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내적치유 병원

[스크랩] 목회상담에서 위기목회 상담 1.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4. 15. 07:21

1. 위기 속의 현대인


  왜 오늘의 사회가 농촌이나 도시 할 것 없이 모두 위기 가운데서 시달리고 있는 것인가?  무엇이 이런 위기를 불러 일으켰는가?

 

  첫째, 현대인들의 위기는 하나님을 떠난 데서 왔다.  인간의 전인 건강의 기둥으로서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은 인간의 영이다.  이렇게 중요한 영의 자리에 물질이 궁극적인 관심이 되고, 명에, 권력 등이 하나님 대신 궁극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자리하고 있을 때 인간은 병들 수밖에 없다.  권력이나 물질, 명예 등은 인간에게 궁극적인 가치를 제공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둘째, 현대인의 위기는 참 만남의 상실에서 온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은 인간은 인간관계를 통해서 성장해 가는 존재라는 말이다.  정신병원에서 임상 목회 경험으로 보면, 심리적 요인에 의해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들의 대부분이 자기가 성장한 가족들과의 관계가 원만치 못한 데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관계 의지가 충족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관계 집단이 있다면 그것은 가정이다.  오늘의 미국이 마약으로 병들고, 산업이 기우는 것은 가정의 인간관계가 무너지는 데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현대의 산업 사회는 인간의 유대 관계를 흐트러지게 하는 데 공헌을 하고 있다.  거기에다가 도시 산업 사회는 경쟁의 사회이기 때문에 얼굴을 맞대고 일을 하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는 상대가 자기의 적이라는 생각을 갖는 무서운 사회이기도 하다. 이런 사회 속에서 어떻게 인간의 진정한 만남이나 우정이 성립될 수 있겠는가?

  또 인간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인간의 가능성과 그의 인격을 보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가진 재물이나 하고 있는 사업 등을 보고 평가하려는 것이 오늘의 도시 산업 사회이다.  목회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그가 얼마나 성실하고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부끄럼 없는 정직한 종인가를 보기 전에, 그가 얼마나 큰 교회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가는 보고 판단하는 경향이 너무 팽배해 있다.

  세번째 위기는 병든 사회구조에서 온다.

  마지막으로 현대인을 위기 속으로 몰아 넣고 있는 것은 자연 생태계의 위기이다.


2. 위기목회상담

  교회 분쟁을 깊이 연구해 온 맥스웨인(McSwain) 교수는 교회 갈등이나 분쟁의 원인을 찾으려면, 분쟁의 주 요인으로 등장되고 있는 문제 그 자체보다는 분쟁에 참여하고 잇는 사람들의 위기 상황과 그로 인해 생기는 위기심리에서 찾으라고 권한다.  또한 그는 교회의 분쟁이나 갈등을 해결하려면 먼저 그들 자신들의 위기에서 얻은 상처를 치유하고 난 다음에 교회문제를 처리하라고 말한다.


3. 고난과 성장

1) 우리가 당하는 고통에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2) 우리가 경험하는 고난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3) 기독교는 인간의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4) 왜 어떤 고통은 우리를 완전히 파멸로 이끄는 반면, 어떤 고통은 새로운 차원의 세계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일까?

5) 한국인들은 이 고통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한 개인이 고난을 창조의 도구로 삼을 수 있다면, 우리 민족의 고난도 창조의 도구가 될 수는 없을까?  그렇게 되려면 무슨 과정이 필요한가?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