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크/민간및 한방요법

[스크랩] 醫學入門/第10章 약(藥)의 이용(利用)/16-12

명호경영컨설턴트 2010. 2. 13. 12:06

<醫學入門/第10章 약(藥)의 이용(利用)/16-12>


第10章  약(藥)의 이용(利用)


1. 약을 달이는 방법

○ 환자에게 먹일 약은 사람을 택해서 달이게 하되 도덕을 지킬 줄 알고 친하여 믿을 수 있으며 성의껏 꾸준하게 약을 달일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약탕관은 기름기, 때, 비리거나 누린내가 나는 것이 묻은 것은 쓰지 말고 반드시 새 것이나 깨끗한 것을 써야 한다. 물은 단물(甛水)이 제일이고 물량은 짐작하여 두며 약한 불에 일정한 양이 되게 달여서 비단천으로 걸러 찌꺼기를 버리고 맑은 물만 먹으면 효과가 나지 않는 일이 없다[동원].

○ 약을 달이는 방법[煎煮藥法]은 다음과 같다. 은이나 돌그릇을 쓰고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여야 한다. 불을 너무 세게 하여서는 안 된다. 땀을 나게 하는 약이나 설사시키는 약은 매번 10분의 8 정도 되게 달여서 먹고 다른 병을 치료하는 약은 7분 정도 되게 달여서 먹는다. 보약은 6분 정도 되게 달여서 먹어야 한다. 지나치게 졸여도 안 되고 센 불로 갑자기 달여도 안 된다. 그것은 약 기운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약은 짜서 먹고 찌꺼기는 두었다가 다시 달여 먹어야 한다[득효].

○ 보약은 반드시 푹 달이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은 약간 달인다. 보약은 물 2잔에 넣고 8분 정도 되게 달이거나 물 3잔에 넣고 1잔 정도 되게 달인다.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은 물 1잔 반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이거나 1잔에 넣고 8분 정도 되게 달여서 먹는다[입문].

○ 보약은 푹 달여야 한다는 것은 물을 많이 두고 약물이 조금 되게 졸인다는 것이다. 설사시키는 약은 슬쩍 달여야 한다는 것은 물을 적게 두고도 약물이 많게 달인다는 것이다[동원].

○ 병이 머리 같은 데 있을 때에는 술에 넣고 달이고[加酒煎], 습증을 치료할 때에는 생강을 넣고 달이며, 원기를 보(補)하려 할 때에는 대추를 넣고 달이고, 풍한을 발산(發散)시키려고 할 때에는 총백(蔥白)을 넣고 달이며, 횡격막 위[膈上]에 생긴 병을 치료할 때에는 꿀을 넣고 달인다[동원].

○ 옛날 처방에 약 1제(劑)에는 물을 적게 둔다고 하였다. 이것은 요즘 양으로 보면 약재 20g에 물 1잔 반의 비율로 둔다는 것인데 한번에 먹는다[활인].

○ 약재 가운데서 병을 주로 치료하는 약을 먼저 달여야 한다. 즉 땀을 내야 할 때에는 마황(麻黃)을 먼저 1-2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다른 약을 넣고 달여서 먹어야 한다는 것이고 땀을 멈추어야 할 때에는 먼저 계지를 달여야 한다는 것이다. 화해(和解)시켜야 할 때에는 시호(柴胡)를, 풍에 상한 데는 먼저 방풍(防風)을, 더위에 상한 데는 먼저 노야기를, 습에 상한 데에는 먼저 창출(蒼朮)을 달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의 약들도 다 이와 같다[입문].


2. 약을 먹는 방법


○ 병이 횡격막 위[胸膈以上]에 있을 때에는 식후(食後)에 약을 먹어야 하고 병이 명치 밑[心腹以下]에 있을 때에는 약을 먹은 다음 음식을 먹어야 한다. 병이 팔다리나 혈맥에 있을 때에는 아침 빈속에 약을 먹어야 하고 병이 골수에 있을 때에는 밥을 배불리 먹은 다음 밤에 약을 먹어야 한다[본초].

○ 상초(上焦)에 있는 병은 하늘과 통하므로 이때에 쓰는 약은 센 불에 연하게 달여서 천천히 먹는 것이 좋다.

