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테크/Stock

[스크랩] 10월 주식시장 전망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10. 4. 21:46

10월 주식시장 전망

 

 

힘겨웠던 9월 국내증시
 
지난 9월 첫날 국내증시는 KOSPI지수가 종가기준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8월 중순 이후 계속된 '9월 금융위기설'의 정점에서 출발하였음
 
미국에서도 9월 한 달 동안 양대 모기지업체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리먼브러더스 파산 신청 및 메릴린치의 BOA 피인수, AIG 구제금융,
그리고 구제금융법안까지 한 세기에 나올까 말까 한 일련의 사태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왔음
 
이번 주에는 美 7,000억달러 구제금융법안 통과 이후 글로벌 증시의 방향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의 공적자금 투입과 주요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여 국내증시의 주가수준은
한 단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지난 9월과 비교하여 변하지 않은 것은 다음과 같음
 
 
글로벌 경기침체: 일본과 유럽의 2분기 GDP가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는 등 미국발 금융위기가 실물부문으로 전이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신흥국가 수요둔화로 수출증가율의 급감이 우려되고 있음
기업이익 둔화: '08년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IT업종의 경우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37.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지난 9월과 비교하여 변한 것은 다음과 같음
 
 
미국의 금융시장 공적자금 투입: 금융기관의 연쇄 부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FRB는 공적자금 투입이라는 최후의 카드를 제시하였음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물가상승)에서 경기침체로의 변화: 국제유가(WTI)는
고점대비 26%나 급락했고 주요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정점을 형성한 후
하락하는 등 물가상승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
세가지 테마에 대한 투자전략
 
국내기업들의 이익성장률이 0이라고 가정할 때, KOSPI지수의 적정수준은
1,540pt라고 판단됨
또한 국내증시를 둘러싼 실질적인 환경이 개선된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공적자금 투입으로 인해 투자심리가 개선됨에 따라 단기 안도랠리가 예상되며,
목표치는 1,550~1,600pt로 전망됨
 
따라서 공격적인 매수전략 보다는 다음의 세 가지 투자 테마에 의거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금융위기가 진정될 때까지 방어주(SK텔레콤, S-oil, KT&G)에 투자하는 전략
외국인의 숏커버링으로 수급개선이 기대되는 종목(LG전자, 신세계, 삼성화재)에
대한 단기매매 전략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구조조정의 최후 승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반도체주(삼성전자) 및 자동차주(현대차)에 대한 분할 매수 전략
 
※ 숏커버링: 빌린 주식을 되갚기 위해 해당 종목을 재매수하는 것

 

10월 증시전망: 안도랠리와 마찰적 요인
안도랠리를 준비하자!
 
10월 주식시장은 미국의 구제금융 법안 통과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마찰과
월 중반, 투자은행의 실적발표 등으로 변동성이 커지는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나, 과거 경험적으로 구제금융 프로그램이 가동되는 초기에
안도랠리를 보이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이번 달 주식시장도
전반적으로는 안도랠리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시장의 변동성에 노출된다면 우선은 저가분할 매수를 통해
안도랠리를 준비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됨
 
하지만 한국과 미국 기업이익 모두 3개월 전의 전망에 비해 상당폭 하향조정된 점과
메릴린치, 씨티그룹, JP모건, 등 美 투자은행들의 실적 발표는
안도랠리의 저항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결국 3분기 실적발표, 공매도제도 개선, 가격매력, 장기적 관점에서의 포석전략 등이
고려할만한 요인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의료, 소재, 통신서비스, 비경기소비재 업종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약세장(Bear Market)에서도 반등(Rally)은 있다
당장은 반등을 즐길 필요가 있다
 
지금은 금융 시스템의 붕괴로 인한 추가 급락이냐, 위기의 완화에 따른 급반등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시기임
 
시스템 붕괴에 무게 중심을 싣는다면 한국 증시의 저점은 1,300~1,400pt 보다
훨씬 낮춰질 것임
 
하지만 지금은 중앙은행과 정부의 개입과 이에 따른 위기의 완화 가능성에
무게 중심을 실어야 할 때라고 판단되며,
그렇다면 역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IMF 직후 한국 증시 역사상 가장 강한 반등 출현
9.11 테러 직후 주가는 급반등
 
어쨌든 미국 금융 구조조정의 급진전으로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은 벌었고,
당장은 반등을 즐길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출처 : - YOUR LIFE COACH -
글쓴이 : Your Life Coach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