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테크/인도이야기

[스크랩] 인도의 무용

명호경영컨설턴트 2009. 8. 5. 06:24

인도무용은 특히 신화 및 종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모든 주제와 인물 하나하나의 움직임은 신의 이야기와 신에 대한 찬양과 헌신을 의미한다. 인도인에게 춤이란 즐거움을 얻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 신과 하나되어 인간 내면의 행복을 찾아가는 구도의 과정이다.

인도 최고의 신으로 추앙받는 시바는 무용의 창시자인 동시에 무용의 왕으로 널리 날려져 있다. 인도인은 시바의 열광적인 춤이 우주적 진리를 담고 있고 세계를 창조하는 근원이라고 믿으며, 시바의 '백여덟 가지 춤'이 모든 춤의 동작을 내포한다고 여기고 있다. 인도를 나타내는 상징 중 하나인 '춤추는 시바'는 자신의 춤으로써 대우주의 질서와 시간의 순환되는 리듬을 창조하며, 우주의 진화·보호\·파괴·구원을 실행하는 시바를 표현하는 완벽한 예술적 형상이다.

인도 각 지역에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많은 전통춤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카타크, 마니푸리, 카타칼리, 바라타나티암 등이 있다.


① 카타크:갠지스강(江)과 자무나강 유역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무용으로 서정적인 몸놀림으로 추는 무용이다. 원래는 종교무용으로
발생해 발전하였으나, 14∼17세기에 걸쳐서 이슬람교의 유포와는 관계 없이 궁정의 연례악(宴禮樂)으로 채택되어 점차 귀족적인 우아한 형태를 갖춘 무용이 되었다. 발의 움직임에 중점을 둔 역동적인 춤으로 전체적으로는 전원적 정서가 흐르는 춤이다.

② 마니푸리:아삼지방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무용으로 특징은
모방적인 몸놀림이 주가 되는 우아한 움직임에 있으며, 대표적인
무용곡에 《노래하는 목인(牧人)의 군무》가 있고 독무(獨舞) 또는
정열적인 《북춤》이 있다.

③ 카타칼리:묵극(默劇) 형식의 무용으로 가벨리강 서부를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특히 극적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순수한 무용극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약(跳躍)과 얼굴의 표정,
그리고 '무도라'라고 하는 손가락에 의한 동작의 모방과 몸놀림 등의 종합적인 표현으로 음악반주에 맞추어 줄거리를 펼쳐 나간다.
줄거리는 인도의 서사시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각 1절의
내용이다.

④ 바라타나티암:서사시적 내용을 담은 무용으로 인도 남부에서 주로 추는 춤이다. 신을 찬미하는 내용이 중심이며, 신앙의 구상적(具象的) 표현 형태를 갖추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도로 시작, 시가의 낭송·대구(對句)에 의한 표정 등을 나타낸 뒤 마지막으로 발의 놀림에 이르는 이 무용 표현은 처음부터 끝까지 어떤 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출처 : 여행가이드 [국내여행,유럽여행,일본여행,중국여행,동남아여행]
글쓴이 : [여가]운영자 원글보기
메모 :

'신앙테크 > 인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카레? 커리!  (0) 2009.08.05
[스크랩] 카스트제도  (0) 2009.08.05
[스크랩] 인도의 영화  (0) 2009.08.05
[스크랩] 요가  (0) 2009.08.05
[스크랩] 인도의 세계유산(23건)  (0) 2009.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