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의 기본 차림은 다섯줄이다.
병풍 쪽 신위(지방) 바로 앞에서부터
1열에는 밥과 국, 잔, 수저를 놓는다. 밥은 신위 왼쪽(제주 기준), 국은 오른쪽에 놓는 ‘좌반우갱(左飯右羹)’의 원칙을 따르는 게 일반적이다.
2열에는 적(구운 고기)과 전을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라는 원칙에 따라 왼쪽에 육류를 놓고 오른쪽에는 생선 종류를 올린다. 생선은 머리가 오른쪽으로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라는 원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3열에는 탕 종류를 놓는데, 육탕(소고기 등), 소탕(두부ㆍ채소류), 어탕(어패류)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놓는다.
4열에는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해서 상 왼편에 포(북어, 대구)를 오른쪽에 식혜를 놓고, 그 중간에는 나물·동치미·간장 등을 왼쪽부터 올린다.
5열에는 과일을 놓는다. 과일은 3가지, 5가지, 7가지 등 반드시 ‘홀수’로 장만해 왼쪽부터 대추·밤·곶감·배의 순서대로 올린다. ‘조율시이(棗栗枾梨)’라는 원칙이다. 이외에 붉은 과일(사과 등)이나 과자류를 올릴 수도 있다.
지방은 가로 6㎝, 세로 22㎝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최근에는 검정색 붓펜으로 먹을 대신하는 경우도 많다.
지방의 상단은 둥글게 하고 아래쪽은 평평하게 하는데 이는 ‘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천원지방)’을 상징한다. 지방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高學生府君神位)’라고 보통 쓰는데, 생전에 관직에 있었으면 ‘학생’이라는 말 대신 예를 들어 ‘ㅇㅇ군수’ 등의 관직을 적기도 한다.
차례 음식에도 ‘원칙’이 있다?
먹기에 좋고 보기에 아름답다고 해서 아무 음식이나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된다. 예를 들어 복숭아는 음복을 하기 위해 오는 조상신들을 쫓아버린다고 해서 차례상에 절대로 올리지 않는 음식의 대표다.
또 꽁치나 갈치 등 이름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이나 잉어와 같이 비늘이 있는 생선도 쓰지 않는다.
상에 올라오는 차례 음식에도 각각의 의미가 있다. 밤은 후손 중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등 3정승이 나오라는 의미고, 배는 깨달음을 뜻한다. 또 호두는 머리가 좋은 자손이 많이 나오라는 의미다.
차례 절차는 제사와 비슷하다. 다만 술은 한 번만 올리고 축문을 쓰지 않는다. 서 있을 때는 남·여 모두 두 발 뒤꿈치를 모은 채 두 손은 배꼽 위에 가지런히 모은다. 이 때 남자는 왼손이 위에 올라간다.
절을 할 때는 양손 엄지손가락을 서로 깍지 낀 다음 왼손을 오른손 위에 포갠다. 여자는 이와 반대다. 여자의 경우 절을 할 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으면서 완전히 앉는다.
이어 허리를 굽혀 두 손을 바닥에 내려놓으면서 이마를 숙인다. 남자는 오른쪽 무릎을 세운 채 왼쪽 무릎을 꿇는다. 이어 오른쪽 무릎을 꿇은 뒤 모은 두 손을 바닥에 짚는다. 이 때 팔꿈치를 구부리지 않고 곧게 펴서 앞쪽으로 쭉 뻗는다. 허리를 구부리며 이마를 손등 위에 닿을 듯 말 듯 숙인다. 그런 다음 천천히 몸을 일으켜 세운다.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차례는 끝난다.
차례 지내는 순서
進設(진설)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차리며 진설이 다되면 사진이나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붙인다.
焚香降神(분향강신)
제주는 굻어 앉아 향을 피우고 향로에 꽂고 재배한다. 왼쪽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른다.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 번에 나누어 모두 따른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한다. 제주는 재배한다.
參神(참신)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를 하나 원래는 4배였다.
進饌(진찬)
주부가 설 차례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을 제상에 올린다.
獻茶(헌다)
왼쪽 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부터 술을 받아, 먼 조상 남자 순으로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한번만 올린다.
開飯(개반)
주부나 집사가 메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린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모 순이다. 가정의례준칙에선는 제례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揷匙(삽시)
주부나 집사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메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처 놓는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는다. 흔히 젓가락을 세 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위에 올려놓기도 하지만 시접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주는 재배한다.
辭神(사신)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도안(수분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주부가 약한 기침을 하고 숟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담그고 젓가락은 시접아래 내려놓고 모두가 재배한다. 신위는 제자리에 모시고 지방인 경우에는 향로위에 사른다.
飮福(음복)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눠 먹는 것으로 차례는 끝난다.
'정보테크 > 생활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체질별 내게 맞는 술안주 (0) | 2008.11.22 |
---|---|
[스크랩] 체질별 내게 맞는 술안주 (0) | 2008.11.22 |
[스크랩] 얼룩 제거 방법 (0) | 2008.10.23 |
[스크랩] 유익한 생활 정보... (0) | 2008.10.23 |
[스크랩] 생활지혜 (0) | 200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