○ 하초(下焦)에 있는 병은 땅과 통하므로 이때에 쓰는 약은 약한 불에 진하게 달여서 빨리 먹는 것이 좋다[역로].

○ 상초(上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약을 자주 조금씩 먹는 것이 좋고 하초(下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단번에 많이씩 먹는 것이 좋다. 조금씩 먹으면 약 기운이 상초(上焦)에 퍼지고 많이 먹으면 하초(下焦)를 세게 보한다[동원].

○ 대체로 약을 먹을 때에는 성질이 찬약은 덥게 하여 먹고 더운약은 차게 하여 먹으며 중화하는 약은 따뜻하게 하여 먹어야 한다[종행].

○ 달임약은 따뜻하게 하거나 덥게 하여 먹어야 쉽게 내려간다. 차게 하여 먹으면 구역이 나면서 올라온다[본초].

○ 토하기[嘔吐] 때문에 약을 먹기가 곤란할 때에는 반드시 한 숟가락씩 천천히 먹어야 하지 너무 급하게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 신(腎)을 보하는 약은 반드시 새벽 4시경 말하기 전에 먹어야 한다. 대체로 신기는 새벽 4시경에 처음으로 발동하였다가 말을 하거나 기침하거나 침을 뱉으면 곧 막힌다. 그러므로 반드시 약은 신기가 동할 때에 조용히 먹어야 약 효과가 아주 좋다[직지].

○ 다섯 가지 맛에서 어느 것이나 할 것없이 치우치게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신 것을 많이 먹으면 비(脾)가 상하고 쓴 것을 많이 먹으면 폐(肺)가 상하며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간(肝)이 상하고 짠 것을 많이 먹으면 심(心)이 상하며 단것을 많이 먹으면 신(腎)이 상한다. 이것은 다섯 가지 맛이 오장(五臟)을 억제하는 것이며 오행(五行)의 자연스러운 이치이다[내경].

○ 매운 것 다섯 가지에서 마늘의 기운은 가슴[心]으로 가고 생강의 기운은 볼[頰]로 가며 파의 기운은 코로 가고 겨자의 기운은 눈으로 가며 여귀[蓼]의 기운은 혀로 간다[강목].

○ 모든 약뿌리[藥根]에서 흙 속에 있는 뿌리의 절반 위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싹이 나게 한다. 이 부분을 뿌리[根]라고 한다. 절반 아래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서 땅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 부분을 잔뿌리[梢]라고 한다. 중초(中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약뿌리에서 몸통을 쓰고 상초(上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뿌리를 스며 하초(下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써야 한다. 그것은 뿌리의 기운은 올라가고 잔뿌리의 기운은 내려가기 때문이다[동원].

○ 대체로 약뿌리를 상, 중, 하로 나누는데 상초(上焦)의 병에는 약뿌리의 상두(上頭)쪽을 쓰고 중초(中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몸통을 쓰며 하초(下焦)에 병이 있을 때에는 잔뿌리를 쓴다.

○ 허(虛)하면 그 어머니격인 장기를 보(補)하고 실(實)하면 그 아들격인 장기를 사(瀉)해야 한다. 즉 간(肝)은 심(心)의 어머니격이므로 심이 허약할 때에는 간을 보해야 하고 비(脾)는 심의 아들격이므로 심이 실할 때에는 비를 사(瀉)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장기도 이와 같다[난경].

○ 간(肝)과 담(膽)은 매운 맛으로 보(補)하고 신맛으로 사(瀉)해야 한다. 그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하고 서늘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 심(心), 소장(小腸)은 짠 맛으로 보(補)하고 단맛으로 사(瀉)해야 하며 성질이 열(熱)한 약으로 보하고 한(寒)한 약으로 사해야 한다. 삼초(三焦), 명문(命門)을 보(補)하거나 사(瀉)하는 것도 이와 같다.

○ 비(脾), 위(胃)는 단맛으로 보(補)하고 쓴 맛으로 사(瀉)해야 하며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보(補)하고 찬약으로 사(瀉)해야 한다.

○ 폐(肺)와 대장(大腸)은 신맛으로 보(補)하고 매운 맛으로 사(瀉)해야 하며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보(補)하고 따뜻한 약으로 사(瀉)해야 한다.

