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테크/킴스특허 변리사

[스크랩] 중국의 문화와 한-중 국민성 비교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5. 30. 10:37

중국의 문화와 한-중 국민성 비교 - 김병운 교수

 

작성: 정 신 섭

 

자기소개

조선족 2세, 소수민족에 관심을 가지고 성장, 현재 대학교수로서 근무하면서 중국소수민족이해, 중국소수민족 정책 등에 관심과 함께 관여하고 있다. 소수민족은 남방계와 북방계가 있는데 55개 민족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많다. 즉 약 154개의 소수민족들이 1954~56 사이에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 의해 소수민족신청을 받을 때 접수했던 소수민족만도 약 154개였으며, 그 가운데 55개 소수민족으로 확정하게 된 것은 중국 당국의 소수민족 확정요건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실제로는 그 확정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 ‘교재 밖의 강의 내용’만 정리해 드립니다.

 

제목: 다문화사회로 가는 과정에 필요한 요건

1. 상호존중

인격, 습관, 사상, 종교, 출신, 민족성 등을 서로 존중하는 것이 요구된다.

 

1) 습관

지역이나 풍토, 음식- 향료 등, 기질을 말한다.

 

2) 종교

종교자유와 존중, 사이비 종교에 대한 대처는 필요하다. 중국정부 입장은 종교의 자유 즉 사회적인 문제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자유롭다. 물론, 사이비종교에 대한 대처는 필요하다고 본다.

 

3) 가치관

부한 나라와 가난한 나라의 가치관의 차이, 문화적인 배경에서 주어진 가치관, 중국내부에서도 유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과 그 영향력이 적은 지역 간의 가치관이 차이가 존재한다.

 

4) 역사

국가 간 민족 간의 역사적인 배경의 차이, 역사는 지나간 과거에 속한 것이며, 현재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 중국이 유교의 발생지임에도 불구하고 유교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1911년 혁명에 근거한다. 청나라 관료들의 부패상에 대하여 북경대학에서 일어난 개혁운동이 ‘신문화운동’으로 발전되면서 본래의 의도에서 벗어났다. 남존여비 사상에서 탈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즉 아편전쟁 당시 관료들의 부패상을 말한다.

 

중국의 ‘여아경’은 여자의 언어행위에 대한 구속이다. 이 책은 여자가 4살 때부터 지켜야할 것들이 수록되어 있다. 여자의 정신세계를 제한 규제하는 책이다.

황화문명을 중심으로 한족이 확대되면서 소수민족을 흡수시켰다. 1960년대 무신론이 흡수되면서 제사제도의 소멸 또는 간소화도기 시작했다.

 

노신애의 ‘축복’은 ‘여아경’에 대한 신랄한 비판의 책이다. 유교적인 사상을 지닌 소설이다. 절강성의 송의 아들이 국비로 일본으로 유학으로 하던 중 이학공부하던 중 문학서클에서 문학을 접한 뒤에 이학은 이간의 육체를 고칠 수 있지만 문학은 인간의 정신을 고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문학을 전공했다고 한다.

 

5) 인격

인격을 존중하는 일이다.

 

2. 모순의 극소화

자존심, 습관, 성격, 기호, 습성 등의 차이로 인한 갈등은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나야 양보와 이해, 절충을 통하여 동화되어질 수 있다.

문화 간의 갈등과 마찰을 해소할 수 있는 길은 모순을 최대한 극소화 시키는 일이다. 다문화 가정 역시 문화의 갈등, 성격이나 습성으로부터 나타나는 갈등을 극소화 시켜야한다.

 

* 최근 중국에도 신세대 결혼부부가 이혼하는 비율이 46%에 육박하고 있다.

한국도 ‘드라마’를 통해서 보아도 부부간의 갈등 또는 가족 구성원의 갈등 원인 등을 보면, 신구세대의 문화 차이와 경제 즉 돈이 제일 문제되는 것 같다.

 

 

* 나누어준 교재안 요약정리

 

1. 중국인의 자녀교육

1) 가족 간의 대비: 6:1

 

2)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

a. 원인: 중국 정부의 인구정책: 70년대 일 가구 일 자녀 정책을 실시함

b. 결과: 자녀는 ‘작은 태양,’ ‘작은 임금’처럼 떠받드는 상태

 

3) 사회적인 문제로 나타난 문제점

a. 가족과잉보호로 인한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도취된 아이로 성장

b. 두 살짜리 아이의 간식비(사탕과 과자 그리고 과일 등)는 어른 한 사람의 소비와 같은 수준

c. 외동자식에 대한 사랑은 하늘의 별과 같은 것 만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들어주는 경향

 

4) 취학아동이 된 후에 나타난 사회적인 문제

a. 엄마가 자기의 숙제를 대신 해 주지 않는다고 엄마를 때리는 아이들이 나타남

b. 한국은 ‘마마보이’ 즉 ‘순종형’이라면, 중국의 외자식은 ‘지배하는 형’이다.

c. 초등학교 5학년 아이가 도시락 속의 삶은 계란을 먹지 못하는 이유가 껍질을 깔 줄 모르기 때문이었다는 일화가 있다.

