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목적으로 지었다가 안팔린집은
2008년 4월 1일(화) 오후 6:32 [한국경제]
분양이 되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임대를 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분양목적으로 지었다가 일시적으로 임대를 하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임대를 하다가 주택을 팔면 소득세 60%를 내야 하나요?
준공후 3년 지나면 미분양 주택도 종부세
A) 집은 공시가액의 합계가 6억원을 초과하면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분양 목적으로 지었다가 안 팔린 집을 개발업체가 보유하는 경우 종합부동산세가 나오지 않습니다.
다만 준공 이후 첫번째 재산세가 부과되는 날(매년 6월1일)부터 3년이 경과하면 미분양주택이라도 종부세가 과세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이전이라도 종합부동산세가 과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양을 하려던 주택을 임대로 전용할 때 그렇습니다.
이유와 상관없이 어떤 주택에 1년 이상 거주하면 종부세 면제대상 미분양주택으로 판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5채 이상의 집(공시가액 3억원 이하,전용면적 85㎡ 이하)을 묶어서 주택임대사업등록을 하고 임대를 하면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임대사업을 하면 미분양주택이 재고자산이 아니라 사업용 부동산이 될 수 있습니다.
주택 경기 침체로 분양을 못해 재고자산이 되면 양도소득세 측면에서 유리해집니다.
주택개발자가 보유 중인 미분양주택은 주택으로 판단하지 않아 다른 집의 양도세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집주인이 기존 주택을 팔 때 미분양주택과는 상관없이 양도세 비과세와 중과세를 판단한다는 뜻입니다.
출처 : 신영균과 함께하는 부동산 투자여행
글쓴이 : 고향설 원글보기
메모 :
'명호테크 > 부동산 절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감정가로 상속세 신고땐 절세효과 (0) | 2009.01.26 |
---|---|
[스크랩] 모든 세목 전면개편 검토중 (0) | 2009.01.26 |
[스크랩] 비사업용토지와 양도소득세 (0) | 2009.01.26 |
[스크랩] 부동산매매업의 법인과 개인의 세부담 차이 (0) | 2009.01.26 |
[스크랩] “아는 만큼 덜 낸다” 사례로 본 부동산 절세법 (0) | 2009.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