○ 신(腎)과 방광(膀胱)은 쓴 맛으로 보(補)하고 짠 맛으로 사(瀉)해야 하며 성질이 찬약으로 보(補)하고 열한 약으로 사(瀉)해야 한다[동원]. 보(補)하는 약인가 사(瀉)하는 약인가 하는 것은 주로 약의 맛을 보고 알 수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약의 성질을 보고도 알 수 있다[동원].


3.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


○ 약을 먹을 때에는 생고수(生胡 )나 마늘 등 여러 가지 생채(生菜)를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미끄러운 음식[滑物], 과실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돼지고기, 개고기, 기름진 것, 고깃국, 생선회와 비린내나 노린내가 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약을 먹을 때 죽은 사람이나 임신부, 더러운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본초].

○ 약을 먹을 때에는 식초[醋]를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 약을 먹을 때에는 생채(生菜)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창출(蒼朮)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복숭아, 추리(李), 참새고기, 조개, 고수, 마늘, 청어, 생선회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 반하(半夏), 석창포(石菖蒲)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강엿, 양고기, 듬북을 먹지 말아야 한다.

○ 지황(地黃)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파, 마늘, 무를 먹지 말아야 한다.

○ 지황이나 하수오(何首烏)를 먹을 때에 무를 먹으면 혈이 줄어들고 수염과 머리털이 일찍 희어진다.

○ 하수오(何首烏)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비늘이 없는 물고기(無鱗魚)를 먹지 말아야 한다.

○ 파두(巴豆)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갈순국(蘆荀), 멧돼지고기, 된장, 찬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 황련(黃連)과 길경(桔梗)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특히 황련(黃連)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황련(黃連)을 3년 동안 먹었으면 일생동안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 황련(黃連)은 또한 찬물[冷水]을 꺼린다.

○ 호황련(胡黃蓮)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하는데 만약 먹으면 누정(漏精)이 생긴다.

○ 세신(細辛))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채를 먹지 말아야 한다.

○ 복령(茯笭)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식초나 신맛이 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쌀초(米醋)도 먹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복령(茯笭)을 먹을 때 식초를 먹으면 먼저 약효까지 다 없어진다.

○ 감초(甘草)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배추, 듬북,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혹 감초를 먹고 배추를 먹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고도 한다.

○ 별갑(鱉甲)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비름나물( 菜)을 먹지 말아야 한다.

○ 천문동(天門冬)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잉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천문동(天門冬)을 먹은 다음 잘못하여 잉어를 먹으면 중독되는 데 이때에는 부평(浮萍)으로 독을 풀어야 한다.

○ 황정(黃精))를 먹을 때에는 매화열매를 먹지 말아야 한다.

○ 우슬(牛膝)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쇠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 당귀(當歸)는 더운 국수를 꺼린다.

○ 목단피(牧丹皮)는 마늘을 꺼린다.

○ 계피(桂皮)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생파를 먹지 말아야 한다.

○ 맥문동(麥門冬)이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붕어를 먹지 말아야 한다.

○ 후박(厚朴)은 콩을 꺼리는데 만약 함께 먹으면 기(氣)가 동(動)한다.

○ 위령선(威靈仙)은 차와 밀가루 끓인 것을 꺼린다.

○ 창이자(蒼耳子)가 들어 있는 약을 먹을 때에는 돼지고기, 쌀 씻은 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 건칠(乾漆)은 기름(油脂)을 꺼린다.

○ 용골(龍骨)은 물고기를 꺼린다.

○ 사향(麝香)은 마늘을 꺼린다.

○ 파고지(破古紙)는 양고기를 꺼린다.

○ 연꽃은 지황과 마늘을 꺼린다.

○ 행인(杏仁)은 좁쌀(속미)을 꺼린다.

○ 꿀은 파와 부루( )를 꺼린다.

○ 돼지고기는 약의 효과가 나지 못하게 한다. 돼지고기는 오매(烏梅)를 꺼린다.

○ 약을 먹을 때 사슴의 고기를 먹으면 반드시 효과를 볼 수 없다. 사슴은 늘 독을 푸는 풀을 먹기 때문에 모든 약의 효과를 없앤다.

○ 대체로 여러 가지 뿔(角)을 쓸 때에는 소금을 몹시 꺼려야 한다[본초, 입문].

출처 : 잼있는 농원
글쓴이 : 槻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