병 | 잎.
줄기에 발생하며 괴저가 생기며 전염성이 강하다. (충매전용 살충제) |
일본
뇌염, 유행성, 출혈 모기번식 |
그 을 음 | 그을음은
마른것처럼 흑색이 된다. 잎과 가지의 표면에 발생 진딧물과 개각충의 분비물에 곰팡이에 발생. 성장부진(소나무, 식나무, 동맥, 왜철쭉 상수리나무, 발나무낙옆, 침엽, 활엽에 발생) |
진딧물과
개각류에 살충제를 구석구석 뿌려서 구제 |
선 충 병 | 대개 잎의 기공에서 침입하여 수목의 뿌리를 저해함 | 토양을 클로르프크린으로 소독 |
입 고 병 | 수목의
묘가 말라죽는 것으로써 주로 고온기에 발생 하기 쉬우며 뿌리 혹은 줄기가 썩어서 말라죽음 |
유기 수은제로 토양 소독 |
백 조 병 반 점 병 |
잎의
양면에 발생, 회백색 내지는 황갈색의 둥근 반점으로 방사상으로 퍼짐 |
보르드 액을 뿌려줌 |
흑 반 점 | 잎에 흑색 반점이 생김 | 다이센 살포 |
고 약 병 | 가지나
줄기에 고약을 바른것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병으로서 활엽수에 많이 발생(회색 고약병) (갈색 고약병) |
쇼두발이나 수화 유항을 뿌림 |
출처 : 흙에서흙으로
글쓴이 : 흙으로 원글보기
메모 :
'코리아테크 > 수석과 분재,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품분재의 실폐원인 (0) | 2008.10.03 |
---|---|
[스크랩] 육송분재 만들기 (0) | 2008.10.03 |
[스크랩] 분갈이 수형만들기 (0) | 2008.10.03 |
[스크랩] 모과나무 분재 만들기 (0) | 2008.10.03 |
[스크랩] 취목의 효과 (0) | 200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