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판례해설1 -유치권- | | | 정충진 변호사 인터넷 강의실 |
2008.01.13 14:26 |
|
카페 스탭 |
대법원 2005. 8. 19. 선고 2005다22688 판결 【건물명도등】 |
[공2005.9.15.(234),1503] |
|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경료되어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 채무자가 부동산에 관한 공사대금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함으로써 유치권을 취득하게 한 경우,
점유자가 유치권을 내세워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채무자 소유의 건물 등 부동산에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경료되어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 채무자가 위 부동산에 관한 공사대금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함으로써
채무자 소유의 건물 등 부동산에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경료되어 압류의
효력이 발생한 이후에 채무자가 위 부동산에 관한 공사대금 채권자에게 그 점유를 이전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유치권을 취득하게 한 경우, 그와 같은 점유의 이전은 목적물의 교환가치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는 처분행위에 해당하여
민사집행법 제92조 제1항, 제83조 제4항에 따른 압류의 처분금지효에 저촉되므로
점유자로서는 위 유치권을 내세워 그 부동산에 관한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선정자 양병원을 제외한 나머지 선정자들이 주식회사 평산기계공업 소유의 이 사건 공장건물들의 신축공사로 인한 공사대금채권을 가지고 있던 중
평산기계공업의 채권자인 권순옥의 신청에 기한 2002. 5. 6.자 강제경매개시결정에 따라 같은 해 5. 13. 이 사건 공장건물들 및 그 부지 등에 관하여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가 경료된 이후
위 선정자들이 위 공장건물들 중 선정자 양병원이 임차하고 있던
이 사건 건물 및 부지 부분에 대하여는 위 선정자에 대한 평산기계공업의 점유물반환청구권을 양도받음으로써 2003. 4. 30.경부터 위 선정자를 통한 간접점유를 시작하고,
나머지 공장건물들 및 부지에 대하여는 늦어도 경비원을 고용하여 출입자들을 통제하기 시작한 2003. 5. 23.경부터 평산기계공업으로부터 그 점유를 이전받아 직접점유를 시작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선정자들은 위 강제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에 따른 압류의 처분금지효에 저촉되는 위 점유이전에 기한 유치권의 취득으로써 위 경매절차의 매수인인 원고에 대하여 대항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선정자들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 및 부지의 인도와 아울러 이 사건 공장건물들의 전체 부지 지상에 설치한 판시 컨테이너의 철거와,
원고가 위 경매절차에서 이 사건 건물 및 부지의 소유권을 취득한 2003. 9. 25.부터 그 인도 완료시까지 점유에 따른 차임 상당의 손해배상을 각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는바,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유치권의 성립과 효력, 부동산의 강제경매개시결정에 따른 처분금지의 효력, 점유 및 재산권 등에 관한 법리오해와 사실오인,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피고(선정당사자)가 위 유치권에 기한 대항력의 근거 중 하나로 적시하는 민사집행법 제91조 제5항에서는 유치권의 경우 매수인이 그 부담을 인수한다고 하는 인수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여기서 매수인이 인수하는 유치권이라고 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경매절차의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인데,
이 사건의 경우처럼 경매부동산의 압류 당시에는 이를 점유하지 아니하여 유치권을 취득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가 압류 이후에 경매부동산에 관한 기존의 채권을 담보할 목적으로 뒤늦게 채무자로부터 그 점유를 이전받음으로써 유치권을 취득하게 된 경우에는 위 법리에 비추어 이로써 경매절차의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한편, 민법상 점유는 유치권의 성립요건이자 존속요건으로서,
유치권의 성립에 있어서 채권과 점유 사이의 견련관계를 요하지 아니한다 하여
점유 없이도 유치권이 성립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와 달리 위 공사대금채권이 변제기에 도달한 이상 위 점유를 취득하기 전에
이미 유치권이 성립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 역시 이유 없어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선정자 양병원은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송달받고도 적법한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고, 위 선정자가 제출한 상고장에도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다(당사자 선정서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도과 후에 제출되었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부동산테크 > 유치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유치권의 성립요건 (0) | 2009.06.07 |
---|---|
[스크랩] 실전판례해설4 -유치권- | 정충진 변호사 인터넷 강의실 (0) | 2009.06.07 |
[스크랩] 유치권자의 권리와 점유 요건 (0) | 2009.06.07 |
[스크랩] 유치권 심층연구 권혁백 2009-01-08 (0) | 2009.06.07 |
[스크랩] 유치권 부존재 확인 (0) | 2009.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