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書의 원리 한자를 만든 원리는 상형.지사.·회의·형성·전주·가차 이렇게 여섯가지로 나눠지고, 이를 다른 말로 육서(六書)의 원리라고도 합니다. 육서는 글자를 만드는 조자(造字)의 원리로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이 있고, 활용하는 운용(運用)의 원리로 전주(轉注), 가차(假借)가 있습니다.
1. 자(象形文字) 象形은 "모양{形}을 본뜨다(象 : 본뜰 상, 形 : 모양 형)는 뜻 그대로 사물(事物)의 객관적인 윤곽이나 특징을 그대로 본따 그려서 만든 가장 기초적인 글자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상형자에 속하는 상당수의 글자들이 한자의 부수(部首) 역할을 합니다. 예) 木, 日, 月, 山, 川, 人, 心, 口, 目, 耳, 魚, 足.
2. 자(指事文字) 지사는 뜻 풀이로 "일{事}을 가리키다{指}"라고 하듯이 상형(象形)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무형(無形)의 추상적인 개념을 상징적인 부호(符號)로 표시하여 일종의 약속으로 사용한 글자들을 의미합니다. 기준선 위라는 표시{上}, 아래라는 표시{下}, 나무의 밑 부분 표시{本}, 나무의 끝 부분 표시{末} 등입니다. 지사(指事)의 종류로 '上, 下'처럼 본래의 상징적인 의미 그대로 부호화 한 것이 있고, '本, 末'처럼 상형자에 기초를 두고 의미를 표시한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사(指事)의 개념 역시 한계가 있습니다. 지나친 상징적 부호의 난발은 이해, 숙지의 어려움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예)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上, 中, 下, 本, 末, 天, 夕
3. 회의문자(會意文字) 두 개 이상의 상형자(象形字)나 지사자(指事字)가 결합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의 글자를 의미합니다(會 : 모일 회, 意 : 뜻 의). 나무들이 모여 이룬 숲{林}, 사람의 말에 중요함은 믿음{信}, 하늘의 해와 달은 밝다{明}, 사람이 나무 밑에서 쉬다{休} 등입니다. 예) 田 + 力 = 男('밭 전'자와 '힘 력'자가 합쳐져 '사내 (남자)'의 뜻이 됨) 日 + 月 = 明('해'와 '달'이 합쳐 '밝다'는 뜻이 됨) 木 + 木 = 林('나무'들이 합쳐져 '수풀'을 이룸)
4. 형성문자(形聲文字) 한쪽이 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뜻을 나타내는 것을 형성문자라 합니다. 맑은 물의 의미에 소리 청{淸}, '옥 구슬'의 의미에 소리 민{珉} 등입니다. 한자의 대부분<80-90%>을 차지하며 214개의 부수자(部首字)가 대부분 뜻을 나타냅니다. 맑은 물의 의미에 소리 청{淸}, '옥 구슬'의 의미에 소리 민{珉} 등입니다. 예) 勉 = 免(음) + 力(뜻), 問 = 門(음) + 口(뜻), 花 = 艸(뜻) + 化(음), 海 = 水(뜻) + 每(음), 宙 = (뜻) + 由(음)(유→우 : 소리가 비슷함).
5. 전주문자(轉注文字) :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글자의 뜻에서 다른 비슷한 뜻으로 확대, 전용하여 쓰는 것을 전주문자라 합니다. '늙다'는 의미로 서로 통용되는 '老'와 '考{후에 과거부터 떠져 생각한다는 '상고하다'의 의미로 변화}', 음악{악}을 하면 즐겁고{락} 좋아한다{요}는 의미 변화의 '樂'<발음의 변화는 관계 없음> 등입니다. 예) 道 : 길, 도리, 도 도 相 : 서로, 재상, 도울, 지팡이 상 樂 : 풍류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