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열자(列子.?∼?)
중국 전국시대(BC 475~221)의 사상가. 본명은 열어구(列禦寇). 중국 도가의 기본사상을 확립시킨 3명의 철학가 가운데 한 사람이며, 도가 경전인 <열자>의 저자로 전해진다.
그러나 이 책 속에 포함된 글 가운데 많은 부분이 후대 사람들의 위작(僞作)으로 밝혀져, BC 100년경 전한(前漢)의 역사가 사마천(司馬遷)은 <사기> 열전(列傳)에서 열자를 제외시켰다. 이런 사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그를 가공인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현대의 학자 대부분은 그가 실존인물이었다고 믿는다. 열자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나, 그 당시의 다른 학자들처럼 많은 제자들을 거느렸고, 전국시대에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왕후(王侯)들에게 유세를 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작품은 해학에 가득 찬 문체와 결정론을 강조한 철학이념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도가의 주요사상가인 노자나 장자와는 달리 인간의 미래는 운명이 아니라 주로 인과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르쳤다.
중국 고대의 사상가. 이름은 어구(禦寇). 정(鄭)나라 출신. 도가(道家)의 대표자, 또한 그 서적을 말한다. 노자(老子)의 제자, 또는 관윤자(關尹子)의 제자라고 하며 혹은 노상자(老商子)의 제자라고도 한다. 이 외에 장자(莊子)의 선배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 사적(事績)은 불분명하다. <열자(列子)>와 <장자(莊子)>의 책 가운데 열어구(列禦寇)의 설화가 실려 있는데, 어느 것도 사실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그 때문에 인물의 실재를 의심하는 설도 있다.
열자의 사상은 확실하지 않으나 <여씨춘추(呂氏春秋)>에서 '허(虛)를 숭상했다'고 밝혀놓은 것을 근거로 한다면 이해득실에 얽매이지 않는 허심처세(虛心處世)의 사상으로 보인다. <노자>에서 말하는 무위(無爲)ㆍ무지(無知)ㆍ무욕(無欲) 등과 통할 수 있는 사상이다. <열자>에서는 천지의 생성변화를 형(形)과 기(氣)와 질(質)의 3가지가 섞인 '태역(太易)‘을 그 시원(始源)에 두고 생과 사의 왕복(往復)을 말함으로써, 신선적 양생설에도 도달하였으며, 운명을 말하고 꿈을 말하면서 대담한 쾌락설을 주장하는 등 여러 가지 특색이 있는 내용이 있으며, <장자>를 비롯한 다른 책들과 중복되는 부분도 많다.
열자의 모습은 <장자>에서 ’바람을 제어하며 가다‘ 등으로 소개되어, 마치 선인(仙人)과 비슷한 풍모를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열선전(列仙傳)>이나 <신선전(神仙傳)>에서는 선인으로 쓰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당(唐)나라 때부터 도교신앙에서 장자나 문자(文子)와 함께 신격화되었으며 충허진인(沖虛眞人)이라고 하여 모시게 되었다.
'자녀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부지 (0) | 2011.01.15 |
---|---|
[스크랩] 불교와 자이나교 (0) | 2010.10.25 |
[스크랩] 전체주의(全體主義.totalitarianism) (0) | 2010.10.25 |
[스크랩] 사서오경(四書五經) (0) | 2010.10.25 |
[스크랩] 에피쿠로스학파(Epicurean school) (0) | 2010.10.25 |