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호테크/어린이와 청소년의 교육

[스크랩] 중학교 공부방법

명호경영컨설턴트 2008. 10. 12. 17:46

중학교, 중학교는 초등학교와 다른 점이 꽤나 많습니다. 아다싶히 과목 수도 늘어나고, 과목마다 선생님이 배치되는 거져.

 

그런데 초등학교 때 공부 잘하던 아이들이 중학교 때까지 공부를 잘하는 건 아님니다. 또한 중학생들 중에 공부 잘하는 아이들을 보면 모두 공부만 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요.

 

대략 제 사소한 생각이지만, 몇자 끄적여 보려 합니다.

 

국어

 

모든 공부에 기본은 수업시간에 있다그러져? 수업시간만 잘 듣구 문제집 한 권은 필수 입니다. 예복습은 안해두 되지만, 최소한 수업시간 끝나고 1분만 투자해서 한번 배운내용 암기해 봅시다.... 

 

 

수학

 

수학 참 어렵다죠? 수학은 이해가 필요한 과목이라서... 라는 말을 많이 들었지만, 이해해야 할 부분은 오직 문자와 함수 외에는 없습니다. 수학도 암기 과목에 속한다죠? 공식뿐만 아니라, 문제 푸는 방법도 외워야 합니다. 그리고 응용도 해보아야 하구여.

 

사회

 

사회 외우기만 하며는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과목이니 최단기로 끝내는 법은 인과관계를 찾는 거죠. 사회는 그냥이라는 단어를 싫어합니다.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존재하는 사실을 사회를 담고 있죠.

그러나 외워야 할 부분은 2학년 말에 나오는 법쪽입니다. 이 부분도 신경써서 봐야겠지만, 이것도 그리 외우기 힘들지는 않습니다.

 

과학

 

과학 많은 사람들이 어렵다고 하는데, 사회같이 외우는 방법이 없이 단기간에 끝내는 방법이 없죠. 그러나 물리, 화학, 생물, 전기 등으로 나눠봅시다. 물리, 물리는 수학입니다. 수학만 열심히 하셨다면 거의 껌수준..... 화학, 기본적인건 외웁시다. 원소기호나 이름등등 생물, 생물은 다 외웁시다. 전 외우는 걸 못해서 생물점수가 떡.... 전기, 전기도 물리랑 같이 수학쪽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2학년 때까지는 V=IR이란 공식만 가지고 노니깐 쉽습니다.

 

영어

 

영언가요? 영어 중요합니다. 우선 영어를 하려고 하면 수능문제 한번 봐주고 갑시다. 수능문제가 50문제네요? 근데 그중에 2문제가 어법문제입니다. 여기서 깨달을 수 있는 것은, 문법보다 단어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죠. 문법도 똑같이 중요하지만, 문법은 숙어쪽으로 분류해도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중학교 내신은 문법을 중시하지만, 고등학교 수능은 문법보다는 독해 중심이자나여? 그니깐 단어를 많이 외워두는 것도 하나의 비결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기가

 

이건 과학의 연장선이라고도 볼 수 있고, 또한 실용적이죠? 이건 문제집 사지말고 선생님이 말하는 것만 경청해서 들어봅시다. 쉽습니다.

 

도덕

 

이거 초등학교 때 못 맞는 학생들... 이런, 그러나 중학교는 이론이 많습니다. 도덕도 이론이고 선생님이 강조하는 것을 들어봅시다.

 

예체능

 

시험 때만 공부하는 과목들 있죠? 음미체 이것들은 시험기간에 벼락치기를 해줍시다. 평소에 공부 않해도 다른 과목보다 훨씬 잘맞습니다.

 

약간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겨낭해서 도움을 주기위해 써봤는데....

역시 중3이라 그런지 글솜씨가 많이 부족하네여^^ 시험기간인데 1시까지 이러고 놀다간 내일 떡치겠습니다.

 

시험기간인 분들 열공하세여!!

출처 : ▒♡중등 고등공부 해볼까?♡▒
글쓴이 : 쀒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