 

*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90% 이상의 엄마들이 하나밖에 없는 ‘보배’가 장래 높은 지위, 이름난 스타, 기업의 사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도 엄가 교실청소를 대신 해 주는 일처럼 학생들이 할 일을 부모가 대신해 주는 일들로 인하여 과잉보호 현상들이 나약한 아동으로 성장하게 하고 있다.

 

2. 지역별 복잡한 문화의 특징

1) 언어

a. 표준어 : 북경어

b. 방 언 : 55개 민족이 사용하는 방언 - 습성과 언어

참고로 중국의 소수민족 15개 민족은 이슬람 종교를 지닌 민족들이다. 이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하지만 배가 고플 때에는 먹어도 된다. 그러나 그 뒤에는 장을 반드시 비워야 한다.

 

2) 남문북무(南文北武)

a. 남방은 문인이 나오고 북방은 황제가 배출된다는 말이다.

b. 유명한 작가, 시인, 배우나 문화인은 남방에서 주로 나왔다. 대조적으로 북방은 영웅호걸의 산지이다. 진시화으로부터 부의(傅義)에 이르기까지 모두 북방계 출신들이다.

 

3) 남선북마(南船北馬)

북은 산(山), 남은 수(水)로서 북방엔 산이 많고 평원이 넓으며, 남방엔 호수와 강이 많아 교통수단도 자연히 북방은 말이고 남쪽은 배였다.

 

3. 중국인의 국민성

1) 본토 사람도 모르는 중국인의 국민성

천고중국(千古中國), 만종민성(萬種民性)이라는 말이 있다. 즉 수천년의 문명사를 가지고 있는 중국인은 공통성과 지역성이 병존하면서 여러 갈래의 국민성을 키워왔다. 동일성의 국민성과 이질화 된 다양성의 국민성이다. 이것이 중국 국민성의 양면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잡 다양한 국민성 때문에 외국인들은 물론 중국인 자신들도 중국인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본다.

 

2) 수치를 모르는 중국인

신문화운동의 기수였던 호적(胡適)이 개괄한 중국국민성은 보다 객관적이다.

a. 지족(知足), 자안(自安), 상락(常樂)

b. 물질적 향락

c. 사고하지 않는다.

d. 개인수양을 중시한다.

e. 운명에 맡기고 경쟁하지 않는다.

f. 수치를 모른다.

g. 괜찮아 주의

 

3) 오직 하나뿐인 불성실한 민족

완윤생(王潤生, 1987년 청년학자) - “우리 성정의 비극”에서 중국인의 결점 7대 증상을 밝히고 있다. - 기만(欺瞞)증, 근시(近視)증, 비아(非我)증, 수구증(守舊症), 불합작증, 양지마비증, 의뢰(依賴)증...

 

4. 중한 국민성 특징 비교 - 한국인과 중국인의 국민성 비교

a. 한국인과 중국인의 성격상 가장 다른 점은 한국인은 강인하지만 중국인은 유연한 편이다.

b. 한국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하나 자기 일처럼 꼼꼼하게 하지만 중국 사람들은 대충대충 한다.

c. 한국 사람들은(한국 사람들은 인내성이 없고 문제를 고려할 때 급하고 극단적이지만) 성격이 급하지만 중국 사람들은 느린 편이다. (중국 사람들은 듬직하고 여러 면으로 생각을 많이 굴린다.)

d. 한국 사람들은 참을성이 없지만 중국 사람들은 참을성이 강하고 유연하다(중국 사람들은 민원을 처리할 때 기다리라고 하면 인내성 있게 기다리지만 한국 사람은 그렇지 못하다.).

e. 한국 사람들은 복종의식이 약하고 질서의식, 집단의식, 등급의식이 강하나 중국 사람들은 그렇지가 못하다.

f. 공중도덕의식(쓰레기를 마음대로 버리지 않음, 물건을 사거나 버스를 탈 때 줄을 잘 섬)

 

출처 : Good Life Style
글쓴이 : cedarwood 원글보기
메모 :

'사람테크 > 킴스특허 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다문화주의  (0) 2009.05.30
[스크랩] 미국과 유럽의 이해  (0) 2009.05.30
자갈치시장에서  (0) 2009.05.03
생일잔치  (0) 2009.04.29
공동상표지원사업  (0) 200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